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영선 서울대 아시아연구소 객원연구원·前 한-아세안센터 사무총장 '신남방정책 플러스' 지난해 11월 12일 제21차 한-아세안 정상회의가 화상 방식으로 개최됐다. 2020년 아세안 의장국인 베트남에서 개최되어야 했으나,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해 역사상 처음 비대면으로 열렸다. 이번 회의 기간 중에는 한-아세안 정상회의에 이어 한-메콩(태국·미얀마·라오스·캄보디아·베트남) 정상회의, 아세안+3(한·중·일) 정상회의 및 동아시아 정상회의(EAS)가 개최됐고, 역내 포괄적 경제동반자협정(RCEP)이 서명됐다. 이 글에서는 우선 한국의 신남방정책이 어떤 배경에서 탄생했고 그 특징이 무엇이며, 그간 어떤 성과를 거두었는지 점검해 본다. 이어 신남방정책 플러스 전략으로 업그레이드하게 된 배경과 향후 추진방향을 살펴본 후, 신남방정책이 한국의 주요 외교정책으로 일관성 있게 지속되기 위해서는 무엇이 필요한지 제시하고자 한다. ■ 남방정책의 배경과 의미: 한반도 4강 외교서 외교다변화 지평 확대 2017년 5월 취임 직후 문재인 대통령은 아세안 및 인도와의 관계를 한반도 주변 4강 수준으로 격상시키겠다는 신남방정책(New Southern Policy)을 천명하고, 아세안
“아세안의 문화-관광-음식-라이프스타일을 더 가까이” 한-아세안센터(사무총장 이혁)는 코로나19 상황 속에서 어려워진 아세안 여행의 그리움을 해소하고, 보다 가까이에서 아세안을 만나고 여행할 수 있는 디지털 콘텐츠 제작 프로젝트를 아세안 10개국과 공동 추진했다. 지난해 11월 한 달간 성공리에 개최된 ‘2020 아세안 문화 관광 쇼케이스: The Next ASEAN’ 후속으로, ▲K-컬처 대표 주자 김준수와 함께 아세안의 관광지를 소개하는 ‘아세안 팸투어 2020’ 영상, ▲아세안의 문화, 역사, 음식, 관광지 등 아세안 여행에 대한 종합적인 정보를 제공하는 ‘아세안 관광’ 웹페이지, ▲아세안 각국의 대표 음식 및 전통과 현대를 아우르는 라이프스타일을 소개하는 ‘아세안 컬리너리 아트북’이 공개된다. ■ ‘아세안 팸투어 2020’ -말레이시아 필리핀 태국 관광청 공동제작 말레이시아, 필리핀, 태국 관광청과 공동으로 제작한 ‘아세안 팸투어 2020’ 영상은 한국 대중들이 영상을 통해 언제든지 아세안 여행지를 경험하고 추억을 회상할 수 있도록 구성되었다. 특히, 대표 한류스타 김준수가 내레이터로 참여해 아세안의 매력적인 관광지를 소개한다. 2월 15일부터 19일
김해용(64) 전 뉴질랜드 대사가 한-아세안센터 차기 사무총장에 최종 결정됐다. 한-아세안센터는 9일 제13차 연례 이사회를 온라인으로 열어 내정했던 김 전 대사의 사무총장 임명을 확정했다. 4월 중순께 부임할 예정인 그의 임기는 3년이다. 아세안센터는 한국과 아세안 10개국, 총 11개 회원국의 관계 부처 고위관료 및 주한 아세안 대사로 구성된 이사회를 매년 서울에서 개최해 왔다. 올해는 코로나19 상황을 감안하여 비대면 화상회의로 진행했다. 김 신임 사무총장은 서울 출신으로 서울대 언어학과를 졸업하고 1983년 외무고시 제17회에 합격해 외무공무원을 시작했다. 외무부 국제협약과, 통상 2과, 구주연합대표부, 통상정책기획과장, 다자통상협력과장을 거쳤다. 대통령 정책기획실 행정관과 외교통상부 통상법무관실 통상전문관, 지역통상협력관, 주제네바대표부 공사참사관, 자유무역협정교섭국장을 지내다 미얀마 대사와 뉴질랜드 대사로 근무했다. ASEAN(Association of Southeast Asian Nations)은 동남아국가연합이다. 회원국은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필리핀, 싱가포르, 태국, 브루나이, 베트남, 라오스, 미얀마, 캄보디아 등 10개국이다. 한-아
