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리진 프로토콜이 NFT 경매 시스템을 선보인다. 오리진 프로토콜(Origin Protocol)의 P2P 마켓 플레이스인 디샵(DShop)이 여러 유명 인플루언서들의 NFT를 경매로 판매하는 서비스를 선보였다. NFT는 DJ이자 프로듀서인 블라우(3LAU)의 NFT다. 데뷔 3주년을 기념해 한국 시간 기준 2월 26일 12시부터 28일 12시까지 2일간 진행하고 경매에 참여한 사람들은 총 33개의 NFT 중 1개의 보상으로 스폐셜 에디션 바이닐 레코드와 미공개 음원, 그리고 음악 프로듀싱 작업 경험 등의 상품이 포함됐다. 경매로 나온 Ultravlolet의 앨범 컬렉션은 전체 앨범인 온체인(On-Chain) 토큰화되어있고 경매 종료 후에는 현물 교환을 위한 이메일 초대장이 송부되어 메타데이터가 블록체인에 기록된다. NFT를 재판매할 경우에 실제 제품을 보유하고 있는지 여부에 대해서도 추적할 수 있다. 오리진 프로토콜의 공동 창업자 매튜 리우(Matthew Liu)는, “음악가, 아티스트 및 다양한 분야에 종사하는 크리에이터들이 자신의 가진 비물질적 제화를 수익화하는 효과적인 방법으로 디샵 NFT를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히며, “오리진 디샵의 NFT
코인베이스(Coinbase)가 바이슨 트레일즈(Bison Trails)의 인수에 나섰다. 미국 가상자산 거래소 코인베이스는 사업 영역을 블록체인 인프라 분야로도 확대하기 위해 바이슨 트레일즈 인수를 추진 중이라고 밝혔다. 2019년 11월 코인베이스에서 2500만 달러(한화 약 275억 1250만 원)의 투자를 유치한 바이슨 트레일즈는 코인베이스에 인프라를 제공해왔다. 코인베이스가 바이슨 트레일즈 인수를 추진하는 것은 코인베이스의 생태계이 바이슨 트레일즈가 지대한 영향을 끼치고 있고 차후 사업 영역 확장에도 유리하게 작용할 것으로 판단했기 때문이다. 코인베이스의 인수 금액은 공개되지 않았지만 기존에 코인베이스가 타고미(Tagomi)와 언(Earn)을 인수할 때 1억 달러(한화 약 1099억 원)을 지급한 것으로 미루어 거의 상이할 것으로 예측된다. 바이슨 트레일즈는 코인베이스에 인수된 이후에도 독립된 형태로 거래소, 중개업체 등 고객들에게 담보, 노드 서비스 등을 포함한 기존 제품을 계속 제공할 예정이다. 코인베이스 최고 제품 책임자(CPO)인 수로짓 차터지(Surojit Chatterjee)는 “우리는 암호화폐 경제 참여자들이 어떻게 더 빠르고 더 좋게 발
카카오게임즈가 보라의 개발사인 웨이투빗의 1대 주주가 된다. 지난 17일 카카오게임즈는 웨이투빗의 주식 약 28만 주를 추가로 취득한다고 밝혔다. 취득 이후 총 45.8%의 지분을 보유한 카카오 게임즈는 웨이투빗의 최대주주로 올라서게 됐다. 카카오게임즈 측은 웨이투빗이 보유한 블록체인 기술력과 노하우를 바탕으로 사업 다각화와 글로벌 게임 사업 진출 등 지속 성장의 가능성을 보고 콜 옵션(Call Option)을 행사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웨이투빗은 2017년 설립됐으며 2020년 하반기 본격적인 서비스를 시작하면서 게임 서비스와 블록체인 기술 사업 등을 통해 2020년 매출이 2019년 대비 400% 성장한 약 100억 원이 이를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주요 사업은 블록체인 분야로 개발한 기술의 특허 출원을 진행 중이며, 주소혁신 스타트업인 ‘인포씨드’ 등 성장 가능성을 보유한 기업들과 실생활에 연관된 블록체인 기술을 접목하는 프로젝트를 진행 중이다. 또, 게임 서비스 사업으로 PC 온라인 MMORPG ‘아스텔리아 로얄’, ‘프리프’, ‘라펠즈’, 액션 RPG ‘그랑에이지’ 등 다양한 게임 IP를 한국, 북미, 유럽 지역에 글로벌 퍼블리싱 서비스하고 있다
