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오롱인더스트리가 베트남 타이어코드 생산 공장을 증설하기로 했다. 내년 9월 완공을 목표로 베트남 남부 빙즈엉(Binh Duong)성에 연간 생산량 1만9200톤 규모의 폴리에스터(PET) 타이어코드 공장 증설을 결정해 684억원을 투자한다고 지난 13일 발표했다. 강철보다 강도가 뛰어난 아라미드 소재를 접목한 타이어코드 투자다. 친환경 자동차 보급 확대에 따라 타이어코드 사용량도 증가할 전망이다. 하이브리드차, 전기차, 수소차 등은 배터리 무게 탓에 내연기관 대비 공차중량이 늘어 타이어 내구성 강화를 위해 타이어코드를 10~20% 더 쓰게 될 것을 전망된다. 베트남 공장의 생산능력은 기존 대비 2배 이상으로 늘어난다. 회사 전체로는 10만3200톤에 이른다. 베트남 빙즈엉성 내 산업단지에 입주한 코오롱인더스트리 베트남 타이어코드 공장은 전 공정에 최신 생산설비를 도입해 원사생산부터 제직, 열처리, 완제품에 이르기까지 일관 생산체계를 갖췄다. 2018년 베트남에 연산 1만6800톤 규모 PET 타이어코드 공장을 신설한 이후 두 번째 추진하는 투자다. 박규대 자동차 소재 사업 총괄 본부장은 “이번 2차 투자로 규모의 경제를 실현하며 가격경쟁력을 통해 시장 지
“태국 찾은 외국인 관광객은 격리 중 골프투어 가능합니다.” 태국 주요 언론매체의 보도에 따르면 태국 보건부는 13일(현지시간) 중부 깐짜나부리와 치앙마이 등에 있는 골프장 6곳을 외국인 관광객용 격리시설로 지정했다고 전했다. 아세안익스프레스는 지난달 7일자로 의무 격리기간 동안 정부가 지정한 골프 리조트 안에서 골프를 즐기는 ‘골프 검역’ 관광객 유치 진흥방안을 보도한 바 있다. 카오야이 지역의 '랜초 찬위 컨트리 클럽'을 비롯해 치앙마이, 람푼, 사라부리 그리고 깐짜나부리를 포함한 전국의 6개 지역 골프코스 리조트가 이미 의무격리 골프검역 숙박시설 기준 마련 요청에 응락했다. 태국은 직·간접 관광수입이 국내 총생산(GDP)의 20%에 달한다. 지난해 태국의 관광수입은 전년대비 70%가 줄어든 것으로 알려졌다. 그동안 태국 정부는 푸켓 등 일부 도서지방에 대한 단기간의 일정지역 격리형 여행 허용, 격리기간 중 골프투어 등을 대책을 세우고 면밀한 검토를 해왔다. 이번 조치가 아세안 최대 관광국가인 태국의 관광진흥을 위한 절묘한 선택이 될지 시선이 집중되고 있다.
