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오스 국가통계국은 2022년 12월 라오스 인플레이션율이 2021년 같은 기간보다 39.27% 증가해 계속 치솟았으며, 이는 2022년 라오스 인플레이션율 중 가장 높은 달이라고 밝혔다. 라오스 통계청 대표는 시장에서 기본 상품군의 가격이 계속 상승하면서 2022년 12월 라오스의 인플레이션율이 치솟았다고 말했다. 구체적으로 식품 및 비알코올 음료의 가격은 45.3%, 보건서비스 및 의약품은 42.1%, 운송서비스업은 50.2% 상승했다. 라오스의 2022년 12월 물가 상승률 지속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은 미국 달러‧태국 바트‧중국 위안화 등 강세 외화에 대해 통화인 라오스 킵(kip)의 지속적인 평가절하를 사유로 뽑혔다. 라오스 킵의 평가절하는 국내생산요소인 수입품군을 포함하여 수입활동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쳐 라오스 국내생산원가와 상품가격을 증가시켰다. 라오스의 인플레이션율은 2022년 1월 6.25%에서 11월 38.46%로 계속 상승한 뒤 12월에도 계속 치솟고 있다. 최근 발표된 전망에서 아시아개발은행(ADB)은 라오스의 평균 인플레이션율이 2022년 23%대에 도달하고 2023년 10%까지 떨어질 것으로 전망했다.
라오스 입국 시 코로나19 영문접종증명서 제출 의무가 폐지되었다. 주 라오스한국대사관은 공지를 통해 라오스 정부가 코로나19 관련 출입국 지침을 변경해 2022년 12월 26일부터 백신접종증명서 불요하다고 알렸다. 그동안 라오스 입국 시 백신접종증명서 또는 코로나19 음성확인서 제시했던 절차가 없어지게 된 것이다. 아래는 주 한국대사관 공지 전문, ‘라오스 정부는 2022.12.23.(금) 코로나19 관련 출입국 지침 변경을 공지(총리실 No. 1914)한바, 기존 지침(총리실 No. 627/2022.5.7.)에 따라 시행되었던 라오스 입국 시 백신접종증명서 또는 코로나19 음성확인서 제시가 12.26.(월)부터는 불요함을 알려드립니다.’
주라오스대한민국대사관은 오는 11월 17일 오후 6시 크라운플라자 호텔(Lane Xang BallRoom)에서 국경일 리셉션을 개최할 예정이다. 대사관은 “재라오스 동포 여러분께 개별적으로 초청장을 발송하지는 않을 예정이다. 참석을 희망하시는 분들은 행사 준비를 위해 성명 및 휴대전화번호를 대사관 이메일(laos@mofa.go.kr)로 11월 8일까지 알려주시기 바란다”고 공지했다. 참석자들의 복장은 정장이나 전통복이다.
태국-라오스의 ‘우정의 다리’가 공정률 56%를 기록했다. 비엔티안타임즈(vientianetimes) 10월 31일자에 따르면 “보리캄사이와 부엉칸 사이의 다섯 번째 라오스-태국 우정의 다리가 2023년 말 완공돼 2024년 초 개통될 예정”이다. 다리는 메콩 유역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대나무 입 오르간인 '칸'의 특징에서 영감을 얻어 주탑 디자인을 한다. 다리에는 두 개의 차도가 있는데, 각 방향에 하나씩 있고, 양쪽에 갓길과 인도가 있을 것이다.총 길이는 810m의 다리 경간, 라오스 쪽 130m의 접근 고가교, 태국 쪽 410m의 접근 고가교를 포함해 1,350m가 될 것이다. 2021년 1월 초에 착공해 지금까지 56% 이상이 완공됐다. 이 다리는 2024년 초에 완공되어 사용될 것으로 예상된다. 판캄 빕하반 라오스 총리와 쁘라윳 짠오차 태국 총리는 보리캄사이주에서 열린 제5차 라오스-태국 우호교 착공식에 참석했다. 양국의 고속도로망과 연결되는 4차선 도로, 국경통제시설(BCF)과 양측의 계량소, 그리고 라오스 BCF와 가까운 교통 전환 등이 있다. 라오스 쪽 연결도로는 베트남과 중국 남부로의 연결도 제공한다. 태국으로부터 중국 남부, 라오스 중부로부
‘한-메콩 비즈니스 포럼’이 코로나19 이후 2년만에 대면으로 열렸다. 외교부는 라오스 외교부와 공동으로 올해 10주년을 맞이하는 ‘한-메콩 비즈니스 포럼’을 9.14.(수) 라오스 비엔티엔에서 개최했다. 이번 포럼은 한국무역협회, 한국수입협회 및 라오스 상공회의소가 공동 주관했다. 메콩 5개국은 메콩강 유역 동남아 5개국으로 캄보디아, 라오스, 미얀마, 베트남, 태국이다. 한국측에서는 최영삼 외교부 차관보, 라오스측에서는 ‘통판 사반펫’(Thongphane Savanphet) 외교부 차관이 수석대표로 참석했다. ‘싸이반딥 라스폰’(Xaybandith Rasphone) 라오스 상공회의소 부회장과 김현철 한국무역협회 글로벌협력본부장, 김병관 한국수입협회장 등 한국과 메콩 5개국의 경제인들과 공무원 100여 명이 참여하였다. 올해 포럼은 ‘글로벌 공급망 재편 및 디지털 전환에 따른 한-메콩 경제협력’라는 주제 하에 개최되었다. 참석자들은 코로나19 등으로 인한 공급망 재편을 비롯하여 세계 산업 구조가 빠르게 변화하는 상황에서 한-메콩 경제협력을 강화하기 위한 방법으로 디지털 전환을 활용하는 방안을 논의했다. 포럼은 ▲‘공급망 위기와 디지털 전환 속 한-메콩 협력
