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은행(The World Bank)가 2023년 세계 경제 성장률을 2.1%로 상향조정했다. 지난 6월 6일 세계은행이 발표한 세계 경제전망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1월 예측한 1.7% 보다 0.4%p 상향된 2.1%로 2023년 세계 경제 성장률을 예측했다. 이는 2022년보다 1%p 하락한 수치며 선진국 경제 성장률이 2022년 2.6%에서 2023년 0.7%로 둔화할 것이라 전망했다. 2024년 세계 경제 성장률도 2.4%로 전망하는데 그쳤다. 당초 예상보다 높은 회복률을 보이고는 있지만 성장 둔화의 흐름은 지속될 것으로 세계은행은 예측했고 인플레이션의 압력과 긴축통화정책, 지정학적인 긴장과 자연재해 등 다양한 하방 요인으로 인해 성장 제약 가능성이 상존하고 있다고 보고서는 설명했다. 우크라이나-러시아 전쟁의 장기화가 유럽과 중앙아시아의 경제 성장에 지속적인 부담을 주고 있으며, 신흥 국가들과 개발도상국을 중심으로 한 잠재성장률이 하락할 우려가 있어 이를 극복하기 위한 물적자본‧인적자본 개선 등의 과감한 구조개혁을 추진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미국의 2023년 성장률은 소비회복 등이 긍정적인 영향으로 지난 1월 전망치보다 0.6%p 상향한 1.1%
2023년 5월 전 세계 선박 수주량에서 중국 조선사들이 1위 한국 조선사들이 2위를 기록했다. 6월 7일 영국 조선‧해운시황 전문기관 클락슨 리서치(Clarkson Research)에 따르면, 2023년 5월 전 세계 선박 발주량은 79척이었으며 206만 CGT(표준선환산톤수)를 기록했다. 중국은 52척으로 141만 CGT로 68%의 점유율을 기록했고 한국이 17척으로 51만 CGT로 25%의 점유율을 기록하며 뒤를 이었다. 한국의 시장 점유율은 2023년 3월부터 3개월째 중국에 뒤처지고 있는데, 이는 조선소에서 소화가능한 일감을 확보한 만큼 수주량보다 수익성에 중점을 두기 때문으로 보인다. 글로벌 수주 잔량은 2023년 5월 말 기준 중국이 5,113만 CGT로 45%였고 한국이 3,910만 CGT로 35%로 역시 중국에 뒤쳐졌다. 야드별로는 삼성중공업의 거제조선소 995만 CGT로 글로벌 1위를 기록했다. 선박 가격을 나타내는 지표인 클락슨 신조선가지수는 5월 말 기준 170.1로 2022년 5월 대비 10.03p 상승했다. 선종별로는 ▲LNG운반선 2억5900만 달러, ▲초대형 유조선(VLCC) 1억2600만 달러, ▲초대형 컨테이선(22~24k T
박정욱 주캄보디아 한국 대사가 제11회 캄보디아 한국어 스피치 웅변대회 시상식에 참석했다. 6월 2일 주캄보디아 대한민국 대사관에서 개최된 웅변대회 시상식에 참석한 박 대사는 시상하고 격려했다. 박 대사는 지난 1월 12일 제12대 박정욱 주캄보디아 한국대사로 부임했다. 이례적으로 외교관이 아닌 30년 경력 경제 부처 공무원이 대사로 부임해 교민들의 관심을 모았다. 1991년 제35회 행정고시에 합격한 뒤 산업부 지역경제총괄과장, 통상협력국심의관, 주제네바대표부 공사참사관, 국가기술표준원 제품안전정책국장, 투자정책관, 2030부산세계박람회 유치지원단장 보직을 두루 거쳤다. 대회는 사단법인 한국스피치웅변협회, 민주평화통일자문회 캄보디아지회, 한국자유총연맹 캄보디아지회가 공동 주최했다. 주캄보디아 대한민국 대사관이 후원했다.
사단법인 벤처기업협회 대구경북지회(회장 이창은)는 워크숍을 통해 회원사들의 수출계약을 성사시켰다. 지난 5월 19~20일 양일간 안동 리첼호텔에서 ‘2023 대구경북 벤처기업 재도약 워크숍’이 열렸다. 매년 회원사들을 대상으로 워크숍을 개최하는 벤처기업협회 대구경북지회는 이번 워크숍 주제를 고금리와 인플레이션으로 힘들어하는 벤처기업들의 재도약을 핵심으로 삼아 기업들의 네트워크의 장으로 만들기 위해 마련한 행사다. 워크숍에 참석한 협회 회원사들은 대표간 업무협약을 통해 수출계약을 체결하기도 했다. 행사에 참여한 ㈜정안메디케어(대표 전승원)와 광명농산㈜(대표 강인숙), 와이케이푸드㈜(대표 전유경)는 행사 이후 대표간 미팅을 진행했다. ㈜정안메디케어는 광명농산㈜과 27,000달러(원화 약 3,500만 원) 와이케이푸드㈜와는 28,000달러(원화 약 3,600만 원)의 수출 계약을 체결했다. 판매품목은 광명농산㈜의 다이어트 식사 대용 식품인 ‘표고버섯 누룽지’와 와이케이푸드㈜의 ‘도라지 정과’다. 광명농산㈜의 ‘표고버섯 누룽지’는 한국의 정서를 반영하여 고소한 누룽지와 표고버섯의 영양분을 함께 섭취할 수 있으며, 다이어트 식사 및 세계 여행자를 겨냥한 대용 식품이라
베트남 호치민시 랜드마크 68층을 소유한 비텍스코 그룹(Bitexco Group)이 야심찬 새 랜드마크 프로젝트 ‘쌍둥이빌딩(원센트럴)’ 건물 신축에 악재가 겹쳤다. 비텍스코 그룹의 자회사인 부동산 개발업체인 사이공 글로리(Saigon Glory)는 지난해에 1520억 VND(647만 달러, 약 84억 194만 2000원)의 손실을 보고했다. 이 회사는 호치민시 1군에 8600제곱미터 규모의 원센트럴 HCM(One Central HCM) ‘트윈 타워’를 건설하고 있다. 문제는 27조 3000억 VND(약 1조 5096억 9000만 원) 이상의 부채 의무가 있으며 그 중 36%가 채권이다. 약 5조 VND(약 2765억 원) 상당의 채권이 올해 6월과 7월에 만기가 도래한다는 것. 사이공 글로리는 호치민 시내에 있는, 현대건설이 시공한 비텍스코 빌딩의 운영자인 비텍스코 그룹이 전액 출자하고 있다. 원 센트럴은 서쪽 타워에 55층, 동쪽 타워에 48층으로 구성된다. 아파트, 사무실 및 접객 서비스를 제공하고 비용이 5억 달러(약 6493억 원)로 베트남에서 가장 큰 부동산 프로젝트 중 하나다. 2012년에 공사가 시작되었으나 여러 차례 중단되었다가 재개되었다.
