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가 향후 1년 동안 10조 원 규모 자사주를 매입한다. 2024년 들어 주가가 33%가량 하락하며 주가가 주당 4만 원에 내려가자 특단의 대책을 내놓은 것이다. 삼성전자가 10조 원에 가까운 대규모 자사주 매입을 결정한 것은 2017년 1월 이후 7년여 만이다. 지난 11월 15일 삼성전자는 이사회를 열고 주주 가치 제고 등을 위해 1년 동안 10조 원 규모 자사주를 매입하기로 의결했다. 이 중 3조 원은 11월 18일부터 2025년 2월 17일까지 3개월 내 장내 매수 방식으로 사들여 전량 소각하기로 했다. 보통주 5,014만 4,628주, 우선주 691만 2,036주가 대상이다. 나머지 7조 원 어치의 매입 시기 및 활용 방안 등에 대해서는 추가로 이사회를 열고 결정하기로 했다. 7조 원어치 자사주의 전체 또는 일부에 대한 추가적인 소각 가능성도 열려 있다는 의미다. 삼성전자가 시장의 예상을 뛰어넘는 규모로 주주 가치 제고 정책을 깜짝 발표한 것은 주가 방어에 적극적으로 나서겠다는 의지다. 지난 10월 기대를 밑돈 실적과 인공지능(AI)용 고대역폭메모리(HBM) 공급 지연으로 전영현 DS(반도체) 부문 부회장이 ‘사과문’을 낸 이후에도 ‘트럼프 스
국내 사모펀드 운용사 ‘한앤컴퍼니’가 ‘SK플라즈마’의 2대주주로 등극한다. 지난 11월 15일 ‘한앤컴퍼니’는 SK플라즈마가 추진하는 1,380억 원 규모 제3자 배정 유상증자에 참여할 예정이다. 또한, 기존 ‘SK플라즈마’의 2대주주인 ‘티움바이오’가 보유하고 있던 구주 중 일부인 33,333주를 120억 원에 양도받는 계약을 체결했다. 주식 양도가 완료되면 ‘한앤컴퍼니’는 ‘SK플라즈마’ 지분 27.5%를 확보한 2대주주로 등극할 예정이다. 당초 한앤컴퍼니는 SK플라즈마의 경영권을 인수를 추진했지만 성사되지 않자 소수지분 투자로 선회한 것으로 알려졌다. 현재 ‘SK플라즈마’의 최대주주는 77.24%의 지분을 보유한 ‘SK디스커버리’다. 이번 거래로 ‘티움바이오’의 지분은 3.04%로 줄어들어 지분 0.12%를 보유한 ‘한국투자파트너스’에 이은 4대주주로 내려오게 된다. ‘SK플라즈마’는 ‘혈장분획제제’의 제조 및 판매업을 영위하는 기업으로 지난 2015년 ‘SK케미칼’에서 물적분할해 출범했다. 2017년 연말 ‘SK케미칼’의 지주회사체제 전환으로 ‘SK디스커버리’의 자회사로 변동됐다.
