랑싯대학교는 태국의 빠툼타니 주에 위치한다. 어느 대학보다 한국어 교육에 많은 힘을 쏟는 대학으로 잘 알려졌다. 2020년 태국에서 13번째 한국어과가 생겼다. 이 대학 한국어과 설립을 주도한 이가 정환승 학과장. 그는 태어난 1958년 10월 1일. 알고보니 한국과 태국이 공식 수교한 해였다. 1983년 한국외대 태국어과에 입학해 정년퇴임하는 2023년까지 태국어와 태국문화에 홀린 듯이 살아왔다. 1995년 태국 쏭클라대학교 대학원에서 태국어학 석사학위를 받았다. 1999년 4월 추안 릭파이 총리 방한시 김대중 대통령 통역, 2003년-2005년 탁씬 친나왓 총리 방한시 노무현 대통령 통역 수행으로 잘 알려졌다. 정 교수는 2023년 한국외대 태국어과 정년 퇴직 이후 인생 후반전은 랑싯대 한국어과에 둥지를 틀었다. 정 교수는 언어학자로 언어뿐만이 아니라 태국의 역사와 문화에 대해서도 해박하다. 이제 태국과 한국 젊은이를 잇는 ‘한류’ 노둣돌 역할을 하고 있다. 랑싯대학교가 태국에서 한국어 교육을 늦게 시작하기는 했지만 현재 한국어를 전공하는 학생 수는 500명에 육박하고 있는 학교다. 11월 4일 박용민 주태국 한국대사가 랑싯대를 방문했다. 학생회관에서 2
“서류상 입주기업만 있고, 실제로는 불이 꺼져 있습니다. 시민 세금이 들어가는데 이렇게 관리하면 또 ‘먹튀’가 나옵니다.” 서선란 순천시의회 의원(더불어민주당·향·매곡·삼산·저전·중앙)은 지난 10월 30일 시정질문에서 순천시의 애니메이션 클러스터 조성사업의 실태를 정조준했다. 서 의원은 “자료와 현장이 다르다”며 직접 촬영한 사진과 표를 제시하며, 시가 보고한 ‘입주 완료 기업’과 실제 가동률의 괴리를 구체적으로 드러냈다. 서 의원에 따르면, 순천시는 원도심의 공실을 리모델링해 21곳이 입주 완료됐다고 밝혔지만, 실제 가동 중인 곳은 14곳 안팎에 불과했다. 일부 건물은 1·2층이 모두 비어 있음에도 ‘입주 완료’로 처리됐다. 서 의원은 “1년에 3억 원이 넘는 임대료가 예산에서 지출되고 있다”며 “이런 식이면 시민이 체감하지 못하는 ‘서류 행정’에 그칠 뿐”이라고 비판했다. 논의는 순천만국가정원 습지센터 내 방송국 입주 문제로 이어졌다. 서 의원은 “국가정원은 시민 모두의 공간이다. 도시관리계획까지 바꿔가며 공원 부지에 스튜디오를 짓겠다는 건 1호 국가정원의 품격에 맞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이어 “인근에는 유휴 부지도 많은데 왜 굳이 공원 안을 택했는지
‘베트남 억만장자’인 팜 녓 브엉 빈그룹 회장이 110억원을 투자해 항공우주사를 설립했다. VNEXPRESS 11월 7일자에 따르면 팜 녓 브엉 회장은 2130억 동(약 118억 4,280만 원)을 투자해 새 항공우주회사를 설립했다. 회사는 항공기, 우주선 및 통신위성 제조, 항공 운송 등 사업 등 6개 부문을 운영한다. 회사 자본금은 1140만달러로 브엉이 71%를 보유하고 있다. 빈그룹은 19%다. 나머지는 두 아들이 갖고 있다. 빈그룹은 2019년 항공사 빈펄 에어를 통해 항공부문에 진출할 계획이었지만. 2020년 프로젝트를 취소했다. 포브스지에 따르면 팜 녓 브엉은 현재 베트남 최고 갑부로 순자산만 190억 달러(약 27조 7,001억 원)로 추산된다. 팜 녓 브엉이 1993년 설립한 빈그룹은 30여년간 다양한 사업을 영위하며 베트남의 국민기업으로 확고히 자리매김하고 있다. 팜 녓 브엉은 1968년 베트남 하노이에서 태어났다. 우크라이나의 LLC테크노컴(Technocom)이라는 국제 식품 수출 회사에서 처음으로 10억 달러(약 1조 3,145억 원)를 벌었다. 2000년 초에 베트남으로 돌아와 부동산 시장에 많은 투자를 시작했다. VPL(Vinpear
