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네시아, 국내 방직업 위해 보호 관세 도입

  • 등록 2024.07.01 08:33:49
크게보기

저가 수입품에 밀려 방직업체 도산 확산
전자제품・신발・도자기에도 수입세 도입

인도네시아의 방직 산업은 저가 수입 제품에 밀리고 방직 공장의 대규모 폐업과 감원을 견디지 못했다.

 

인도네시아 정부는 국내 방직업을 보호하기 위해 수입 방직품에 관세를 부과할 것을 발표했다.

 

지난 6월 25일 화요일 주르키프리 인도네시아 통상장관은 조코 위도도 대통령, 에를랑가 경제사무총괄장관, 무옌니 재무장관 등 관계장관들과 섬유산업이 겪고 있는 어려움에 대해 회의를 한 결과 수입 섬유에 대해 추가 수입세와 반덤핑 관세를 부과하기로 결정했다.

 

지난 6월 26일 주르키프리 통상장관은 모옌니 재무장관과 추가 논의를 한 뒤 3일 안에 구체적인 시행을 확정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인도네시아 정부는 국내 산업 보호를 위해 섬유・의류 뿐 아니라 전자제품・신발・도자기에도 수입세와 반덤핑 관세가 부과할 예정이다.

 

인도네시아 통계청의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1분기 니트 및 비니트 의류 및 의류 수입액은 1월 1,226만 달러에서 2월 2,087만 달러, 3월 2,398만 달러로 증가세를 보였다.

 

인도네시아 노동조합연합에 따르면 2024년 들어 6개월 동안 최소 6개의 대형 방직공장이 문을 닫았고 4개가 인력을 감축해 약 13,800명의 방직 노동자가 해고됐다.

 

영향을 받는 대부분은 내수용 기업이며 수출을 지향하는 섬유 기업만이 앞으로도 생존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하지만 인도네시아 노조연합의 리스타디 회장은 “실제 섬유업계의 감원 인원은 5만 명에 육박할 정도로 위급한 상황이다.”라면서 “일부 회사가 감원 사실을 제대로 보고하지 않는 것은 구매자와 은행의 신뢰를 떨어뜨리기 위해서다. 가장 중요한 것은 구매자의 신뢰인데, 구매자는 모두 제때에 물건을 인도받기를 원하며, 만약 그들이 감원 소식을 알게 되면 주문을 취소할 수도 있다.”라고 말했다.

 

방직공장 도산 러시는 올해 정부가 기성복을 포함한 많은 품목에 대한 수입 규제를 완화하면서 급속히 악화됐다는 지적이다.

 

정부의 규제 완화 이후 수입 섬유, 특히 다운스트림 섬유들이 인도네시아 시장에 대거 유입되면서 현지 업체들의 경쟁력이 떨어졌고, 일부 업체들은 저가 수입품에 밀려 도산했다.

 

그는 “이런 상황이 계속되면 토종 섬유업체들은 조만간 더 싼 수입 섬유와 경쟁할 수 없게 될 것”이라면서 “정부는 반드시 조치를 취하여 수입을 제한해야 한다.”고 말했다.

 

인도네시아 정부가 항만 정체를 해소하고 국내 업자들의 원자재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지난 3~5월 특정 품목에 대한 수입 규제를 완화하는 등 정책을 여러 차례 조정하면서 저가 직물 유입의 물꼬가 트였다.

최규현 기자 styner@aseanexpress.co.kr
Copyright @2019 아세안익스프레스 Corp. All rights reserved.

PC버전으로 보기

제호 : ASEANEXPRESS | 주소 : 서울특별시 서초구 강남대로 365(1103호, 서초동) 발행인-편집인 : 박명기 | 등록번호: 서울 아 52092 | 등록일 : 2019년 01월 19일 발행일 : 2019년 4월 10일 | 전화번호 : 070-7717-3264 | 청소년보호책임자 : 조성진 Copyright @2019 아세안익스프레스 Cor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