11월 14일 배터리 제조사 LG에너지솔루션의 미국법인 LG엔솔 버테크는 미국 재생에너지 기업 테라젠과 대규모 에너지저장장치(ESS) 공급 계약을 맺었다고 밝혔다. ESS는 발전소에서 만든 전기를 저장했다가 필요할 때 공급하는 시스템으로, 불규칙하게 전기를 생산하는 태양광이나 풍력발전에서 필수 설비다. 전기차・배터리 캐즘(일시적 수요 정체)이 이어지자, ESS 사업 수주를 통해 사업 포트폴리오 다양화가 꾸준히 이어지고 있다. LG엔솔 버테크가 2026년부터 4년간 최대 8GWh(기가와트시) 규모의 ESS를 공급한다. 8GWh는 약 80만가구(4인 기준) 이상이 하루 동안 사용할 수 있는 전력량이다. LG엔솔 북미 생산시설에서 고용량 리튬인산철(LFP) 롱셀 ‘JF2 셀’이 적용된 컨테이너형 모듈러 제품으로 생산해 공급할 예정으로 업계에선 약 2조원 규모 계약으로 추산한다. ‘버테크’와 ‘테라젠’은 앞서 캘리포니아 지역의 2.2GWh 규모 에너지 저장 프로젝트에서 협력한 이력이 있다. 이번 계약은 2022년 버테크가 출범한 이후 최대 규모의 성과로, 북미에서의 시장 경쟁력을 강화했다는게 회사 츠그이 설명했다. LG에너지솔루션 버테크는 2022년 2월 미국 ES
‘LG에너지솔루션’(LG Engery Solution)이 일론 머스크가 이끄는 우주탐사 기업 ‘스페이스X’(Space X)의 우주선에 전력 공급용 배터리를 공급한다. 11월 10일 한국경제는 ‘LG에너지솔루션’은 ‘스페이스X’의 우주선 ‘스타십’에 들어갈 보조 동력 배털와 전력 공급 배터리 납품 기업으로 선정됐다고 단독 보도했다. 스페이스X의 발주를 받은 LG에너지솔루션은 보조 동력 배터리와 전력 공급 배터리의 맞춤형 제품 개발에 들어갔다. ‘원통형 리튬이온 배터리’로 개발 중인 이 제품은 이르면 2025년 스페이스X가 새로 선보이는 우주왕복선에 탑재된다. 기존에는 우주왕복선에는 자체 생산한 배터리를 사용해온 스페이스X는 발사 횟수가 급격하게 늘고나면서 안정성이 높고 수명이 긴 배터리가 필요해지자 외부로 해결책을 찾은 것으로 보인다. LG 또한 수년 전부터 우주산업을 미래 먹거리로 정하고 우주선 내 전력 공급 장치, 예비 에너지저장장치(ESS), 우주복용 배터리 등을 개발해왔다. 우주항공 분야는 작은 오류 하나도 치명적인 결과를 낳을 수 있다는 이유로 품질과 성능 기준이 가장 높은 산업분야다. LG는 2023년 해 미국 항공우주국(NASA)에 우주복용 배터리
LG전자에 이어 삼성전자가 가전 구독 서비스 출시를 앞두면서 가전 및 렌탈 시장에도 지각변동이 예상된다. 11월 8일 삼성전자는 이르면 12월 가전 구독 서비스를 국내 시장에 출시할 예정이다. 국내 서비스 정착 이후 글로벌 시장으로 확대하는 방안도 고려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삼성전자는 지난 2월 디바이스경험(DX) 부문에서 구독 서비스 기획을 담당하는 구독 관리 경력자 채용을 진행했고, 지난 8월에는 국내 구독사업을 담당할 DX 부문 한국총괄 인력을 확보하며 구독 사업 준비해왔다.. 가전 시장은 현재 정체기를 겪는 중에 가전 구독은 프리미엄 제품 판매를 늘리고 충성 고객을 발굴할 수 있다는 점에서 새로운 수익 모델로 떠오르고 있다. 대형가전은 수백만원의 금액으로 초기 구입 비용 부담이 큰 편이지만 가전 구독 서비스는 매월 일정 금액을 납부하는 방식으로 구매 문턱을 낮춰 소비자 접근성을 높일 것으로 보인다. 주기적인 케어 관리를 받을 수 있어 1인가구, 신혼부부 등을 중심으로 수요가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어 여러 개 제품을 구독하면 할인혜택을 받을 수 있다는 점에서 구독이 확장될 수 있다. 지난 2022년 LG전자는년 대형가전 구독사업을 시작해 시장에 성공적으