제주올레는 한국의 ‘걷기 열풍’의 시작이자 끝인 대표적인 길이다. 제주 출신 언론인 서명숙 이사장이 스페인 산티아고순례길 을 돌고 와서 제주올레길을 만들었기 때문이다. 특히 아왜낭목이 있는 월평마을에서 대평포구까지 19.6km, 제주올레 8코스는 가장 사랑받는 코스 중 하나다. 이 길이 한국뿐이 아니라 아세안 10개국으로 활짝 열린 건 지난해 11월 8일 제주 서귀포 중문관광단지 내 주상절리 인근서 열린‘한-아세안 올레 제막식’때였다. 이를 주도한 이가 김재신 한-아세안센터 사무총장이다. 취임 당시 기자를 만나 ‘깜짝할 뉴스’를 귀띔했는데 실제로 ‘제막식’을 통해 베일을 벗었다. 김재신 사무총장은 제막식에서 “제주올레는 한국의 대표 트레킹 코스다. 제주의 아름다운 자연을 보여준다. 한-아세안 올레는 35년 깊은 우정을 닮은 길이다”이라고 말했다. 지난해는 한-아세안센터의 창립 15주년이었다. 또한 ‘한-아세안 대화관계 수립 35주년’을 맞아 비엔티안에서 열린 제 25차 한-아세안 정상회의에서 양측 관계를 포괄적 전략 동반자 관계로 승격된 해였다. ‘한-아세안 올레’명명식에 참석한 10개 대사 중 전 마리아 테레사 디존-데 베가 주한필리핀 대사는 축사를 통해
서울시 중소기업 지원기관 서울경제진흥원(SBA, 대표이사 김현우)은 동남아 허브로 불리는 싱가포르에서 서울 중소기업의 글로벌 진출을 위한 팝업스토어를 열었다. 이번 팝업스토어는 11월 6일부터 30일까지 싱가포르 오차드로드 메트로(Metro) 백화점 3층 패션존에서 개최되며, 패션-뷰티-리빙 분야 14개 중소기업 브랜드가 참여해 독창적이고 트렌디한 제품을 선보인다. 이번 팝업스토어는 SBA와 글로벌 유통 전문회사 GFS인터내셔널이 공동 주관했으며, 단순한 판매 공간을 넘어 브랜드 체험과 예술·문화가 어우러진 복합 콘텐츠형 공간으로 구성됐다. 팝업 입구에는 일러스트레이터 성낙진 작가와 젠틀몬스터 협업으로 주목받은 무크스튜디오의 문병철 작가 작품을 전시해 예술과 쇼핑이 조화를 이루는 감각적인 분위기를 연출한다. 제품 체험존에는 싱가포르 예술대학교 학생들이 커스터마이징 디자이너로 참여해 마이초이(지비츠), 스페셜메이크업(스니커즈), MCRN(핸드 스트랩) 제품을 활용한 DIY 체험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방문객들은 직접 자신만의 디자인을 완성하며 브랜드의 독창성과 매력을 체험할 수 있다. 또한 서울관광재단과 협력해 서울시 브랜드 슬로건인 ‘서울 마이 소울(SEOUL
“서울-제주-일산서 한국과 아세안, 문화-경제-미디어 간 교류장 열렸다.” 한-아세안센터(사무총장 김재신)는 오는 11월 11일부터 16일까지 서울과 제주, 일산에서 ‘2025 아세안 위크(ASEAN Week 2025)’를 개최한다. 이번 행사는 최근 말레이시아에서 개최된 한-아세안 정상회의에서 이재명 대통령이 한-아세안 포괄적 전략 동반자 관계 발전을 위한 비전을 제시한 데 이어, 이러한 협력 비전을 민간 차원에서 이어가는 포괄적인 교류의 장으로 기획되었다. 