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상자산 거래소 코빗(Korbit)이 KYC를 위해 신한SIGN을 도입했다. 6월 1일 코빗은 본인 확인 및 다중 인증 등을 위한 용도로 신한SIGN 서비스를 도입했다고 밝혔다. 가상자산거래소 중 최초로 사례로 본인 인증과 입출금을 위한 다중인증(Multi-factor authentication, MFA)이 신한SIGN을 통해 가능해졌다는 것이 코빗의 설명이다. 신한SIGN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로부터 전자서명인증업무 운영기준의 준수를 인정받은 ‘전자서명인증사업자’이며, 방송통신위원회로부터 본인확인기관으로 지정받은 신한은행의 인증 서비스다. 신한은행의 신한인증서를 깁나으로 서비스 이용자의 주민등록번호 없이도 이용자를 식별해 본인임을 확인하는 본인확인 서비스를 제공하며, 전자서명과 간편인증의 서비스도 추가로 제공하고 있다. 코빗 오세진 대표는 “신한SIGN 서비스 도입으로 코빗 고객은 기존 ARS 전화를 통한 다중 인증 방식 대비 더욱 편리하고 안전하게 본인 확인이 가능해졌다.”며 “코빗은 앞으로도 고객 만족도 제고를 위해 다양한 서비스를 도입하겠다.”고 밝혔다.
6월 2일 빗썸의 빗썸경제연구소가 마지막 리포트 ‘과거 사례로 알아보는 SEC vs. 가상자산 리플은 어떻게 될 것인가?’를 발행했다. SEC-리플랩스 소송 결과 예측을 통해 미국증권거래위원회(Securities and Exchange Commission, SEC)와 리플랩스의 소송 결과에 상관없이 리플의 거래 자체는 존속될 것으로 예상했다. 보고서는 과거 SEC가 가상자산의 증권성을 문제 삼아 행정 및 사법 조치를 취한 24건의 사례들의 사실관계와 고소장, 판결문 등을 분석하고, 과거 SEC 근무 경력이 있는 변호사와의 심층 인터뷰를 통해 리플의 향후 행보를 예측했다. 이를 통해 보고서는 리플랩스가 재판에서 패소하더라도 미국 유통시장에서 퇴출되지 않고 계속적으로 거래될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다. 그 근거로 SEC는 리플 재단의 투자자금 모집 등을 문제 삼아 미등록증권 발행 및 판매 행위 등에 해당하는 미국 증권법 5(a), 5(c) 위반을 이유로 소를 제기했다. 하지만 ①과거 동일 혐의를 받았던 재단들이 벌금형 등을 부과 받았을 뿐 상장폐지 되지 않았으며, ②SEC는 소 제기 시부터 현재까지 법원에 리플의 상장폐지에 대해서는 요구하지 않고 있다. 또 ③그간…
5월 31일 인터파크는 2023년 4월 거래액이 2,593억 원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이는 2022년 4월 거래액인 1,268억 원과 대비해 104% 증가했으며 코로나19 이전인 2019년 4월과 비교해도 18% 증가한 추세다. 인터파크는 코로나19로 인해 줄어든 여가 수요가 되돌아온 것으로 분석했다. 그간 인터파크는 해외여행 리오프닝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믹스 왕복 항공권 서비스, 개인 여행객을 겨냥한 자유일정을 더한 세미 패키지 등과 같은 서비스와 상품을 선보여왔다. 또한 국내외 유명 공연․전시 인벤토리를 활용해 증가하는 여가 수요를 선점하려 했다. 인터파크 관계자는 “엔데믹 이후 여행 수요가 꾸준히 증가함에 따라 다양한 상품군과 고객 혜택 등을 통해 거래액도 가파르게 성장하고 있다.”며 “앞으로도 고객 중심 서비스와 상품을 지속 선보여 국내 대표 여행․여가 플랫폼의 지위를 공고히 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게임업계와 블록체인 업계의 뜨거운 감자가 된 P2E(Play To Earn)에 대한 입장을 발표했다. 한국게임학회와 같이 직접적인 이권이 얽힌 것과는 다른 이익단체가 나서 입법 기관의 빠른 입법 활동을 촉구한 것이다. 아래는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의 성명문 전문이다.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 성명 1. 온라인 게임 내 환금성을 목표로 하는 P2E [Play to Earn] 기반의 가상자산 거래로 대한민국 문화콘텐츠의 핵심인 게임산업이 병들어가고 있다. 이에 경실련은 지난해부터 온라인 게임 확률형 아이템 기반의 신종 게임코인 등을 활용한 각종 상품거래, 카지노 게임머니 교환, 가상자산의 금융․중개 거래까지도 가능한 P2E 기반의 사행성 게임물 근절 및 예방, 이용자 보호를 촉구해 왔다 2. 현행 게임산업법 및 사행행위규제법은 경마․경륜․카지노 외에도 온라인 게임 내 △베팅․배당을 내용으로 하는 P2E 기반의 가상자산 거래, △확률형 게임 아이템을 사실상 사행성 게임물로 규정하고 있다. 이는, 게임산업 진흥과 건전한 게임문화를 확립코자 함이다. 때문에, 우리나라는 과도한 확률형 아이템뿐만 아니라 P2E 게임자체를 불법으로 규정하고 있다. 그러나 정부의 “자율규제”라는 미
