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셜미디어가 견인하는 태국 이커머스가 ASEAN 내 2위 규모 시장으로 부상했다. KOTRA 태국 방콕무역관에 따르면 태국 이커머스 시장은 2024년 1조 1000억 바트(약 335억 달러, 약 48조 323억 원) 규모를 기록해 전년 대비 14%를 성장했다. 인도네시아에 이어 ASEAN 내 2위 규모 시장으로 부상했다. 태국 전자상거래 시장의 ‘소셜커머스(Social Commerce)’ 부문 매출은 2024년 7억 1527만 달러(약 1조 254억 8,259만 원)에 이를 것으로 추정되었다. 가히 디지털세대의 진격이다. 18세 이상 성인의 소셜미디어 이용률이 83%대까지 올라 온라인 소비 전환을 견인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2024년 태국의 전자상거래 총거래액은 전년 대비 21.7% 증가한 235억 달러(약 33조 7,178억 원)로, 인도네시아(5%)·베트남(15.9%) 등 주변국을 크게 앞서며 동남아시아에서 가장 빠른 성장세를 기록했다. 이러한 구조적 변화는 태국을 ‘동남아 소셜커머스 혁신의 테스트 허브’로 부상시키고 있다. 이와 함께 한국 기업에게도 현지 인플루언서 협업 및 실시간 소통 중심의 브랜딩 전략이 중요해지고 있다. 아세안익스프레스는 202
“한국 기업, 말레이시아 수출 확대와 미래 협력 기반 마련되었다.” 이재명 대통령은 동남아시아국가연합(ASEAN, 아세안) 정상회의 참석차 10월 26일 의장국인 말레이시아 ‘안와르 이브라힘(Anwar Ibrahim)’총리와 첫 정상회담을 갖고 한-말레이시아 자유무역협정(이하 FTA)을 타결했다. 산업통상부 여한구 통상교섭본부장은 10월 26일 쿠알라룸푸르에서 뜽쿠 자프룰(Tengku Zafrul) 말레이시아 투자통상산업부(MITI) 장관과 함께 한-말레이시아 FTA 협상을 최종 타결하고 공동선언문에 서명하였다. 이번 한-말레이시아 FTA는 단순히 관세 인하나 시장 개방을 넘어, 제도-규범-협력 구조 전반을 상향 표준화한 ‘통합형 협정’이라는 점에서 특징적이다. 상품 분야에서는 기존 RCEP 대비 완화된 원산지기준을 통해 공급망 내 생산 연계성이 강화됐다. 서비스·투자 분야에서는 네거티브 리스트-래칫-ISDS 등 고도화된 규범이 포함됐다. 또한 협력 분야에서는 디지털-녹색경제-할랄산업을 새로운 통상협력 축으로 설정하여 양국 간 산업협력의 범위를 실물경제와 신산업 영역으로 확장시켰다. 이번에 타결된 한-말레이시아 FTA는 한국 체결한 27번째(협상 타결 기준)
이재명 대통령 부부와 로렌스 웡 (Lawrence Wong) 싱가포르 총리부부가 2일 오찬장에서 폭소가 터졌다. 처음 분위기를 풀기 위해 이 대통령이 테이블에 있는 꽃 한송이를 뽑아 루 즈 루이 싱가포르 총리 부인에게 “우리 여사님을 위해서 특별히 준비했습니다”라고 살짝 선물을 했다. 유머스러운 상황에 싱가포르 총리 부인의 돌발발언이 일동이 긴장했다. 자칫 분위기를 썰렁하게 할 수도 있다. 하지만 역시 유머스럽게 대응하면서 반전시켰다. 총리 부인은 “제 남편은 꽃을 안사줘요”라고 대답했다. 싱가포르 총리도 환하게 웃었지만 어쩔 줄 몰랐다. 김혜경 여사도 “진짜 그런가요~?”라고 웃으며 응대하면서 분위기를 한껏 끌어올리며 폭소가 터져나왔다. 이 상황을 정리하는 것은 이 대통령. “우리 여사님이 바로 꽃이신데”라고 말하면서 오찬장이 폭소로 가득찼다. APEC 정상 회의 일정을 마친 이재명 대통령은 일요일인 2일 싱가포르 총리와 오전 11시부터 서울에서 정상회담과 오찬을 가졌다. 이 회담을 계기로 양국 관계를 '전략적 동반자 관계'로 격상하기로 했다. 올해로 한국과 싱가포르는 수교 50주년을 맞는다. 싱가포르는 한국의 중요한 경제 협력국 (아세안 내 교역 2위,