한-아세안센터(사무총장 이혁)는 1월 27일 오후 2시 유튜브 생중계로 '한-아세안 청년 학술 웨비나'를 개최했다. 국립외교원 아세안인도연구센터, 인도네시아 전략문제연구소(CSIS)와 공동으로 열린 웹비나(웹+세미나)는 ‘포스트 코로나19 시대의 한-아세안 디지털 협력’을 주제로 진행되었다. 지난해 8월부터 11월까지 개최된 ‘제5회 한-아세안 학술에세이 공모전’ 수상자 10팀(대상(1), 최우수상(2), 우수상(3), 장려상(4))에 대한 시상과 수상작 발표로 진행됐다. 한국과 아세안 수상자 전원이 줌을 통해 온라인으로 참여했다. 시상식에 앞서 이혁 한-아세안센터 사무총장, 필립스 버몬트(Philips Vermonte) 인도네시아 CSIS 소장, 최원기 국립외교원 아세안인도연구센터장이 축하와 심사평을 전했다. 또한, 로도라 바바란(Rodora T. Babaran) 아세안 사무국 인력개발국장이 '포스트 코로나 회복이라는 과제에 있어 한-아세안 청년들의 역할'에 대한 영상 기조강연을 했다. 수상작 발표는 경제 분야와 사회문화 분야로 나눠 총 2개 세션으로 진행됐으며, 김형종 연세대 국제관계학과 교수, 조원득 국립외교원 아세안인도연구센터 교수가 발표에 대한 코멘
한-아세안센터(사무총장 이혁)가 ‘포스트 코로나19 시대 한-아세안 연계성 협력’을 주제로 ‘제8차 아세안 연계성 포럼(ASEAN Connectivity Forum)'’ 웨비나를 개최했다. 1월 19일 오후 1시 30분부터 열린 웨비나(웹+세미나)는 일부 주요 참석자만 서울 웨스틴 조선호텔 현장에서 참여하는 온라인 포맷으로 진행됐다. 개회식에서는 이혁 한-아세안센터 사무총장이 개회사를, 롬마니 카나누락(Rommanee Kananurak) 주한태국대사(주한아세안대사단(ACS) 의장)이 축사를 했다. 최종문 외교부 제2차관이 특별 축사를 했다. 그는 “아세안 연계성 포럼은 2013년 첫 개최 이후 지난 8년 간 아세안 인프라 사업에 대한 정보 교환, 민관 합작 활성화, 각 분야 기업들을 위한 비즈니스 기회 창출 등에 기여함으로써 역내 연계성 강화를 위한 한-아세안 협력의 핵심 역할을 해 왔다”고 말했다. 이어 “한국 정부 또한 신남방정책 플러스를 바탕으로, 아세안 스마트시티 네트워크와 인프라 사업 참여를 통해 아세안 연계성마스터플랜(MPAC) 2025를 지속적으로 지원하고 아세안 연계성을 위한 파트너십을 더욱 강화해 나갈 것”라고 강조했다. 첫번째 세션은 ‘포스
한-아세안센터(사무총장 이혁)와 경기창조경제혁신센터(센터장 신현삼)는 12월 2~3일 이틀간 ‘2020 한-아세안 스타트업 위크: 온라인 챌린지’ 결선을 개최했다. 이번 행사는 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위해 전면 온라인으로 진행됐다. 이틀 간 한국과 아세안의 18개 초기 단계 스타트업이 영상을 통해 사업 아이디어를 피칭 하고, 국내외 벤처캐피털 및 액셀러레이터들과 온라인으로 실시간 질의응답을 했다. 피칭 내용과 질의응답을 바탕으로 심사를 진행해 총 4팀을 최종 선발, 시상했다. 전체 행사는 한-아세안센터 유튜브를 통해 생중계되어 100여명이 실시간으로 시청했다. ▲1등은 농업을 기반으로 하는 미얀마 지역사회에 종합적인 디지털 플랫폼을 제공하는 미얀마 빌리지 링크(Village Link), ▲2등은 화물 소유자, 물류 업체, 트럭 운전사를 단일 시스템으로 연결해주는 플랫폼을 피칭한 한국 코코넛 사일로(Coconut Silo), ▲3등은 인도네시아 외곽 지역 거주민들의 삶의 질 개선을 위해 헬스케어 서비스 앱을 제공하는 닥링크 인도네시아(Doclink Indonesia), ▲4등은 소상공인들에게 전자상거래 기회를 제공해 고객들에게 다양한 제품을 선보이는 라오스 쇼