반목을 해온 PGA 투어-DP월드투어와 LIV골프가 6일 전격 합병을 선언했다. 미국프로골프(PGA) 투어와 DP월드투어(구 유러피언투어), 사우디아라비아 후원을 받는 LIV골프가 6일(현지시간) 합병을 선언했다. LIV는 지난해 6월 대회당 PGA 투어 대회의 4배가 넘는 막대한 상금을 걸고 출범했다. 그동안 엘리트 선수를 빼앗기지 않으려는 PGA 투어와 DP월드투어는 LIV골프와 강하게 반목했다. PGA 투어와의 합병 발표는 2022년 6월 LIV의 첫 대회 이후 1년이 채 되지 않은 시점이다. PGA 투어와 LIV는 “공동 소유의 영리 법인을 설립하기로 합의했으며 골프 산업을 더욱 성장시키기 위해 합병 결정을 내렸다”고 밝혔다. 사우디 국부펀드는 지난해 6월 LIV골프를 세웠다. 막대한 상금에 필 미켈슨과 브룩스 켑카 등 엘리트 선수들이 LIV골프로 이적했다. LIV골프가 성공하면 PGA 투어는 2부 투어로 전락하게 된다. PGA 투어는 LIV골프 이적 선수를 제명하는 등 강경 대응했고 이와 관련 선수들이 소송을 걸었다. 그러나 LIV는 기대했던 스폰서십을 받지 못해 지속가능성이 문제가 됐다. PGA 투어는 LIV에 대항에 상금을 대거 올렸으나 자금 마
한·인니문화연구원과 고려대 아세아문제연구원이 학술과 교육분야에서 상호 협력하기로 협약식을 가졌다. 5월 31일 오후 1시 30분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원에서 열린 협약식에는 한·인니문화연구원의 사공경 원장, 안미경 부원장(문화해설사), 김소영 팀리더(고려대박사과정 발리건축연구) 아세아문제연구원의 이진한 원장, 신재혁 센터장, 고영경 연구위원이 참석했다. 이 자리에서는 두 연구원이 앞으로 교류를 하기 위한 방향에 대한 논의도 간단히 진행되었다.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원의 아세안센터는 인도네시아를 포함하는 아세안 10개국에 대한 다양한 연구와 교육을 수행하는 센터다. 한·인니문화연구원과 아세안센터는 상호 방문 및 교류, 학술 및 교육 목적의 정보 교환, 공동연구 활동, 기타 필요 사업 등의 분야에서 함께 하기로 협약했다. 이진한 원장은 “앞으로 한·인니문화연구원에 거는 기대가 크다”고 말했다. 8월에 있을 아세아문제연구원과 대학생들의 인도네시아 방문과 다양한 학술 연구 계획, 바틱 관련 전시, 11월에 있을 학술대회에 대하여서도 대략적으로 의논하는 시간을 가졌다.
인도네시아에 거주하고 있는 채인숙 시인이 등단한 지 8년만에 첫 번째 시집을 발간했다. 시집의 제목은 ‘여름 가고 여름’(민음사, 2023)으로 제목에서부터 후덥한 열대의 기후를 온전히 담고 있다. 시 공간도 시인이 사는 인도네시아다. 시인은 페이스북에 “시집이 나왔다. 첫번째 개인 시집이다. 그냥……..후련하다”고 썼다. 하지만 이어지는 문장에는 타국에서 느꼈던 외로움을 버틸 수 있게 한 것이 시라고 고백한다. “스무살부터 지금까지 순정을 잃지 않고 해 온 유일한 일은 시를 쓰는 것이다. 나를 붙들고 점령해 온 유일한 것. 시를 쓰는 내가 있었기에, 모든 소식으로 부터 고립되고 소외되었던 이국의 시간을 나는 짐짓 우아하게 견딜 수 있었다.” 23년간 이국의 땅에서 고립된 시를 써왔다는 고백이다. 그리고 그를 ‘우아하게 견딜 수 있게’한 것은 시에 대한 추억과 열망이었다는 것. 시집 첫 시의 ‘디엥고원’의 첫 문장은 “열대에 찬 바람이 분다”이다. 속절없이 여름이 반복되는 나라에서 부는 열망의 바람이다. “여름이 오고 여름이 갔다”는 시구처럼 시 안에는 ‘소리를 죽여 혼자 우는 자바의 물소’나 ‘깜보자 꽃송이’, ‘자바의 검은 돌계단’ 같은 인도네시아를 느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