태국 중앙은행이 블록체인 기반의 국채 발행 플랫폼을 구축하고 16억 달러(한화 약 1조 8336억 원) 규모의 채권을 발행했다. 글로벌 IT 기업인 IBM은 태국 중앙은행과 함께 국가 채권 발행을 위한 블록체인 플랫폼을 구축하고 16억 달러의 국채를 발행 및 판매했다고 밝혔다. 태국채권시장협회에 따르면 2019년 12월 기준 태국 채권시장 규모는 4210억 달러(한화 약 482조 4660억 원)로 분석된다. 기존 시스템에서 채권 발행에 15일이 걸리던 것을 2일로 단축했고, 발행 효율성이 증가해 운영비용 절감과 문서 중복 검증 등 절차 간소화가 이루어졌다고 설명했다. 공공 부채 관리 사무소, 태국 증권 예탁원, 태국 채권 시장 협회 및 4개 민간 은행을 포함한 8개 기관이 협력해 이루어진 이번 채권 발행을 통해 태국 중앙은행은 차후에도 정부의 프로젝트에 국채 발행 플랫폼의 확대 적용이 가능한 것으로 평가했다. 지난 6월에는 중앙은행에서 발행하는 디지털화폐인 CBDC인 ‘디지털 바트화’ 시범 운용을 시작한데 이어 또 다른 블록체인 도입 사례를 만들어낸 태국 중앙은행으 가상자산과 블록체인 분야에서 가장 적극적인 중앙은행으로 꼽히고 있다.
블록체인 스타트업 차일들 리가 운영하는 가상자산 거래소 도브 월렛(Dove Wallet)이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출시했다. 도브 월렛의 모바일 버전은 기존 웹 서비스에서 제공하는 기능들을 모바일 UI에서 최적화된 상황에서 인터넷 브라우저에 상관없이 안정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중점을 둔다. 자산예치 현황을 한눈에 손쉽게 확인할 수 있는 ‘내 지갑’, 빠른 시세정보 확인 및 편리한 자산간 매도 및 매수를 지원하는 ‘시장’, 다양한 보안 및 사용옵션 제공을 위한 ‘내 정보’ 등 초보자들조차 불편함없이 바로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 구현이라는 비둘기 지갑의 철학을 모바일 앱에서도 그대로 담아내고자 하였다. ‘도브 월렛’은 이번 모바일 앱 버전 출시를 계기로, 모바일을 기반으로 한 금융활동이 빠르게 확산되고 있는 아시아, 아프리카, 남미지역 등에서 사용자 기반을 더욱 확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지난 2019년 4월 공식 오픈한 ‘도브 월렛’의 30만 회원 중 90% 이상이 해외 이용자로, 이 중 아시아, 아프리카, 남미지역 이용자 비율이 70%가 넘는다고 밝혔다. 이번 앱 버전 출시와 관련, 김은태 비둘기 지갑 대표는 “모바일앱 출시에 이어 올 하반기 내
블록체인 기반 P2P 마켓 플레이스은 오리진 프로토콜(Origin Protocol)이 자체 스테이블 코인 OUSD를 발행했다. OUSD는 미국 달러(USD)와 연동된 스테이블 코인인 USDT, USDC, DAI와 1:1로 연동된 컨셉의 가상자산이다. OUSD를 스마트 컨트랙트(Smart Contract) 상에 예치시켜두는 것만으로도 이자 농사(Yield Farming)를 통해 예치 이자를 받을 수 있다는 점이 특징으로 은행의 예치금에 이자가 붙는 것과 유사한 기능을 가지고 있다. 오리진 프로토콜은 OUSD 출시로 디파이(De-Fi) 시장에서 좀 더 확고한 위치를 구축하려는 것으로 보인다. 또한, 탈중앙화 P2P 전자상거래 플랫폼 ‘오리진 마켓 플레이스’ 와 ‘오리진 디샵’ 에서 결제 수단으로 쓰인다. 현재 마켓에 결제로 사용되는 스테이블 코인은 메이커다오(MakerDAO)에서 발행한 다이(DAI)가 쓰이고 있다. 오리진 프로토콜은 OUSD가 마켓 플레이스 상에서 고정된 가치를 가진 스테이블 코인으로 안정적 거래를 지원할 것이며, OUSD 보유자에게 제공하는 이자를 통해 마켓 플레이스 사용자들이 더 많은 혜택을 누릴 수 있다고 밝혔다. 오리진 프로토콜의 공동