한국 및 아세안 10개국 22개 스타트업이 참여하는 ‘온라인 챌린지’가 12월 2~3일 온라인으로 개최된다. 한-아세안센터(사무총장 이혁)와 경기창조경제혁신센터(센터장 신현삼)는 12월 2일(수)~3일(목) 이틀간 개최되는 ‘2020 한-아세안 스타트업 위크: 온라인 챌린지’ 결선에 참가할 한국 및 아세안 10개국 스타트업 22개사를 선정했다고 발표했다. 올해 세번째로 개최되는 ‘한-아세안 스타트업 위크’는 아세안의 유망 스타트업들을 한국에 소개해 투자 유치를 지원하고, 나아가 한국과 아세안의 호혜적 투자환경 조성과 기술 기반 창업생태계 활성화에 기여하고자 중소벤처기업부와 협력하여 매년 개최되어 왔다. 특히, 올해는 아세안중소기업조정위원회(ACCMSME: ASEAN Coordinating Committee on Micro, Small, and Medium Enterprises)와도 협력하여 진행된다. 아세안중소기업조정위원회(ACCMSME)는 아세안 중소기업 정책 논의를 위해 아세안 10개국 부처 고위급으로 구성된 아세안 사무국 산하 조직위원회다. 이번 대회는 각 국가를 대표하는 ICT분야 스타트업 중 투자경험이 없는 초기 단계의 스타트업을 대상으로 한다. △
"아세안 우수 디자인 여기 있소이다~" 한-아세안센터(사무총장 이혁)는 24일 '한-아세안 우수 디자인 공모전' 시상식을 유튜브 생중계로 개최했다. 공모전은 지난 5월부터 7월까지 두 달 간 한-아세안센터가 한국디자인진흥원(KIDP), 베트남 무역진흥청(VIETRADE)와 공동으로 개최했다. 아세안 9개국(브루나이, 인도네시아, 라오스, 말레이시아, 미얀마, 필리핀, 싱가포르, 태국, 베트남)에서 접수된 총 46개 작품 중 전문가 10명의 심사를 거친 총 9개 디자인 제품을 선정, 시상했다. 시상식에서는 이혁 사무총장이 개회사를, 윤주현 한국디자인진흥원 원장과 부바푸(Vu Ba Phu) 베트남 무역진흥청(VIETRADE) 국장이 영상을 통해 각각 환영사와 축사를 했다. 수상자들은 영상으로 수상 소감을 전했고, 주한 아세안 대사 및 대사관 관계자들도 온라인으로 시상식을 함께 했다. 또한, 김득주 디토 대표가 심사위원단 대표로 참석해 공모전 심사평과 수상작들에 대한 소개를 했다. 최우수상은 싱가포르 디자인업체 TRIA의 패스트푸드점 간편 개봉 포장 용기에게 돌아갔고, 1등(우수상)은 필리핀 Kalinga Food Treat가 필리핀 칼링가 지역 특색을 살려 종이
“포스트코로나 시대, 한국과 태국이 나아가야 할 새로운 방향 찾겠다.” 한-태소사이어티(상임대표 김홍구, 공동대표 박진아)는 지난 20일 부산외국어대학교 국제회의실에서 ‘신남방정책과 포스트코로나’를 주제로 부산외국어대학교(총장 김홍구) 특수외국어사업단, 아세안연구원과 공동세미나를 개최했다. 한-태소사이어티(KTS)는 2018년 한-태 수교 60주년을 기념하여 양국 간 관계발전 기여를 목적으로 발족한 민간기구다. 지난해에 이어 두 번째로 주최한 이번 세미나는 주한태국대사관의 지원을 받았다. 태국관광청과 태국투자청, 아세안문화원, 대외경제정책연구원, 경기관광공사, 성신여자대학교, 아세안비즈니스센터 등 민-관-학 다양한 분야에서 활약하고 있는 전문가가 세미나에 참여하여 발표와 토론을 이끌었다. 이번 세미나는 △코로나 시대 한-태 경제・무역 현안과 협력 △코로나 시대의 문화 소통 △코로나 시대의 특수외국어 교육의 방향이라는 주제로 크게 3부로 구성되다. 김홍구 부산외대 총장이자 한-태소사이어티 상임대표의 개회사, 반차 연용 총 차론(Bancha Yuenyongchongcharoen) 주한태국대사관 공사의 기조 연설에 이어, 정해문 前 한-아세안센터 사무총장과 전재만
