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롯데케미칼(Lotte Chemical)이 ‘2025 서울모빌리티쇼’에 처음으로 그룹과 함께 참여하며 수소사업의 확장에 대한 의지를 나타냈다.
2025년 하반기 대산 수소출하센터와 하반기 울산 연료전지 발전소를 잇따라 가동하면서 부생수소를 활용한 생산과 유통, 활용의 밸류체인을 본격화할 전망이다.
롯데케미칼은 서울모빌리티쇼 부스를 통해 수소 출하부터 연료전지, 물류까지 연결된 밸류체인은 미래 에너지 시장을 향한 롯데의 로드맵을 명확히 드러냈다.
롯데케미칼의 수소 밸류체인은 대산 수소출하센터와 울산 수소연료전지 발전소, 수소 충전소, 수소 화물차 등 4가지다.
수소의 생산부터 출하, 연료전지 발전, 충전, 물류까지 아우르는 수소 생태계로 장기적인 에너지 전환 의지를 강조했다.
핵심 시설인 대산 수소 출하센터는 롯데케미칼과 에어리퀴드코리아의 합작사인 롯데에어리퀴드 에너하이를 통해 올해 상반기 시운전을 목표로 건설 중이다.
롯데케미칼 대산공장의 납사분해(NCC) 공정에서 발생하는 부생수소를 출하센터에서 정제・압축해 저장한 뒤 튜브트레일러를 통해 외부 수요처로 공급하는 허브 거점 역할을 수행할 예정이다.
공급 능력은 연간 5000~6000톤 규모의 고압수소다.
이는 승용차 기준 4,200대, 상용버스 기준 600대의 연료를 하루에 충전가능한 양이며, 수소충전소뿐만 아니라 산업용으로 판매될 예정이다.
울산에는 2025년 하반기 가동을 목표로 수소 연료전지 발전소가 들어서고 있다.
수소 연료전지는 수소와 산소를 전기 화학 반응시켜 전기와 열 에너지를 생산하는 친환경 발전 시스템으로 이산화탄소 배출 없이 고효율의 에너지를 생산할 수 있다.
울산 수소 연료전지 발전소 사업은 ▲롯데케미칼 ▲SK가스 ▲에어리퀴드코리아가 합작한 ‘롯데SK에너루트’가 주도하고 있다.
‘롯데SK에너루트’는 일반수소발전 입찰시장에서 총 4개의 발전사업을 이미 낙찰받았다.
올해 20㎿를 시작으로 2026년부터 누적 80㎿의 전기를 향후 20년 동안 한국전력에 공급할 예정이며 추가적으로 2개의 발전소를 증설할 계획이다.
수소 충전소 사업 역시 롯데SK에너루트가 중심이다.
지난 2024년 2월 울산시 등 6개기관과 수소통근버스 운영 관련한 협약을 체결한 것을 기반으로 울산지역 내 수소통근버스가 원활하게 운행되도록 인프라를 지원할 계획이다.
여기에 롯데글로벌로지스가 신사업으로 고압가스운반 수소분야에 진출해 사업성을 강화한다는 비전을 세웠다.
인천공항센터에 수소화물차 도입을 검토 중으로 현재 수소화물차 성능 검증 테스트를 통해 실질적 총비용(TCO) 산출용 데이터를 확보 중이다.
롯데케미칼 관계자는 “납사분해설비에서 자연스럽게 부생수소가 발생하지만 기존에 사업성이 낮아 대부분 공기 중으로 방출됐다.”며 “이 부생수소를 버리지 않고 수소차 충전과 연료전지 발전에 공급하는 모델로 사업화한 것으로 장기적으로는 탈탄소 선박연료를 공급하는 벙커링과 청정수소발전소 사업까지 확대할 계획.”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