네덜란드의 글로벌 반도체 장비기업이 ASM이 한국에 제2생산공장을 신설한다. 5월 24일 오전 10시 경기도 화성에서 ASM이 ‘화성 제2제조연구혁신센터’기공식을 개최했다. ASM은 한국에 반도체 장비 생공장과 연구개발(R&D)센터를 건립해 운영중이며, 이번 혁신센터 건설을 통해 원자층 증착 장비 생산 및 원천기술 연구를 추진할 예정이다. 산업통상자원부(이하 ‘산자부’)는 지난 2월 ASM과 1억 달러 규모의 투자협력 양해각서를 체결하고 ASM의 국내 투자와 사업 진행을 지원해왔다. 글로벌 반도체 장비기업인 ASM의 투자는 반도체 장비 공급망을 확대하고 국내 반도체 기업과의 협력을 강화하는 역할을 수행할 뿐 아니라, 선단공정의 최신 장비 기술을 한국에 내재화하는 데 큰 의미가 있다. ASM은 양해각서 체결을 통해 밝힌 투자 외에도 연구개발 등 향후 투자를 지속 확대할 예정이다. 산자부 무역투자실 김완기 실장은 “반도체 산업은 우리 경제와 산업의 버팀목이자 전략 자산이다. 인센티브 확대, 규제 혁신 등 외국인투자 환경 개선을 적극 추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유희왕 마스터 듀얼(Yu-Gi-Oh Master Duel) 인터넷 방송인들이 팀 매치 이벤트 전을 개최한다. 이벤트에 참여하는 인터넷 방송인은 ▲칠신 ▲소원아 ▲두뭉 ▲필대로야 ▲미스터리박스 등 5명이다. 이벤트 전은 2023년 4월 29일 토요일 오후 2시에 진행된다. 참가팀은 문화상품권을 상품으로 지급받을 예정이다. 금지 테마와 금지 카드도 존재한다. 팀 매치 기능은 5명이 한 팀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미리 덱을 구축해야 하며, 구축 후에 팀이 형성된 후에는 덱 수정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금제에 맞춘 덱을 미리 준비해야 한다. 다만 임의적인 매칭은 불가능하기 때문에 방송인들과 대전을 위해서는 적절한 타이밍이 필요하다. 참여 팀이 많아지면 참여팀끼리도 대전하는 경우도 흔하게 나온다. 팀 대회 매치 금제는 아래와 같다. 팀 매치 기능은 출시 당시 유저들의 기대를 받았으나, 기대했던 것과 다른 기능과 많은 인원 수를 요구하는 매치 기능 때문에 외면을 받고 있는 콘텐츠다. 금제 테마 ▲루닉 ▲스프라이트 ▲엑소시스터 ▲스파이랄 ▲아다마시아 ▲상검 ▲낙인 ▲데스피아 ▲엘드리치 ▲후완다리즈 ▲트라이브리게이드 ▲엔디미온 ▲이시즈 ▲드라이트론 ▲서브테러 ▲얼터가이스트 ▲티
그라비티가 4월 6일 론칭한 MMORPG ‘라그나로크 오리진(영문명 Ragnarok Origin Global)’이 동남아시아 지역 양대 마켓 상위권을 휩쓸면서 동남아시아 지역이 라그나로크 오리진으로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이 게임응 핵심 시스템 및 콘텐츠를 원작인 라그나로크 온라인에서 그대로 이어받았다. 그래픽, BGM 등 모든 요소를 한층 업그레이드한 타이틀이다. 앞선 론칭 지역에서 뛰어난 성과를 거두며 라그나로크 IP(지적재산권)의 세계적인 파워를 입증한 바 있다. 그라비티 게임 허브(GGH)는 4월 초 필리핀, 태국, 인도네시아에서 각각 진행한 프레스 컨퍼런스에서 지역별 앰배서더와 함께 앰배서더가 등장하는 TVC를 공개했다. 라그나로크 오리진의 동남아시아 지역별 앰배서더는 필리핀, 태국, 인도네시아에서 많은 사람들에게 사랑받으며 인기를 누리고 있는 배우들로 SNS 등에서 팬들과 소통하며 라그나로크 오리진을 적극적으로 알리고 있다. 앰버서더 TVC는 주인공이 라그나로크 오리진에서 친구를 만나 보스를 사냥하며 라그나로크 온라인 시절의 감성을 다시 느끼는 스토리를 담았다. 앰버서더 TVC 외에도 다양한 콘셉트의 TVC 영상을 순차적으로 방영할 예정이다. 이
지난 4월 8일 프랑스 일간지 ‘르몽드(Le Monde)’에 따르면, 경제․금융정보 서비스를 제공하는 ‘블룸버그 유한회사(Bloomberg L.P.)’가 인공지능(AI) 기반의 프로젝트를 추진 중인 것으로 보인다. 1981년 10월 1일 설립된 블룸버그 유한회사(이하 ‘블룸버그’)는 금융시장의 전문직 종사자들에게 서비스를 제공해오고 있으며, 블룸버그 터미널(Bloomberg Terminal)과 같은 금융 전용 단말기를 공급할 정도로 대규모 데이터를 축적하고 있다. 현재 존스홉킨스 대학교의 연구진과 함께 프로젝트를 진행중인 블롬버그는 500억 개의 파라미터(Parameter)가 알고리즘에 포함되어 있고 광범위한 금융 데이터가 정리되어 있다고 설명했다. 블룸버그에서 개발할 새로운 블룸버그GPT 모델은 ‘대규모 언어 모델(LLM)’을 기반으로 챗GPT(Chat GPT)에 근접할 정도로 작동한다고 설명했으며, ‘감정 속성 분석’을 통해 분석한 메시지가 기업에 긍정적인지 부정적인지를 분석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블룸버그GPT 모델은 단말기에서 데이터를 쉽게 찾거나 정보 내용에 따라 기사 제목을 자동으로 생성도 가능하다. 다만, 범용적인 측면보다는 블룸버그 측의 편의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