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화투자증권이 핀테크 기업 두나무의 주식 206만 9450주를 현금 취득하기로 결정했다고 공시했다. 이는 전체 주식의 6.15%에 해당하는 주식이다. 이번 주식 인수로 환산되는 두나무의 주식가치는 9403억 원에 이른다. 연합뉴스에 따르면, 주식 취득 예정일은 2월 22일로, 미국 IT 기업인 퀄컴(Qualcomm)으로부터 주식을 매수한다. 202년 설립된 두나무는 가상자산 거래소인 업비트(Upbit)와 주식 거래 플랫폼인 증권플러스를 운영하는 핀테크 솔루션 기업이다. 지난 2019년 말을 기준으로 두나무의 주식은 송치형 의장이 26.8%, 김형년 부사장 14.3%, 케이큐브1호 벤처투자조합이 11.7%, 카카오가 8.1%를 보유하고 있다. 한화투자증권 관계자는 “핀테크 성장세 대응을 위해 결정한 신기술 보유회사 중장기 투자”라며 “회사가 최근 디지털 금융을 강화하는 상황에서 핀테크 분야 성과를 기대하고자 혁신금융 서비스 기술을 보유한 두나무와 협업하게 됐다”고 말했다.
가상자산 거래소 업비트 태국이 정식 서비스를 시작한다. 가상자산 거래소인 업비트(Upbit)를 운영하는 두나무(대표 이석우)가 태국 증권거래위원회(SEC)로부터 본인가를 받아 ‘업비트 태국(Upbit Thailand)'가 정식서비스를 시작한다. 업비트 태국은 태국 증권거래위원회에서 디지털 자산 거래소, 디지털 토큰 거래소, 디지털 자산 위탁매매, 디지털 토큰 위탁매매 등 4개 분야의 라이선스를 획득했다. 2020년 8월 태국 현지 사업자 중 최초로 4개 분야 예비 인가를 취득 한 후 5개월 만에 정식 감사를 마치고 본인가를 받아 서비스를 시작할 수 있게 됐다. 태국 현지 시간으로 20일 개장한 업비트 태국은 한국 업비트의 전문성과 노하우를 바탕으로 거래 환경을 제공할 방침이다. 업비트 태국 파라데 탄루엉폰 CEO는 “경험과 노하우, 전문성을 더해 태국 최고의 디지털 자산 거래 환경을 제공할 것”이라며 “혁신적인 서비스를 위해 당국의 인가를 받은 사업자를 비롯, 글로벌 전역의 주요 사업자들과 협력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한편, 두나무는 2018년 10월 업비트 싱가포르 서비스 오픈을 시작으로, 인도네시아에서 정식 디지털 자산 거래소 등록을 완료하고 현지 상품선
업비트 인도네시아가 가상자산 선물 거래소 설립에 나선다. 업비트 인도네시아는 가상자산 선물 거래소인 DFX(Digital Future Exchange) 구축을 위해 합작법인을 설립했다. DFX 합작법인에는 업비트 인도네시아, 인도닥스, 집멕스, 핀투 등 인도네시아 상품선물거래규제국(Bappebti)에서 정식 승인한 거래소와 자카르타 선물거래소(Jakarta Futures Exchange, JFX)와 KBI(Kliring Berjangka Indonesia) 클리어링 하우스 등이 참여한다. DFX 합작법인은 가상자산과 파생 상품의 거래가 가능한 선물 거래 시스템을 상품선물거래규제국의 규제 하에서 구축한 뒤 회원들에게 제공할 계획이다. 상세한 계획은 10월 31일까지 추가 파트너사 영입을 완료 후에 공개할 예정이다. 인도네시아의 가상자산 거래소와 선물 거래소인 JFX, 클리어링 하우스 KBI가 참여해 각 영역별 전문성을 통해 가상자산 생태계를 혁신적으로 주도할 것으로 업비트 측은 기대하고 있다. 스테파너스 루민탱 (Stephanus Paulus Lumintang) 자카르타 선물거래소 대표는 "DFX를 통해 가상자산에 특화된 선물 거래소를 구축하는데 많은 관심을