조코위 인도네시아 대통령이 ‘코로나19’ 백신 접종 1호를 기록했다. 13일 코로나19 백신 접종 장면을 유튜브 생중계하면서 대통령이 최초 접종에 나선 건 국민들에게 안전성을 강조하기 위해서다. 조코위 대통령은 문진과 체온, 혈압 측정 후 중국 시노백 백신 접종을 받는 과정을 국민들에게 직접 보여주었다. 접종 후 그는 “접종 당시에는 아무런 느낌이 없었으나 2시간이 지난 뒤 아주 살짝 아픔을 느꼈다”고 말했다. 대통령에 이어 하디 군 최고사령관과 이드함 국가경찰장관, 이슬람교 성직자조직인 '인도네시아 무라마평의회(MUI)'의 아미르샤 사무국장 등도 접종을 받았다 인도네시아는 조코위 대통령을 시작으로 내년 3월까지 전체 인구의 70%인 1억8150만 명에게 코로나19 백신을 무료로 접종하기로 했다. 인도네시아는 시노백 백신 완제품 300만회 분을 전국에 수송한데 이어 12일 1500만회 분의 원료물질이 도착함에 따라 국영 제약사 바이오파르마에서 생산을 시작했다. 인도네시아는 시노백 백신을 보건의료인 130만 명, 공무원·공공근로자 1740만 명에게 우선 접종하되 60세 미만에 한정한다. 국민 70%에 백신을 투여, ‘집단면역’ 형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
김현태 방콕무역관장 ② 태국 출신 블랙핑크 ‘리사’ 인기...‘이태원클라쓰’로 한국음식 불티 [방콕=아세안익스프레스 전창관 기자] 태국은 아세안(ASEAN) 제2위 경제대국이자 동남아 역내 최대 제조업 기반을 보유한 중심국가다. CLMV(캄보디아, 라오스, 미얀마, 베트남) 및 메콩강 유역 핵심국가다. 무역 거래 시 태국의 바트화 결제가 통용되는, 신남방 대외무역 확대 개척에 있어 매우 중요한 시장이다. '아세안의 디트로이트'라 일컬어지는 세계 12위의 자동차 산업 보유국이기도 하다. 또한 전기전자 산업의 글로벌 밸류체인 허브국가다. 태국은 소위 '코로노믹스'(코로나 쇼크 이후, 세계 경제의 미래상 구축) 시대를 위해 동부경제회랑(Eastern Economic Corridor) 건설과 타일랜드 4.0 구축을 통한 각종 미래산업 육성을 통해 동남아 중심국가로서의 위상 공고화에 나서고 있다. 아세안익스프레스가 신축년(辛丑年)을 맞아 신년특집 인터뷰로 "한국 선진디지털 기술의 태국진출 특급파트너"를 자처한 코트라(KOTRA) 방콕무역관 김현태 관장을 만나봤다. ■ 태국 넷플릭스의 드라마-영화 톱15에 한국 작품 7개 ...‘이태원클라쓰’ 한국음식 ‘붐’ 이끌어 [
아카 AI가 시리즈 B 투자로 약 190억 원을 유치했다. 인공지능 스타트업 아카 AI(AKA AI)가 2020년 12월이 시리즈B 투자를 진행했고 1750만 달러(한화 약 190억 원)의 투자를 유치했고 누적 투자금은 3120만 달러(한화 약 341억 9520만 원)에 도달했다. 미국과 일본 자회사에서 진행된 이번 시리즈 B에는 쿼드자산운용, 이오지에프 파트너스, 청담러닝, 김상범 전 넥슨 이사가 참여했다. 청담 러닝은 전략적 비즤스 관계를 통해 인공지능 기반의 사업을 진행 중이며, 쿼드자산운용과는 지속적인 파이낸셜 파트너 관계를 맺을 계획이다. 아카 AI는 시리즈B 투자를 본격적인 인공지능 엔진 뮤즈(Muse)의 고도화, 서비스형 소프트웨어(SaaS) 비즈니스 모델을 확장하고 국내외 시장 확대에 활용할 방침이다. 이오지에프 파트너스, 김상범 전 이사는 “기존 아카 투자자로서 아카의 인공지능 기술 고도화와 현재 집중하는 영어 교육 분야의 ‘디지털 전환(Digital Transformation)’을 통해 카테고리 리더가 될 것에 의심의 여지가 없어 전폭적인 투자를 결정했다”고 말했다. 아카는 이번 시리즈 B 투자를 통해 기존 CB 투자금도 모두 주식으로 전환
