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2월 14일 대우전자부품(이하 ‘대우부품’이 북미향 전기차용 배터리 히터(승온히터) 공급업체에 선정됐다고 공시했다. 공급품목은 전기차용 배터리 히터(승온히터)로 북미향 현대‧기아자동차의 전기 자동차 3개 차종을 대상으로 납품한다. 공급 예정시기는 2024년부터 2030년이며 예상매출액은 36,958,000,000원이다. 1973년 설립한 자동차 부품 전문 제조사인 대우전자부품은 1990년대 대우그룹 계열사로 관계사인 대우자동차에 부품을 공급해 매출 규모가 연간 3,000억 원에 달했다. 1997년 외환위기 이후 대우그룹이 해제되면서 2008년 법정관리에 돌입하면서 위기를 겪으면서 자동차 차체 전문 제조사인 아진산업에 종속된 상태다. 대우부품은 2021년 차량용 반도체 공급난에도 불구하고, 친환경차 시장의 수요 증가에 힘입어 전년 대비 31% 증가한 매출 995억 원, 영업이익은 적자 10억 원에서 흑자 17억 원으로 전환에 성공했다.
지난 12월 13일 KT와 몽골중앙은행이 몽골 현지의 카드 이용 확대 등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하면서 한국과 몽골 간의 금융 협력이 강화될 전망이다. 몽골에 진출한 한국 기업과 몽골을 찾는 한국 여행객을 비롯해 한국을 방문한 몽골인들의 번거로움도 해소할 수 있는 양국 간의 금융서비스가 구축될 예정이다. KT 그룹 계열사인 BC카드를 내세워 상호국에서 금융 결제가 이루어진다. 몽골은 인구 약 70%가 40세 이하일 만큼 온라인 결제 시장의 잠재력을 지녔다. 하지만 그간 몽골 온라인 쇼핑시장 등에서는 국내 신용카드 결제가 불가해 소비자 경제 활동에 제약이 많았다. 몽골중앙은행은 최근 1년 새 KT를 비롯해 국내 은행과 아시아개발은행(ADB), 글로벌 핀테크 기업 등 이해당사자들 간의 지원을 받아 지불(Payment)시스템을 구축하는 등 많은 공을 들여왔다. 몽골중앙은행이 추진 중인 ‘지불 시스템 개혁 프로젝트’는 자국 민간은행의 글로벌 표준화가 핵심으로 원격 판독 등을 위한 EMV기술을 적용해 미국의 VISA카드를 적극 활용중이다. 이번 협약은 한‧몽 양국 국민과 기업 활동에 활력을 넣을 것으로 보인다. 몽골 화폐인 ‘투그릭’과 연동된 T카드와 BC카드
대우산업개발이 상주 도청신도시 간 도로건설공사를 수주하면서 주택사업 뿐 아니라 공공분야 사업에서 성과를 올리고 있다. 지역의무 공동도급공사로 일주건설과 함께 대우산업개발이 공동 사업자로 낙찰됐다. 전체 공사비는 약 240억 원 규모이다. 상주 도청신도시 간 도로건설공사는 사업기간은 약 60개월이며 경상북도 상주시 계림동부터 상주시 사벌국면 매협리 일원 도로 확장 및 포장공사이다. 상주시 사업뿐 아니라 충청북도 용화천 용화지구 지방하천정비사업을 서광건설과 함께 수주했다. 대우산업개발은 충청북도 영동군 용화면 안정리에서 용화리 일원에 걸쳐 교량 재가설 등을 진행한다. 전체 공사비는 약 100억 원 규모이며 지역의무 공동도급공사로 서광건설과 함께 시공한다. 대우산업개발 관계자는 “대우산업개발의 기술 경쟁력을 바탕으로 공동도급사와 함께 성공적으로 사업을 진행할 것”이라면서 “주택사업과 함께 공공건설사업도 전국에 걸쳐 활발히 확대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대우산업개발은 공공건설사업과 더불어 주거 브랜드 이안(iaan)을 활용해 ▲천안 부창구역(주택 재개발 정비사업)을 포함하여 ▲당진(공동주택사업) ▲서산(지역 주택조합 사업) ▲대전(대흥동 주상복합 사업) 등
12월 5일 대우건설이 서울 강동구 길동의 삼익파크아파트 재건축 사업의 시공사로 선정됐다. 삼익파크아파트 재건축 사업은 지하 3층, 지상 35층 아파트 14개동 총 1501가구와 부대복리시설을 신축하는 사업으로, 공사 도급액은 4,746억이다. 대우건설은 이 아파트의 브랜드로 ‘써밋 듀 포레’(Dieu FORET)를 제안했다. 세계적인 건축 디자인 그룹인 저디(JERDE)가 설계를 맡아 세련되고 고급스러운 외관과 5가지 테마의 정원을 선보인다고 회사 측은 설명했다. 이번 수주로 2022년 대우건설의 도시정비사업 부문 누적 수주액은 5조 2,763억 원으로 5조원을 돌파해 2021년 최대 실적(3조 8,993억원)을 경신했다.