플레이댑이 업비트 인도네시아와 업비트 싱가포르 상장을 추진 중이다. 비아이뉴스(Beinews)에 따르면, 업비트 인도네시아(Upbit Inonesia)와 업비트 싱가포르(Upbit Singapore)를 운영하는 업비트 APAC를 통해 플레이댑(Playdapp)의 플라(PLA)가 상장을 추진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플레이댑은 위메이드트리, 웨이투빗과 함께 국내 블록체인 게임업계의 대표 기업이다. 업비트 APAC는 업비트 인도네시아와 업비트 싱가포르를 운영하는 법인으로 한국의 업비트와는 다른 상장 심사 및 상장 규정을 적용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플레이댑은 지난 9일 오전9시까지 프라이스 서베이를 통해 1 PLA 당 0.00000397BTC(약 47원)으로 가격이 결정되어 100만 개가 팔렸다. 이는 총 발행량 25억 개 중 0.04%에 해당하는 100만개다. 프라이스 서베이는 네덜란드식 경매의 ‘더치 옥션’ 방식을 채택했다. 더치 옥션은 전체 물량의 입찰이 마감될 때까지 최고가부터 시간에 따라 순차적으로 입찰가격이 내려가는 경매 방식을 의미한다. 업비트 APAC은 클레이(KLAY), 디카르고(DKA), 톤(TON), 밀크(MLK), 온버프(ONIT) 등을 프라
디지털 자산 거래소 업비트를 운영하는 두나무(대표 이석우)는 ‘업비트 태국’(대표 피라데 탄루엉폰 / Peeradej Tanruangporn)이 태국 증권거래위원회(이하 태국 SEC)로부터 디지털 자산 산업 (Digital Asset Business) 4개 분야에 대해 예비 허가를 획득했다고 12일 밝혔다. ‘업비트 태국’은 태국 SEC가 감독하는 디지털 자산 사업 분야 중 ▲암호화폐 거래소 ▲디지털 토큰 거래소, ▲암호화폐 위탁매매, ▲디지털 토큰 위탁매매 총 4개에 대한 예비 허가를 모두 획득한 첫 사업자이다. 특히 암호화폐와 디지털 토큰 사업에 대한 허가를 함께 획득해 현지법상 허용되는 모든 디지털 자산의 매매를 지원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업비트 태국’은 SEC 감사 완료 후 현지 고객을 대상으로 거래소와 더불어 다양한 디지털 자산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다. ‘업비트 태국’ 피라데 탄루엉폰 대표는 “태국 사업자 중 최초로 4개 라이센스를 모두 획득함으로써 이용자에게는 최상의 디지털 자산 서비스를 제공하고 글로벌 파트너들과 혁신적인 비즈니스 모델을 만들어 나갈 수 있을 것”이라며, “업비트와 같은 신규 사업자들의 등장으로 태국 블록체인 산업이 빠
"특금법은 암호화폐산업 발전에 큰 진전을 가져올 것이다." 특금법 개정안이 국회 본회의에서 최종 의결됐다. 금융위원회 청부 입법으로 제윤경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2018년 3월 대표발의한지 2년만이다. 개정안이 통과됨에 따라 블록체인 산업에 일대 지각변동이 예상된다. 의결된 개정안은 2021년 3월부터 시행될 예정이다. 지난 4일 국회 법사위를 통과한 ‘특정 금융거래정보의 보고 및 이용 등에 관한 법률’의 개정안, 일명 특금법 개정안이 5일 국회 본회의에서 최종 의결되면서 금융위원회의 금융정보분석원(FIU)이 가상자산 사업자(VASP)를 관리감독하게 된다. 개정된 특금법은 기존에 은행 등 전통적인 금융기관에만 부여되었던 국제자금세탁방지기구(FATF)의 자금세탁방지(AML)나 고객바로알기(KYC) 등의 규제 가이드라인을 가상자산 사업자(VASP)에게도 부여하는 것이 골자다. 가상자산 사업자도 이 가이드라인을 준수함과 동시에 국내 사업자들이 준수해야할 법적인 근거와 행정적 시행령 등이 정해질 수 있는 바탕이 된다. ◆ 국회 본회의에서 전원 찬성으로 통과된 특금법 개정안, 핵심은 시행령 2019년 11월 21일에 국회 정무위원회 법안심사소위원회를 통과한 특금법 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