포항공과대학교 인공지능연구원과 음성 AI 전문기업 미디어젠이 양해 각서(MoU)를 체결했다. 미디어젠(대표 고훈)은 포항공대 인공지능연구원과 인공지능 공동 연구 및 사업화 과정에서 인공지능 데이터 확보와 기술 고도화를 위해 협력하며 각 기관이 보유한 기술, 데이터, 인력 등을 적극적으로 활용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인공지능 기술 개발을 가속화하고 원천 기술을 발굴해 인공지능 분야 기술 경쟁력 향상을 추진한다. 미디어젠은 음성 및 언어 인공지능 전문 연구소인 남즈(NAMZ) 연구소를 운영 중이며, 다양한 인공지능 학습을 위한 음성 데이터 수집으로 인공지능 데이터에서 경쟁력을 보유하고 있다. 스마트 클봇, 인공지능 영어 교육, 공항철도 스마트 음성 발권 서비스 등의 사업도 진행 중이다. 포항공대 인공지능연구원은 인공지능, 빅데이터, 사물 인터넷 등 미래 핵심 기술을 중점적으로 연구하며 교육과 연구의 융합 시너지 효과를 바탕으로 산업체와 적극적으로 협력해 새로운 산학협력 모델을 창출하고 있다. 더불어 4차 산업을 선도할 핵심 역량인 정보통신기술(ICT) 및 인공지능 전문가 양성 역할을 수행해 국가 경쟁력 제고에 이바지하고 있다. 미디어젠 고훈 대표는 “세계적인
두산 이노베이션 모빌리티(Doosan Mobility Innovation, DMI)가 수소 연료전지 드론 상용화에 성공했다. 두산 이노베이션 모빌리티는 수소 연료전지로 구동되는 드론을 통해 원격으로 인도적 구호 물품을 전달하는 방식의 드론 활용에 대해 연구 중이다. 2시간 동안 비행이 가능한 수소 연료전지 드론은 미국령 버진아일랜드와 제주도에서 응급의료물을 인근 섬으로 배송하고 한라산에 AED 배송 등의 임무를 수행했다. 두산 이노베이션 모빌리티의 수소 연료전지 기술은 확정된 비행거리와 부하 용량을 통해 모바일 로봇 개발을 가속화할 것으로 기대된다. 모바일 기기용 수소용 연료전지를 개발하기 위해서는 소재 과학에서 시스템 레벨의 설계 최적화 등의 기술이 요구된다. 모빌리티의 핵심은 소형화 및 경량화 그리고 효율성이다. 장시간 안정적인 비행과 높은 에너지 출력과 내구성도 결합되야 한다. 이를 위해 스텍의 겨량화는 물론 높은 전력밀도의 파워 트레인을 구성해 주변 부품을 포함한 파워팩 전반에 대한 설계를 단순화해 시스템을 최적화 해야 하며 이를 시스템의 PDN(Power Delivery Network)로 구현했다. 두산 이노베이션 모빌리티은 PDN에서 고효율 및 높
남양주시(시장 조광한)가 세계적으로 유행하고 있는 코로나19의 삼엄한 경계를 뚫고, 해외 전시회에 진출한 관내 기업 3개사를 지원해 수출에 성공하는 쾌거를 이뤘다. 지난해 12월 3일부터 5일까지 진행된 베트남 호치민 전시회에는 남양주시의 중소기업 대연, 웰렉스, 지앤브이 3개사가 참여, 27건의 수출 상담을 통해 590,000달러(약 6억 4841만 원)의 수출 계약을 추진했으며 이 가운데 현장 계약은 9만7000달러에 달하는 실적을 거두었다. 하이브리드 전시회는 현지 전시 부스에 물품 진열 및 현지 통역원을 배치하여 관내 기업은 한국에서 온라인 상담으로 진행되었다. 이번 전시회는 남양주시를 비롯한 관내 기업 및 수출 위탁 기관인 경기도 경제과학진흥원의 적극적인 소통을 통해 진행되었으며, 최초로 시도된 하이브리드 형식으로 수출에 성공하여 코로나19 하에 진행되는 전시회 방식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된다. 이에 조광한 남양주시장은 “2021년에도 온라인, 오프라인, 하이브리드 및 수출 유관 기관과의 적극적 협조 등 모든 형태의 지원을 통해 관내 기업을 응원하겠다. 남양주시 기업 힘내십시오!”라고 응원의 메시지를 보냈다. 또한 이용복 산업경제국장은 “어려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