신한은행이 소상공인진흥공단과 함께 ‘소상공인 정책자금 대출’을 지원한다. 이번 정책자금대출은 비대면으로 기관 및 은행의 방문횟수를 줄이고 대출시행 기간도 단축시켜 고객 업무 처리 절차를 간소화한다는 방침이다. 대출 신청자는 신한 쏠 비즈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해 소상공인진흥공단 정책자금 확인서를 발급하고 대출 신청을 하면 된다. 신한은행은 향후 보증재단의 플랫폼 참여를 통해 소상공인 정책자금 대출업무의 완전 비대면화를 계획하고 있다. 신한은행이 완전 비대면화를 위해 내세운 플랫폼은 자체 블록체인 통합 플랫폼으로 2019년 11월에 소상공인진흥공단과 협약을 체결한 뒤 개발에 착수했다. 플랫폼을 통해 대출을 신청하면 기존 최장 22일에 소요되는 시간을 10일로 단축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또한, 블록체인을 통한 원장 공유로 차후에 신한은행의 여러 서비스들을 접목할 수 있을 지에 대한 파일럿 테스트 성향도 포함됐다. 신한은행 디지털R&D센터 김현조 센터장은 “다양한 금융기관과 정책자금기관들이 연계업무를 수행함에 있어 블록체인 플랫폼을 기반으로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을 가속화할 것”이라며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안전성과 신속성을 기반으로 고객 중심 서비스 제공에
화웨이(Huawei)가 2018년 내놓은 BCS를 2년만에 업데이트한 BCS 2.0을 내놨다. 중국 IT기업 화웨이는 2018년에 블록체인 기반 클라우드 서비스를 내놓은 지 2년만에 사업성 제고에 나서며 BCS 2.0을 선보였다. BCS는 클라우드 상에서 블록체인 어플리케이션의 운영을 지원하는 플랫폼으로 2018년 출시됐고 11월부터 글로벌 서비스를 시작했다. 이번 업데이트는 중국의 블록체인 육성 정책과 맞물린 행보로 볼 수 있다. 중국은 '블록체인 굴기'라 부리는 산업 육성정책에 따라 중국 내 블록체인 기업들이 생겨나고 있다. 화웨이의 전략은 이들을 BCS로 끌어들이는 것으로 보인다. 또한, 5G를 비롯해 기존 IT 사업 영역이 미중 무역분쟁으로 확장에 애로사항이 바생하는 만큼 아직 분쟁의 영향이 없는 블록체인 사업으로 활로를 모색한다는 분석도 나온다. 현재 화웨이의 BCS는 2018년 상용하 이후 중국 내 100여 개의 협력사를 보유하고 있다. 금융, 물류, 정부, 제조, 의료, 에너지, 디지털 자적권 등 7개 분야에서 70여건의 프로젝트를 진행 중이다.
바이낸스(Binance)가 바이낸스 체인의 메인넷 ‘바이낸스 스마트 체인(Binance Smart Chain)’을 공개했다. 세계 최대 가상자산 거래소 바이낸스는 지난 4월 자체 블록체인 플랫폼인 바이낸스 체인(Binance Chain)의 백서를 공개했다. 이후 테스트를 거쳐 정식 메인넷인 바이낸스 스마트 체인을 공개했다. 바이낸스 스마트 체인에는 스마트 컨트랙트(Smart Contract) 기능과 자체 가상자산인 바이낸스 코인(BNB)의 스테이킹(Staking) 매커니즘이 도입된다. 개발자들은 바이낸스 스마트 체인을 통해 분산형 어플리케이션(DApp)을 구축할 수 있는 개발 솔루션을 사용할 수 있다. 크로스 체인 인프라(Cross Chain Infra) 형태의 바이낸스 스마트 체인은 탈중앙화 거래소인 덱스(DEX)와 이더리움 가상 머신(EVM)의 호환성을 통해 이더리움 디앱과의 호환, 그리고 바이낸스 코인(BNB)의 스테이킹의 기능을 통해 생태계를 구축한다. 바이낸스 스마트 체인의 검증자는 지분 권위 증명(PoSA) 합의 메커니즘에 따라 BNB로 블록 보상을 받을 수 있다. 창펑 자오 바이낸스 최고경영자(CEO)는 “바이낸스 스마트 체인은 전 세계 개발자들
