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아세안센터(사무총장 김재신)는 9월 18일(목) 호텔 나루 서울 엠갤러리에서 ‘한-아세안 지속가능한 혁신성장 토크’를 개최했다.
이번 행사는 한국과 아세안의 ESG 전문가 및 관련 기술 분야 관계자 200여 명이 한자리에 모여 인공지능(AI) 등 혁신 기술을 활용한 ESG 실천 방안을 모색하는 자리로 마련됐다.
센터는 2022년부터 한-아세안 ESG 협력을 주요 의제로 추진해 왔으며, 이번 행사에서는 △지속가능성 토크: 한-아세안의 ESG 실천과 도전 및 향후 방향 △지속가능성과 포용적 혁신의 연결 △이노베이션 토크: 함께 그려가는 미래 – 변화하는 세상에 응답하는 한국과 아세안 등의 토크 세션이 진행됐다.
오는 9월 19일(금)에는 ‘협력을 통한 ESG & AI 파트너십 촉진’을 주제로 한국과 아세안 기업 간 네트워킹 워크숍을 열어 실질적 협력 방안을 논의할 예정이다.

한-아세안센터는 9월 18~19일 서울 호텔나루 엠갤러리에서 한-아세안 지속가능한 혁신성장 토크 및 워크숍을 개최했다. 센터는 2022년부터 한-아세안 ESG 협력을 주요 의제로 추진해 왔으며, ESG 가이드북인 ‘한-아세안 ESG 현황: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한 방안’ 국·영문본을 발간한 바 있다. 이번 행사는 이러한 노력의 연장선상에서 한국과 아세안 지역의 ESG 전문가와 관련 기술 분야 관계자 100여명이 한자리에 모여 인공지능(AI) 등 혁신 기술을 활용한 ESG 실천 방안을 함께 모색하는 기회로 마련되었다.

이번 행사는 2일간 진행되었다. 첫째 날인 9월 18일(목) 개회식에서는 김재신 사무총장의 개회사와 웡 카이 쥔(Wong Kai Jiun) 주한 싱가포르 대사 내정자(주한아세안대사단 의장)의 축사가 있었다. 이어서 '한-아세안 지속가능한 혁신성장 토크'라는 주제 하에 △지속가능성 토크: 한-아세안의 ESG 실천과 도전 및 향후 방향 △지속가능성과 포용적 혁신의 연결 △이노베이션 토크: 함께 그려가는 미래 – 변화하는 세상에 응답하는 한국과 아세안 총 3개 세션이 진행되었다.
첫번째 '지속가능성 토크' 세션에서는 캄보디아,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미얀마, 필리핀 기업대표 5명이 자사의 ESG 이행 현황과 전략을 공유했다. 두번째 '지속가능성과 포용적 혁신의 연결' 세션에서는 4명의 아세안 및 한국 전문가들이 ESG의 관점에서 AI를 조망하고, △아세안 내 AI와 ESG의 경제적 영향 △아세안 내 기후 의제에 대한 AI의 영향 △포용적 AI의 모범사례 △인간 중심의 AI 거버넌스 주제에 대해 발표했다. 세션 후에는 아세안 지속가능발전연구·대화센터(ACSDSD) 파스폰 상가수바나(Phasporn Sangasubana) 사무총장이 좌장을 맡아 토론을 진행했다.
세번째 '이노베이션 토크' 세션에서는 아세안·동아시아 경제연구소(ERIA) 알라딘 릴로(Aladdin D. Rilo) 정책설계·운영국장을 좌장으로 하여 EU, 미국, 아세안, 한국의 전문가들이 글로벌 AI 규제 동향과 한-아세안 AI 협력 강화 방안을 논의했다.

또한, 아세안사무국 시바람 수페라마니안(Sivaram Superamanian) 디지털경제과 과장이 지난해 2월 제4차 아세안 디지털장관회의(ADGMIN)에서 발표된 ‘아세안 AI 거버넌스 및 윤리 가이드’ 확장판의 제작 과정과 아세안 내 최신 AI 정책 현황도 공유했다.
둘째 날인 9월 19일(금)에는 ‘협력을 통한 ESG & AI 파트너십 촉진’이라는 주제로 한국과 아세안 기업 간 네트워킹 워크숍이 개최된다.

이날 행사는 △기업별 소그룹 토론 △이노베이션 스프린트 △그룹별 발표 총 3개 세션으로 구성되어, 한국과 아세안 기업 관계자들이 직접 교류하고 파트너십을 구축하며 향후 지속가능한 혁신을 위한 실질적 협력 방안을 모색하는 시간이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