라오스 정부가 올해 90만 명 해외관광객 유치하겠다고 전망을 내놨다. 비엔티안 타임스 9월 1일자에 따르면 ‘라오스 정부 관광 통계 보고서는 올해 90만 명의 외국인 관광객을 유치할 계획이며 이는 2억 1,800만 달러(약 2957억 3880만 원) 이상을 창출할 것으로 예상’했다. 관광산업 전망은 5월 9일 국제관광객들에게 개방된 이후 긍정적으로 변했다. 최근 몇 달 사이에 관광객의 입국수가 큰폭으로 증가했다. 문화관광부 관광개발부가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5월에 3만 5980명 이상의 관광객들이 라오스를 방문했고 6월에는 17만 1800명 이상으로 증가했다. 올해 상반기 라오스에 도착한 외국인 관광객 21만 1898명 중 60% 이상이 태국, 30%가 베트남, 나머지는 아시아 태평양 국가들에서 왔다. 유럽, 미국, 한국, 중국, 일본에서 온 고급 관광객들은 아직 많이 돌아오지 않고 있다. 유럽에서는 러시아-우크라이나 갈등이 경제 침체와 인플레이션에 기여하는 연쇄적인 영향을 미쳤다. 중국에서는 지속적인 COVID-19 규제 조치로 인해 사람들의 여행이 방해되고 있다. 보고서는 ‘라오스는 태국, 베트남, 캄보디아 등 인접국가를 방문하는 장거리 관광객들에게 큰
P2E 게임 플랫폼 크립토아크(CRYPTO ARC)를 개발 서비스하는 이델코테인먼트는 라오스 SBS컨설팅과 MOU를 체결했다고 30일 밝혔다. SBS컨설팅은 라오스에서 정유공장과 쇼핑몰 및 포털사이트를 운영하는 회사로, 전직 수상 통싱탐마봉의 조카가 이끄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크립토아크는 36단계로 나뉘는 P2E 게임으로 오는 9월 서비스 오픈이 예정되어 있다. 게임은 플랫폼 내 농장을 운영하며 NFT를 획득, 거래, 판매하여 수익을 올릴 수 있는 시스템이다. 양사는 이번 MOU를 통해 라오스 내 아이피 제공 및 정보 협력으로 플랫폼 유저 인프라를 확대할 예정이다. 앞서 이델코테인먼트는 베트남 서비스를 위해 현재 기업인 드라곤 아시아 인베스트&트레이딩컴퍼니와도 MOU를 체결한 바 있다. 박재성 이델코테인먼트 회장은 "이번 협력으로 라오스 무대 진출에 발판을 마련하게 돼 기쁘다"라며 "베트남, 라오스에 이어 앞으로도 글로벌 유저 확보에 박차를 가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박 회장은 최근 열린 제15회 월드블록체인서밋 마블스, 727 NFT 메타 코리아 2022 컨퍼런스 등 국내 블록체인 행사에 연사로 참여하여 크립토아크와 국내 P2E 생태계에 대해…
코로나19로 건설이 지연되었던 라오스 ‘보케오 국제공항’ 공정률이 75%을 보이고 있다. 비엔타인 타임즈(Vientiane Times) 3일자에 따르면 ‘보케오 주에 건설 중인 국제공항이 현재 75% 완공되었다. 연말 국내선 운행이 가능하고 내년에는 국제선 운행이 예정된다’고 전했다. 건설 담당자는 “당초 공사기간은 18개월이 예상되었다. 그러나 코로나19로 지연이 되었다”며 “2020년 9월 시작된 공사 중 여객터미널, 관제탑 등이 6월까지 완공되고 10월까지는 통신시스템, CCTV 등의 설치가 완료될 것”이라고 밝혔다. 보케오 국제공항은 홍콩 회사로부터 BOT 형식으로 약 2216억 3750만 원(1억 7500만 달러)를 투자받아 공사가 진행 중이다. 보잉 747 및 에어버스 320 등 대형 여객기를 수용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최대 연간 1500만~200만 명의 승객 수용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 보케오 국제공항, 아세안 특히 동남아시아에서 연결국가 이점과 위치 보케오 국제공항이 주목받고 있는 건 아세안 특히 동남아시아에서 연결국가 이점과 위치 때문이다. 아세안국가 중 유일한 내륙 국가인 라오스는 엄청나게 길고 큰강인 메콩강이 라오스 전역을 걸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