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미얀마 군부 남녀 강제징집 발표 후 ‘탈출’ 시도 청년들 왜?

BBC, ‘탈출’ 시도하는 청년들 중 2명 외국대사관서 압사 집중 조명

 

“우리는 인간방패가 될 수 없다”

 

BBC 2월 27일자는 미얀마 군부가 남녀 강제징집 발표 후 청년들의 모습들을 보도했다.

 

최근 미얀마에서는 서로 먼저 여권을 신청하려고 경쟁하고 그 과정에서 2명이 압사로 숨졌다. 외국 대사관 앞에는 끝없는 줄이 이어졌다. 모두 ‘탈출’ 시도하는 청년들의 모습이었다.

 

미얀마 군부는 지난 2021년 2월 1일 쿠데타로 정권을 잡았다. 군부는 문민정부가 전체의 83.2%에 달하는 의석을 석권하며 승리한 2020년 11월 총선이 부정선거였다면서 2021년 2월 1일 쿠데타를 일으켰다.

 

첫날부터 78세의 아웅산 수치(Aung San Suu Kyi) 국가고문을 가택연금했다. 수치 여사 외 비롯한 선거로 선출된 지도자를 투옥시켰고, 지난해 8월에야 수치여사에 대한 33년형 중에서 6년을 감형하고 가택연금으로 전환했다.

 

2021년 쿠데타 발발 이후 가장 크게 피해를 입은 것은 무고한 시민들이다. 유엔 보고에 따르면 쿠데타가 발발한 2021년 이래 미얀마에서 발생한 실향민 수는 260만 명이 넘는다. 현지 미디어 미야와디에 따르면 2021년 쿠데타 이후 지난해 8월까지 144건의 민간인 학살을 자행해 1595명을 살해했다.

 

 

■ 지난해 10월 저항군 ‘1027 작전’ 두 달 만에 20여 개 도시 탈환 영토 60% 차지

 

하지만 무장 저항단체들의 반격이 강해져 내전상태로 변했다. 특히 지난해 10월, 군부는 쿠데타 이후 최대 위기에 몰렸다.

 

2023년 10월 27일, 미얀마 북동부에 자리한 샨주 북부의 12개 도시에서 세 개의 소수민족무장단체 연합군인 ‘형제동맹’이 군부군에 대한 일제 공격을 개시했다.

 

'형제동맹'은 인도와 중국 국경을 따라 전초지기 수십곳을 점령했다. 몇몇 요충지에서는 군부가 고전을 면하지 못했다.

 

 

망명정부를 자처하는 ‘국민통합정부’는 저항군은 전체 영토 60%를 차지했다. 1월 11일 중국의 중재로 미얀마 군부와 소수민족무장단체들간의 휴전 협정이 있기는 하지만 미얀마 전역에서는 교전을 계속되고 있다.

 

이 같은 상황에서 군부 저항운동에 주도적인 역할을 해온 미얀마 청년들에게 강제 징집령이 떨어지면서 상황이 혼돈사태로 변했다.

 

BBC는 현지 시민운동가 로버트의 말을 인용해 “청년들은 외국인들과의 싸우는 것이 아니라 내전인데 군 입대는 군부의 잔학행위에 기여한다. 군에 끌려가는 것보다 국외로 탈출하려고 한다”고 보도했다.

 

■ 4월 5000명 징집, 강제 징집령은 인간방패 전략? ...부유층 자녀 ‘탈출’ 노려

 

강제징병제는 실제 군부가 궁지에 몰려 있다는 징후로 해석된다. 그리고 반군부 혁명을 주도하는 청년들을 제거하기 위한 수단이라는 지적도 나왔다. 결국 내전에서 인간방패로 사용할 것이라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미얀마는 2010년 징병법이 처음 도입되었다. 하지만 실행하지 않다가 지난 10일 군부가 18~35세의 남성과 18~27세의 여성에게 최소 군복무를 발표했다.

 

조민 툰 군정대변인은 “전체 5600만명 중 4분의 1이 복무대상이다. 현재로서는, 여성을 징집대상에 포함할 계획은 없다. 4월 중순 초기 5000명을 모집한다”고 전했다. 징집들 거부할 경우 징역 3~5년형과 벌금을 받을 수 있다.

 

이 같은 소식에 일부 청년들은 SNS에 “징집을 피해 승려가 되겠다” “일찍 결혼을 하겠다”고 적었다. 군부는 종교인, 기혼 여성, 장애인, 복무부적합한자, 징집위 면제자 등 영구적으로 징집을 면제받을 수 있다고 발표한 바 있다.

 

 

하지만 군부는 언제나 아무나 체포하고 납치할 수 있다. 이 때문에 경제적으로 여유가 있는 시민들의 자녀들은 징병대상이 되기 전 영주권이나 시민권을 위한 태국이나 싱가포르 등 해외 이민을 고려 중이다.

 

관련기사

포토리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