‘아시아 디자인 소재전’에서 아세안 10개국의 디자인을 관람해보세요! 한-아세안센터(사무총장 이혁)와 한국디자인진흥원(원장 윤주현)은 오는 11월 19일부터 12월 18일까지 온라인으로 진행되는 ‘디자인 코리아 페스티벌 2020’에 참가해, 아세안 10개국의 디자인을 선보이는 ‘아시아 디자인 소재전’을 공동으로 개최한다. 행사 기간 동안 디자인 코리아 페스티벌 공식 웹사이트에서 VR 전시를 통해 아세안 10개국 대표 디자인 소재와 디자인 제품들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아세안 디자인에 관심 있는 기업과 디자이너들을 위해 한-아세안센터 공식 유튜브 채널에서 참가 기업들에 대한 소개와 홍보 영상도 게시될 예정이다. 이번 전시에서는 아세안의 전통적인 소재인 실크나 라탄 뿐만 아니라 쌀겨나 재생 고무와 같은 독특한 소재로 만들어진 제품들을 만나볼 수 있다. 제품 종류 또한 유리 공예품부터 전구 등 다양해 아세안 디자인 산업의 발전 정도를 가늠해 볼 수 있는 자리가 될 예정이다. 인도네시아 참가사인 ONG CEN KUANG의 BUDIMAN ONG은 영상을 통해 “인도네시아의 유행이 세계시장의 유행을 반영하여 형성되고 있다”며 “시장이 발달하고 젊은 세대들의 디자인에
한-아세안센터(사무총장 이혁)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원장 박혜자)은 11월 14일(토)과 12월 4일(금) 두 차례에 걸쳐 ‘주한아세안교수협의회(CAPK) 워크숍’을 공동 개최한다. 코로나 시대에 비대면 교육 현장에 있는 주한 아세안 교수들의 역량강화와 한-아세안 교육분야 협력 강화를 위해 마련한 워크숍이다. 주한아세안교수협의회(Council for ASEAN Professors in Korea, CAPK)는 한-아세안센터가 국내 거주 아세안 교수 및 학자들의 네트워킹과 역량강화를 위해 2019년 발족한 조직이다. 한-아세안센터는 2019년 한국교육학술정보원과 공동으로 한-아세안 이러닝 교육 협력 관련 학술 컨퍼런스를 개최, CAPK 소속 교수들이 주도적으로 참여한 바 있으며, 이번 워크숍은 그 후속 프로그램으로 기획됐다. 1차 워크숍은 오는 11월 14일(토) ‘이러닝 콘텐츠 제작 및 사례 공유’를 주제로 개최된다. 국내 대학에 재직중인 아세안 출신 교수와 학자들이 코로나19로 인해 변화된 교육 환경에 성공적으로 적응하기 위한 △온라인 교육 콘텐츠 제작 노하우, △실제 온라인 교육 현장 사례 등을 공유한다. 또한, ‘아세안 사이버 대학 프로젝트’ 등 한-아세
한-아세안센터는 11월 5일부터 8일까지 광주 김대중컨벤션센터에서 열리는 ‘2020 광주 ACE Fair’에서 동남아 국가들의 문화콘텐츠를 전시하는 ‘아세안 콘텐츠 쇼케이스’를 열었다. 이번 콘텐츠 협력 프로그램에서는 아세안 9개국(브루나이, 캄보디아,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미얀마, 필리핀, 싱가포르, 태국, 베트남)의 애니메이션, 웹툰, 게임, 캐릭터 등 다양한 콘텐츠 영상자료를 전시관을 통해 현장에서 직접 만났다. 쇼케이스와 더불어 참가 기업들은 이번에도 1:1 비즈니스 미팅을 통해 협력을 모색한다. 5일부터 20일까지 개최되는 ‘해외 바이어 초청 온라인 상담회’에는 말레이시아의 IP 제작, 개발을 전문으로 하는 2D 애니메이션 스튜디오(84 Animation Studio Sdn Bhd), 필리핀의 게임 아트 아웃소싱 스튜디오(Definite Studios), 인도네시아의 애니메이션 스튜디오를 겸비한 콘텐츠 제작 기업(Bunnydog Studio) 등 다양한 콘텐츠 기업들이 참여하여 한국 기업들과 공동제작, 유통 파트너 발굴, 라이선싱, 투자 유치 등에 대해 논의할 예정이다. 이혁 한-아세안센터 사무총장은 “이번 전시를 통해 아세안의 다채롭고 수준 높