“한국-필리핀은 정말로 특별한 우방, 전략적 동반자 관계 1주년 뜻깊다” 이재명 대통령은 10월 31일, 경주화백센터에서 APEC 정상회의 참석을 계기로 방한한 페르디난드 로무알데즈 마르코스 주니어 대통령을 만났다. 이 자리에서 양국 관계, 영사 협력, 한반도 문제 등 공동 관심 현안에 대해 논의했다. 이 대통령은 “올해가 한국과 필리핀이 ‘전략적 동반자 관계’를 수립한 1주년이다. 지난 8월 전화 통화에 이어 마르코스 대통령을 만나게 되어 더욱 뜻깊다”고 밝혔다. 마르코스 대통령은 “이 대통령의 리더십 아래 APEC 정상회의가 성공적으로 개최되고 있다”며 축하의 뜻을 전했다. 이 대통령은 필리핀이 한국전쟁 때 파병한 것을 회상하며 "아주 많은 세월 한국과 필리핀은 우방으로 서로 지원하고 협력해 왔다"고 강조했다. 특히 “대한민국이 국난에 처했을 때 필리핀에서 아주 많은 군대를 파견해 함께 싸워주셨다"며 "한국 국민은 필리핀의 그 기여와 헌신, 희생을 잊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두 나라 정상은 올해로 1년을 맞은 한-필리핀 FTA가 양국 간 경제 협력 확대에 실질적으로 기여하고 있다는 데 공감하고, 앞으로도 필리핀 내 한국 기업들의 원활한 활동을 위해 긴밀
“한국과 태국, 깊은 우정 위에 미래 협력의 문을 열겠습니다.” 이재명 대통령은 10월 29일 APEC 정상회의를 위해 경주를 찾은 아누틴 찬위라꾼(Anutin Charnvirakul) 태국 총리와 화백국제컨벤션(HICO)에서 회담했다. 이 대통령은 아누틴 찬위라꾼 총리를 만나마자 故시리킷 왕태후의 별세에 깊은 애도를 표했다.. 이어 한-태국 전략적 동반자 관계 발전 방안에 대해 심도 있게 논의했다. 아누틴 총리는 경제적, 문화적 유대를 강화하는 동시에 시급한 인도주의 및 노동 문제를 제기했다. 태국과의 300억 달러 규모의 무역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그리고 태국 관광객과 근로자의 입국 거부 문제를 해결할 것을 촉구했다. 이 대통령은 “태국은 6·25전쟁 당시 대한민국의 자유와 평화를 위해 함께 싸운 소중한 우방국이었다. 지금은 매년 약 220만 명의 양국 국민이 서로 왕래하는 가까운 이웃이다. 중요한 통상 파트너이자 방위산업 협력국이다”라고 말했다. 내무부 장관을 겸임하고 있는 아누틴은 “태국 총리는 풍부한 역사적 유산을 지닌 개최 도시 경주가 태국의 아유타야 주와 유사하다. 두 나라 관계를 심화시키기 위해 이 대통령을 초청하여 가능한 한 빨리 태국을 공
