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캄보디아서 고문당해 사망한 대학생 송환은 언제 돌아오나?”
캄보디아에서 현지 범죄조직에 의해 고문당해 숨진 20대 한국인 대학생의 시신이 2개월째 한국으로 돌아오지 못하고 있다.
10일 경찰 등에 따르면 지난 8월 8일 대학생 A씨(20대)가 캄보디아 현지에서 사망한 채 발견됐다. A씨가 발견된 곳은 한국인 대상 취업 사기-감금 피해가 주로 발생해온 캄보디아 깜폿주 보코산 지역 인근으로 확인됐다.
현지 경찰은 A씨의 사망증명서에 사망 원인을 '심장마비(고문으로 인한 극심한 통증)'로 적시했다. A씨는 앞서 지난 7월 17일 가족들에게 "현지 박람회에 다녀오겠다"며 캄보디아에 간 것으로 파악됐다.
이후 일주일 뒤 A씨의 가족에게 한국계 중국인(조선족) 말투를 쓰는 협박범이 전화를 걸어와 "A씨가 사고를 저질러 해결해야 한다"며 5000만원이 넘는 돈을 요구한 것으로 전해졌다. A씨 가족은 해당 전화 통화 후 경찰과 외교부에 신고했다. 2주 뒤 A씨는 숨진 채 발견됐다. A씨의 시신은 2달째 캄보디아 현지에 방치된 상태다.
외교부는 "캄보디아 사법당국에 신속한 수사를 요청하고 국내 유족과 소통하며 필요한 영사 조력을 지속 제공 중"이라고 밝혔다. 경찰 관계자는 "지난 달 캄보디아 현지에 경찰 등을 파견해 A씨의 시신을 확인하고 송환하려 했으나, 캄보디아 정부 협조 문제로 늦춰지고 있다"고 말했다.
최근 밀린 빚을 탕감해준다거나 고액 아르바이트를 미끼로 한국인을 캄보디아로 유인해 납치하고 보이스피싱 같은 사기 범죄에 가담시키는 사건이 잇따르고 있다.
이에 지난달 더불어민주당에서도 재외국민 보호 체계를 강화하는 영사조력법 일부개정법률안을 발의했다.
지난 8월 외교부 재외국민보호과와 현지 영사-국내 정보기관 공조를 통해 캄보디아 납치 피해자 구출을 지원했던 박찬대 민주당 의원은 지난달 사건이 발생해도 신고 안내 위주로 이뤄졌던 재외공관의 기능을 탐지와 대응 중심으로 전환하고, 범죄 대응을 위한 인력과 예산을 확대할 수 있도록 하는 개정안을 대표 발의했다.
범죄 조직은 피해자들의 여권과 휴대전화를 빼앗은 뒤 감금하고 고문을 일삼는 것으로도 알려졌다.
캄보디아에서 우리 국민의 실종 또는 납치 신고 건수가 급속도로 늘고 있다. 지난 2022년과 2023년에는 연간 10~20건에 머물렀던 것이 2024년에는 220건, 올해에는 8월까지만 해도 이미 330건을 기록했다. 캄보디아 경찰에 체포된 한국인 역시 2023년 3명에서 2024년 46명으로 급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