부산광역시에 4차 산업혁명 ICT 연구센터들이 속속 모여들고 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정보통신기획평가원이 지원하는 ‘2020년 정보통신방송 혁신인재양성사업’ 공모에서 동의대학교, 부산대학교가 선정됐다. 동의대학교는 인공지능 그랜드 ICT 연구센터를 설립해 2028년까지 국비 150억원, 시비 15억원, 대학 22억 5000만원 등 총 187억 5000만원을 투입해 인공지능 융합 지역전략산업 혁신기술을 개발해, 재직자 대상 인공지능 전문인력 양성과 인공지능 기술이전, 애로기술 지원 등을 수행한다. 부산대학교는 블록체인 플랫폼 연구센터를 유치해 2025년까지 국비 44억원, 시비 4억 4000만원, 민간 5억 9000만원 등 총 54억 3000만원을 투입해 블록체인 기술창업, 석‧박사급 핵심인력 양성, 등을 담당한다. 또한 블록체인 플랫폼 연구센터는 부산대학교를 중심으로 동아대학교, 부경대학교, 서울과학기술대학교가 참여해 블록체인 보안‧서비스‧암호화 기술을 공동 연구할 계획이다. 고급인재 양성과 산학협력을 위한 재직자 전문교육 등 지역산업 연구개발 활성화를 위한 연구기관 역할을 수행한다. 부산시는 “이번 사업 유치로 4차 산업혁명에 대응한 고급인력을 배출해 산
그라운드X(GroundX)에서 개발한 디지털 자산 지갑 서비스 ‘클립’이 출시됐다. 카카오(Kakao)의 자회사인 그라운드X는 블록체인 플랫폼 클레이튼(Klaytn)을 개발하는 회사로 일본에 본사를 두고 있다. 클립은 클레이튼 플랫폼을 이용한 블록체인 기반의 어플리케이션 비앱(BApp)에서 사용되는 가상자산을 보관하고 전송 할 수 있는 기능이 포함되어 있다. 출시된 현재 11종의 가상자산을 클립에서 이용할 수 있다. 클립은 카카오톡의 프로필 화면에서 더보기를 통해 전체 서비스에서 이용가능하고, 카카오 계정과 연동되어 이용할 수 있다. 그라운드X는 클레이튼 기반의 서비스를 선보이고 해외 사용자 확보와 일반 모바일에서도 가상자산을 이용할 수 있도록 생태계를 확장해나갈 예정이다. 한재선 그라운드X 대표는 "클립은 미래 인터넷 패러다임의 핵심 요소인 디지털 자산을 카카오톡이라는 친숙한 플랫폼상에서 경험해 볼 수 있는 서비스"라며 "블록체인에 대한 배경지식이 없어도 이용할 수 있도록 서비스의 사용성과 편의성을 높이는 데 중점을 두고 개발했다"고 말했다.
SK 텔레콤에서 개발한 ‘이니셜’을 사용해 비대면 실명확인을 금융거래에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금융위원회가 SK텔레콤에서 개발한 디지털 실명확인증표 기반 비대면 실명확인 서비스 ‘이니셜’을 혁신금융서비스로 선정했다. 이번에 금융위원회는 이니셜을 포함해 4건의 금융 서비스를 추가로 지정해 총 106건의 서비스가 혁신금융 서비스로 지정됐다. 비대면 금융거래를 위해서는 비대면 실명확인 관련 구체적 적용방안에 따른 ‘실명확인인증표 사본 제출’, ‘영상통화’, ‘위탁기관 등을 통한 실명확인증표 확인’, ‘이미 개설된 계좌와의 거래’, ‘위 4개 사항과 준하는 방식’을 준수해야 한다. SK 텔레콤의 서비스를 이용하게 되면, 최초 1회 실명확인을 거쳐 ‘이니셜’에 저장하게 되면 차후에도 비대면 실명확인을 인정받을 수 있다. 은성수 금융위원장은 "디지털 금융 전환을 위한 실험의 장으로서 샌드박스의 핵심적 역할이 중요해지고 있는 상황"이라며 "금융규제 샌드박스가 규제혁신, 나아가 디지털 금융혁신으로 이어지도록 더욱 내실 있게 운영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