순천시산림조합이 높은 부실채권비율과 당기순손실 급증, 부실대출 발생으로 경영 부실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아세안익스프레스가 순천시산림조합 2025년 상반기 경영자료를 분석한 결과, 고정이하여신은 지난해 12월 132억원에서 194억원으로 47%나 급증했다. 이로 따라 자산건전성을 나타내는 중요 지표인 고정이하여신비율도 10.02%에서 15.12%로 상승했고, 순고정이하여신비율도 12.26%에 달했다. 이는 전남·광주 22개 산림조합 가운데 가장 높은 수치로, 지역 평균치인 4.49%를 크게 웃돈다. 고정이하여신은 전체 대출 중 3개월 이상 연체되어 원금이나 이자를 받지 못한 부실채권을 말한다. 새마을금고의 경우 이 비율이 9%를 넘으면 최하위 등급인 5등급(위험)으로 분류되어 자산건전성에 적신호가 켜진 것으로 본다. 순고정이하여신비율은 고정이하여신에서 대손충당금 등 손실흡수 가능 자산을 차감한 뒤 산출한 비율이다. 또 다른 자산건전성 지표인 연체대출비율도 8.03%로 전남·광주 평균 5.12%보다 높았다. 장흥, 해남, 나주, 광주에 이어 다섯째로 높은 수준이다. 특히 지난 2월에는 31억원의 부실대출이 발생한 것으로 공시됐다. 대손충당금 역시 2023년 3
한-아세안센터(사무총장 김재신)는 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KOFICE), 실크로드시앤티(SILKROAD C&T) 공동주최로 2025년 11월 1일 베트남 호찌민시 밀리터리 존 7 실내 체육관에서 ‘2025 한-아세안 뮤직 콘서트: Going Together in Viet Nam’을 개최한다. 이번 콘서트는 한-아세안 교류와 협력을 선도하는 국제기구인 한-아세안센터가 민·관 기관과 협력하여 마련한 첫 대규모 문화교류의 장이다. 이번 무대에는 K-POP과 V-POP을 대표하는 인기 아티스트들이 총출동하여 약 3,000명의 현지 관객 앞에 선다. 한국 가수로는 다국적 멤버로 구성된 인기 걸그룹 케플러(Kep1er)와 필리핀 국적의 멤버가 활동 중인 보이그룹 아홉(AHOF), '태권 트로트'의 선두주자 나태주가 무대에 오른다. 이와 함께 베트남 인기가수 민(Min)과 득푹(Đức Phúc)이 함께하며 현장의 열기를 뜨겁게 달굴 예정이다. 특히, 한국을 대표하는 걸그룹 소녀시대의 멤버 수영과 베트남 국영방송(VTV)의 메인 아나운서 망 끄엉(Mạnh Cường)이 공동 MC를 맡아 양국 문화의 가교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아울러 이번 행사는 자선 행사로써
“한국은 베트남을 아세안 지역의 핵심 전략 파트너로 중시한다” 이재명 대통령은 10월 30일 경주에서 열리는 APEC 정상회의에서 르엉 끄엉(Lương Cường) 베트남 주석과 정상회담에서 두 나라를 ‘포괄적 전략적 동반자 관계’ 수준으로 심화하기로 합의했다. 두 나라 정상은 경제-노동-기술 분야를 중심으로 한 협력 강화 방안을 논의하고, 양국의 협력이 상호 실익과 균형을 중심으로 발전하길 기대한다고 강조했다. 이재명 대통령은 베트남의 뛰어난 치안 상황을 치하했다. 끄엉 주석은 “베트남에서 한국과의 교역 비중이 매우 높다. 특히 베트남을 찾는 한국인 관광객의 수가 연간 460만 명에 달한다”며 한-베트남 관계의 돈독함을 강조했다. 두 나라는 ▲2030년까지 교역액 1,500억 달러 달성, ▲첨단기술·디지털 전환 공동 연구, ▲노동력 송출 확대, ▲산업 기술이전 및 인적교류 활성화 등 4대 실천과제를 포함한 '한–베 협력 로드맵' 추진에 합의했다. 특히 베트남은 한국 기업의 장기 투자환경 보장과 노동 분야 협정 개정을 통해 파견 인력의 체류 기간을 확대하기로 했다. 한국은 베트남 교민의 체류 안정과 기업의 투자 애로 해소를 위한 제도적 지원을 강화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