플레이댑이 업비트 인도네시아와 업비트 싱가포르 상장을 추진 중이다. 비아이뉴스(Beinews)에 따르면, 업비트 인도네시아(Upbit Inonesia)와 업비트 싱가포르(Upbit Singapore)를 운영하는 업비트 APAC를 통해 플레이댑(Playdapp)의 플라(PLA)가 상장을 추진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플레이댑은 위메이드트리, 웨이투빗과 함께 국내 블록체인 게임업계의 대표 기업이다. 업비트 APAC는 업비트 인도네시아와 업비트 싱가포르를 운영하는 법인으로 한국의 업비트와는 다른 상장 심사 및 상장 규정을 적용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플레이댑은 지난 9일 오전9시까지 프라이스 서베이를 통해 1 PLA 당 0.00000397BTC(약 47원)으로 가격이 결정되어 100만 개가 팔렸다. 이는 총 발행량 25억 개 중 0.04%에 해당하는 100만개다. 프라이스 서베이는 네덜란드식 경매의 ‘더치 옥션’ 방식을 채택했다. 더치 옥션은 전체 물량의 입찰이 마감될 때까지 최고가부터 시간에 따라 순차적으로 입찰가격이 내려가는 경매 방식을 의미한다. 업비트 APAC은 클레이(KLAY), 디카르고(DKA), 톤(TON), 밀크(MLK), 온버프(ONIT) 등을 프라
산림청 국립수목원(원장 이유미)은 세계 12대 다양성 주요국가인 말레이시아의 민속식물에 대한 백서 ‘말레이시아 민속식물(Ethnobotanical plants of Malaysia)'을 발간했다. 원주민들에 의해 구전되어온 소중한 민속식물 전통지식의 보호는 전지구적 차원에서 시급히 이루어져야 하는 중요한 과제로 '생물다양성협약(CBD)의 지구식물보전전략(GSPC)' 타겟 13에 해당한다. 국립수목원은 2005년부터 2017년까지 한국의 민속식물에 대한 전통지식을 조사하고 기록한 결과물을 집대성한 '한국의 민속식물'을 발간하였다. 국립수목원은 생물다양성협약의 지구식물보전전략의 국가연락기관으로, 국가 차원의 이행을 넘어 아시아지역적 수준의 기후변화 대응 및 생물다양성 보전을 위해 다양한 공동연구를 추진하고 있으며, 본 책자는 이러한 연구 성과의 일환이다. 말레이시아는 1만 2000 여 종의 관속식물이 분포하는 식물다양성의 보고다. 10%에 이르는 1200여 종이 약용식물로 분류되어 현지인들에 의해 오랜 기간 이용되어왔다. 국립수목원은 말레이시아 푸트라말레이시아대학교 및 이화여자대학교와 공동으로 다양한 말레이시아 민속식물의 자생지를 조사하고, 전통지식에 관한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