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부동산 기업 완커에 가해지는 유동성 압박 ‘2025년까지 1,000억 위안 채무 해소할 것’

  • 등록 2024.04.17 17:04:04
크게보기

입장문 통해 경영상 어려움 공인
경영진 비리 의혹에 대해선 부인

중국 2위 부동산업체 완커(萬科・Vanke)가 경영상 어려움과 유동성 압박에 직면해 있다고 인정했다.

 

다만, 입장문을 내고 2025년까지 1,000억 위안 (원화 약 19조 원) 규모의 부채를 줄일 것이라고 밝혔다.

 

지난 4월 15일 중국 경제매체 ‘제일재경’ 등에 따르면 완커는 전날인 4월 14일에 발표한 입장문에서 “총체적 경영 상황에서 볼 때 현재 완커는 확실히 단계적 경영상 어려움에 직면했고, 유동성이 단기적으로 압박을 받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서 “그러나 회사는 경영 안정과 부채 감소를 위한 패키지 방안을 마련했으며 이런 단계적 압력은 적절히 해소할 수 있다.”면서 “우선 자구책을 세우고 스스로 리스크를 해소할 능력과 자원에 근거해 모든 진행 중인 사업을 전면 재검토・분류・정리하며 맞춤형 방안을 만들 것.”이라고 했다.

 

2024년과 2025년 등 2년에 걸쳐 채무 규모가 1,000억 위안(원화 약 19조 원)을 감소하고 부채 리스크를 실질적으로 해소될 것으로 자신하면서 완커그룹의 모든 건설 프로젝트 또한 제때 양질로 인도될 것을 약속한다는 내용도 입장문에 담았다.

 

매출액 기준 중국 2위 부동산업체인 완커는 2021년 촉발된 중국 부동산 경기 침체 속에 자금난을 겪고 있다.

 

중국 당국은 매출 1위 부동산업체인 비구이위안(碧桂園・컨트리가든)과 세계에서 가장 빚이 많은 개발기업 헝다(恒大・에버그란데)에 이어 완커까지 흔들리기 시작했다.

 

2024년 들어서면서 이례적으로 완커 채권자들을 향해 부채 만기 연장을 촉구하고 대형 은행들에 금융 지원을 주문한 것으로 알려졌다.

 

완커그룹이 광둥성 선전시 국유자산 감독기관이 운영하는 ‘선전 메트로’가 지분 33.4%를 소유하고 있는 사실상의 국유기업이라는 점 때문에 부동산 위기 확산을 막으려는 당국이 적극적인 방어에 나선 것이 아니냐는 분석도 나온다.

 

그러나 국제 신용평가사 무디스가 지난 3월 완커 신용등급을 ‘투자 부적격’ 등급인 Ba1로 하향 조정하고, 향후 추가 하향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혀 완커를 둘러싼 시장 우려는 계속되고 있다.

 

이런 가운데 완커는 전날 입장문에서 위량 이사회 주석・주주성 총재 등 경영진의 투자자 관계 활동 기록지를 공개하며 ‘도덕적 해이’에 대한 의혹을 반박했다.

 

완커는 “최근의 부정적 여론 가운데 경영진의 도덕 리스크에 관한 질문도 일부 있지만 경영진은 사익을 추구한 바 없다.”며 산둥성 옌타이 공안당국이 완커 자금 유용 문제를 조사했으나 입건하지 않기로 결정했다고 주장했다.

최규현 기자 styner@aseanexpress.co.kr
Copyright @2019 아세안익스프레스 Corp. All rights reserved.

PC버전으로 보기

제호 : ASEANEXPRESS | 주소 : 서울특별시 서초구 강남대로 365(1103호, 서초동) 발행인-편집인 : 박명기 | 등록번호: 서울 아 52092 | 등록일 : 2019년 01월 19일 발행일 : 2019년 4월 10일 | 전화번호 : 070-7717-3264 | 청소년보호책임자 : 조성진 Copyright @2019 아세안익스프레스 Cor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