검사장비 상장사 힘스가는 와 185억 6,000만 원 규모의 계약을 체결했다고 공시했다. 이번에 체결된 계약의 내용은 디스플레이 제조장비이고, 계약 기간은 2022년 11월22일부터 2023년 6월11일까지이다. 그리고, 총 계약금액 185.6억원은 힘스의 최근 매출액인 505.8억원 대비 32.27% 수준이라고 밝혔다. 힘스는 설립 24년이 된 베테랑 검사장비 기업으로 반도체‧디스플레이‧일반산업자동화 관련 머신비전 모듈 장비 제조 기업이다. 2017년 코스닥 상장했으며, 2022년 10월에는 산업용 ERP로 기존 사내 시스템을 교체하는 등 혁신을 추진 중이다.
디이엔티가 미국 얼티엄 셀즈(Ultium Cells LCC)에 2차전지 제조장비 공급계약을 체결했다. 계약금액은 22,074,315 달러(원화 299억 2,614만 8,845원)로 최근 매출액 대비 70.8%에 해당한다. 계약기간은 2022년 11월 23일부터 2023년 10월 1일까지다. 디이엔티의 장비에 대한 고객사의 수요가 지속적인 수주로 이어지면서 수주 후 매출 인식까지 9개월 이내에 가능하기에 2023년 실적은 기대해봐도 다른 숫자를 보여줄 것으로 전망했다. 디이엔티의 2022년 매출액은 42.3% 증가한 603억 원이며 영업이익은 83.3% 증가한 22억 원이다. 수치적으로 분석하면 2023년 예상 매출액은 1139억원, 영업이익은 213억원으로 추정된다. 디이엔티의 기술 경쟁력에 기반한 양극재 레이저 노칭 장비 평균판매단가(ASP)도 상승추세다.
미국 제약사 화이자(Pfizer)가 혈액치료제 제조사 ‘글로벌 블러드 테라퓨틱(GBT)’ 인수에 54억 달러(원화 약 7조 500억 원)을 배팅했다. 1주 당 68.5 달러를 지불하는 것으로 지난 8월 4일 GBT 종가 대비 43%의 프리미엄을 가격이다. 겸상 적혈구 질환(Sickle-cell disease) 치료제인 '옥시브리타'를 제조하는 ‘글로벌 블러드 테라퓨틱’은 2022년 2억 6000만 달러(원화 약 3,300억원)의 매출을 올릴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겸상 적혈구 질환(Sickle-cell disease)은 유전자 돌연변이로 인해 적혈구가 낫 모양으로 변하고 제대로 기능하지 못하는 질환으로 미국에서 약 7만~10만명에게 영향을 미치는 유전성 질환이다. 화이자는 코로나19 백신과 치료제를 통해 확보한 자금력을 바탕으로 기업 인수 행진을 펼치고 있다. 20201년 813억 달러(원화 약 106조 2,200억 원)의 매출을 올린 화이자는 2020년 대비 2배의 매출을 올렸다. 코로나19 치료제인 팍슬로비드가 추가되면서 2022년에는 1,000억 달러(원화 약 130조 6,500억 원)의 매출이 기대되고 있다. 화이자는 앞서 5월에 편두통 치료제 제조업
테슬라가 2022년 회계연도 2분기 실적을 발표했다. 2분기 자동차 총 생산량은 25만 8,580대로 2021년 2분기 대비 25% 증가했다. 인도량은 25만 4,695대로 2021년 2분개 대비 27% 증가했다. 특히 상하이의 기가팩토리가 생산능력이 75만대를 넘어서면서 기가팩토리 중 1위의 생산공장이 됐다. 미국 캘로피나아 공장이 65만대로 2위, 독일 베를린 공장이 25만, 미국 텍사스 공장이 25만대로 공동 3위를 기록했다. 실적을 발표하면서 테슬라 CEO 일론 머스크는 중국 시장에서의 경쟁에 대해 낙관적인 입장을 내놨다. 중국 전기차 경쟁사들을 존중한다는 입장을 밝히면서도 현재 최고의 중국 전기차 제소사는 사실상 테슬라 차이나임을 강조했다. 재무보고서에 따르면 2분기 테슬라는 전년 동기 대비 42% 증가한 169억 3400만 달러(원화 약 22조 2,343억 원)의 영업이익을 냈고 순이익은 22억 6900만 달러(원화 약 2조 9,791억 원)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