2019년 처음 개막한 아세안 위크는 매년 개최되어 아세안과 한국을 잇는 대표적인 교류의 플랫폼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올해 아세안 위크는 △한-아세안 올레 10개국 벤치 조성 기념식 및 현장 시찰 △아세안 언론인 초청 프로그램 및 한-아세안 미디어 포럼 △2025 아세안 무역전시회 등의 주요 프로그램으로 구성된다. 이를 통해 한-아세안센터는 문화·경제·미디어 등 다양한 분야에서 실질 교류를 확대하고, 한국과 아세안의 국민과 함께하는 협력을 추진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 제주 올레에 세워진 아세안 10개 회원국 상징 벤치 아세안 위크는 11월 11일 제주 파르나스 호텔에서 열리는 한-아세안 올레 10개
소셜미디어가 견인하는 태국 이커머스가 ASEAN 내 2위 규모 시장으로 부상했다. KOTRA 태국 방콕무역관에 따르면 태국 이커머스 시장은 2024년 1조 1000억 바트(약 335억 달러, 약 48조 323억 원) 규모를 기록해 전년 대비 14%를 성장했다. 인도네시아에 이어 ASEAN 내 2위 규모 시장으로 부상했다. 태국 전자상거래 시장의 ‘소셜커머스(Social Commerce)’ 부문 매출은 2024년 7억 1527만 달러(약 1조 254억 8,259만 원)에 이를 것으로 추정되었다. 가히 디지털세대의 진격이다. 18세 이상 성인의 소셜미디어 이용률이 83%대까지 올라 온라인 소비 전환을 견인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2024년 태국의 전자상거래 총거래액은 전년 대비 21.7% 증가한 235억 달러(약 33조 7,178억 원)로, 인도네시아(5%)·베트남(15.9%) 등 주변국을 크게 앞서며 동남아시아에서 가장 빠른 성장세를 기록했다. 이러한 구조적 변화는 태국을 ‘동남아 소셜커머스 혁신의 테스트 허브’로 부상시키고 있다. 이와 함께 한국 기업에게도 현지 인플루언서 협업 및 실시간 소통 중심의 브랜딩 전략이 중요해지고 있다. 아세안익스프레스는 202
“한국 기업, 말레이시아 수출 확대와 미래 협력 기반 마련되었다.” 이재명 대통령은 동남아시아국가연합(ASEAN, 아세안) 정상회의 참석차 10월 26일 의장국인 말레이시아 ‘안와르 이브라힘(Anwar Ibrahim)’총리와 첫 정상회담을 갖고 한-말레이시아 자유무역협정(이하 FTA)을 타결했다. 산업통상부 여한구 통상교섭본부장은 10월 26일 쿠알라룸푸르에서 뜽쿠 자프룰(Tengku Zafrul) 말레이시아 투자통상산업부(MITI) 장관과 함께 한-말레이시아 FTA 협상을 최종 타결하고 공동선언문에 서명하였다. 이번 한-말레이시아 FTA는 단순히 관세 인하나 시장 개방을 넘어, 제도-규범-협력 구조 전반을 상향 표준화한 ‘통합형 협정’이라는 점에서 특징적이다. 상품 분야에서는 기존 RCEP 대비 완화된 원산지기준을 통해 공급망 내 생산 연계성이 강화됐다. 서비스·투자 분야에서는 네거티브 리스트-래칫-ISDS 등 고도화된 규범이 포함됐다. 또한 협력 분야에서는 디지털-녹색경제-할랄산업을 새로운 통상협력 축으로 설정하여 양국 간 산업협력의 범위를 실물경제와 신산업 영역으로 확장시켰다. 이번에 타결된 한-말레이시아 FTA는 한국 체결한 27번째(협상 타결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