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중국계 숏폼(짧은 동영상) 플랫폼인 틱톡에 75일 간의 유예기간을 주면서 ‘미중합작법인’이라는 중재안을 제안했다.
사업권을 매각하기 싫다면 사실상 합작법인을 설립하라는 압박을 준 셈이다.
지난 1월 20일 미국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법무부 장관에 일명 ‘틱톡 금지법’ 시행과 관련해 75일 간 어떤 법적 행위도 하지 말라고 명령했다.
틱톡(Tiktok)이 미국 사업권을 매각하지 않을 경우 틱톡 신규 다운로드와 업데이트를 금지한 ‘틱톡 금지법’ 시행을 75일 간 유예한 셈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유예 명령서에 서명하면서 “미국 사업을 팔거나 미국 내 서비스를 종료시킬 권리를 준 것.”이라고 설명했다.
미국 정부와 연방의회는 틱톡의 미국 내 이용자 수가 1억 7,000만 명에 달하자 이들의 개인정보가 중국으로 넘어가 국가 안보에 위협이 될 수 판단했다.
이에, 틱톡에 미국 사업권을 매각하도록 하는 이른바 ‘틱톡 금지법’을 제정했다.
틱톡 금지법은 원래 1월 19일부터 시행 예정이었으나 트럼프 대통령의 취임과 맞물리면서 물리적 시간을 벌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틱톡 모회사인 바이트댄스가 미국 법인과의 합작회사를 만들어 미국 기업의 지분을 50% 이상으로 만들자고 요청하면서 중국이 이 방안을 승인하지 않으면 중국에 관세를 부과할 수 있다는 경고도 남겼다.
트럼프 대통령은 트럼프 정부 1기 당시에는 틱톡을 금지하려는 입장이었으나 대선 과정에서 선거운동에 틱톡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면서 생각을 바꾼 것으로 알려졌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2024년 6월 틱톡 계정을 개설하고 총 1,400만 명의 팔로워를 모아 지지층 결집에 활용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나는 마음 속에 틱톡에 대해 따뜻한 감정을 갖고 있다.”고 발언하거나 “내 틱톡 계정에 1400만 명에 달하는 팔로워가 있는데 내가 왜 틱톡을 없애고 싶겠냐?”고 발언하면서 틱톡에 대해 보다 유한 제스처를 취하고 있따.
트럼프 대통령의 중재안에 중국 정부는 분명한 입장을 밝히지는 않았으나 과거에 비해 열려 있는 태도를 취했다.
중국 외교부 마오닝 대변인은 1월 20일 정례 브리핑에서 “기업의 운영・인수 등 행위에 대해 우리는 늘 ‘시장 원칙과 기업의 자주적 결정에 따라야 한다.’고 생각한다.”면서 “중국 기업에 관계된 것이라면 중국의 법률・법규에 부합해야 한다.”고 말했다.
틱톡의 미국 사업권을 절대 매각하지 않겠다고 했던 중국 정부가 한 발 물러선 모양새를 취했다는 해석이 나온다.
중국 마오 대변인은 또 “틱톡은 미국 내 법규를 준수했고 미 국가 안보를 해친 적이 없다. 미국 이용자들의 깊은 사랑을 받았고 미국 내 취업 촉진과 소비 유발에 긍정적 역할을 했다.”면서 “미국이 이성적인 목소리를 진지하게 경청해 각국 시장 주체에 개방・공평・공정・비차별 경영 환경을 제공해주기를 희망한다.”고 말했다.
미국 내에서는 틱톡의 미국 사업권을 인수하거나 틱톡과의 합병을 꾀하려는 움직임이 포착되고 있다.
우선 인공지능 스타트업 퍼플렉시티AI가 지난 1월 18일 틱톡 미국 지사와의 합병을 제안했고, 세계 1위 유튜버인 미스터 비스트가 틱톡 매수 의향을 밝히기도 했다.
트럼프 대통령의 취임식에 틱톡 추 쇼우즈 CEO가 참석한 것을 두고 관련 협상이 진행되고 있다는 해석이 나오기도 했다.
블룸버그통신은 이에 대해 “틱톡 매각과 관련해 협상이 잘 진행되고 있다는 증거다.”라면서 “틱톡의 앞날에 청신호가 켜졌다.”고 보도했다.
한편, 틱톡의 매각 추정가는 400억~500억 달러(원화 약 58조~72조 원)로 예상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