삼성전자가 제4 평택캠퍼스(P4)의 첫 생산라인에 대한 투자 방향을 최선단 낸드와 D램 동시 양산으로 확정지었다 12월 7일 업삼성전자는 지난 3분기경 P4 페이즈(Ph)1 라인명을 기존 ‘P4F’에서 ‘P4H’로 변경했다. F는 낸드플래시(Nand Flash)를 뜻하는 용어이며, H는 하이브리드(Hybrid)의 약자다. Ph1을 낸드 전용 라인으로 활용하는 대신, 낸드와 D램을 동시에 생산하겠다는 의미를 담고 있고 유추할 수 있다. 지디넷코리아에 따르면, P4H라인은 낸드에 때한 설비투자를 월 1만장 규모를 확장한 상태이며 2024년 연중 월 5,000장 수준의 투자가 진행됐고 연말까지 월 5,000장 규모를 더 투자하는 방식이다. 추가 투자는 2025년 중반 정도에 나올 것으로 보인다. 쿼드레벨셀(QLC) V9 낸드 등 업계 최선단 낸드의 양산 준비는 마쳤으나 계획은 보류된 상황이다. D램은 삼성전자가 생산능력을 집중 확장 중인 1a(5세대 10나노급), 1b(6세대 10나노급) D램을 생산할 계획이다. 삼성전자는 P1・P2・P3 등 평택 캠퍼스에서 기존 레거시 D램을 1a, 1b 등으로 전환하기 위한 투자에 나서고 있다. P4H에서는 이들 D램의 제조공
현대차-기아는 올해 3분기까지 미국에서만 전기차를 총 9만1348대 판매했다. 7만111대를 기록했던 전년 동기와 비교하면 30.3% 증가했다. 미국 시장조사업체 켈리블루북에 따르면 현대차-기아의 2024년 1~3분기 미국 전기차 시장 점유율은 9.5%로 10%에 육박하고 있다. 2022년(7.4%) 대비 2.1%포인트 상승했다. 테슬라는 여전히 1위 자리를 차지했지만 영향력은 떨어졌다. 점유율은 2022년 2분기 기준으로 65%를 기록했지만 현재는 49.8%로 낮아졌다. LA타임스 4일자 보도에 따르면 올 1~3분기 캘리포니아주의 테슬라 판매량이 전년보다 12.6% 감소한 반면 현대차와 기아는 각각 30.5%, 64% 급증했다. 제너럴모터스(GM)와 포드를 제치고 미국 전기차 시장 ‘넘버2’가 된 현대차그룹은 올해 점유율 10%를 달성해 1위 테슬라 추격에 나선다. 현대차-기아는 내년에는 전기차 판매량이 더 늘어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현대차그룹 메타플랜트아메리카(HMGMA) 가동이 내년부터 본격화된다. HMGMA를 통해 전기차 모델을 연간 30만 대 이상 생산한다. 이 공장에서 생산하는 차량과 기아 조지아 공장에서 만드는 EV9은 IRA에 따른 보조금
롯데케미칼이 1조 4,000억원 규모로 자금 조달을 추진 중인 가운데 메리츠증권과 약 6,600억 원 규모 주가수익스왑(PRS) 계약을 맺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10월 28일 메리츠증권은 최근 롯데케미칼과 미국 자회사 LCLA 지분 40%를 대상으로 하는 4억 7,700만 달러(원화 약 6,626억 원) 규모의 PRS 계약을 맺었다. 메리츠증권을 포함한 메리츠금융그룹 계열사가 LCLA의 제3자배정 유상증자에 참여해 지분 40%를 확보한다. 주가수익스왑(PRS)은 주가 수익을 교환하는 파생상품 계약으로 일종의 담보 성격으로 메리츠금융 측이 LCLA 지분을 보유한 상태에서 롯데케미칼에 주가 수익을 기반으로 한 수익을 제공하고 그 대가로 롯데케미칼은 일정 수수료를 지불하는 방식이다. 5년 후 주식 가치가 오르면 메리츠금융 측은 롯데케미칼에 차익을 물고, 지금보다 가치가 떨어지면 롯데케미칼이 메리츠금융 측에 차액을 보전한다. 이번 계약은 롯데케미칼이 해외 자회사 지분을 활용해 총 1조 4,000원 규모의 자금을 조달하는 계획의 일환으로 알려진다. 롯데케미칼은 나머지 약 7,000억원은 인도네시아 자회사 LCI 지분을 대상으로 한 PRS 계약을 통해 조달할 예정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