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월 10일 ‘iM뱅크’는 설 명절을 앞두고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을 대상으로 1조원 규모의 ‘2025 설날 특별자금대출’을 지원한다고 밝혔다. 이번 설날 특별자금대출은 신규 5,000억 원, 만기연장 5,000억 원 규모로 오는 1월 13일부터 2월 14일까지 실시된다. 업체별 지원한도는 최대 10억원으로 신용등급과 거래조건에 따라 최대 연1.50%포인트(P)까지 금리우대를 지원한다. 아울러 신속한 자금지원을 위해 신용평가와 전결권을 완화하는 등 대출취급 절차도 간소화했다. iM뱅크 관계자는 “설날 특별자금대출이 어려움을 겪고 있는 역내 중소기업에 실질적인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며 “새해에도 다양한 금융지원 프로그램을 마련해 중소기업・소상공인과 따뜻하게 동행하는 iM뱅크가 되겠다.”고 말했다.
지난 1월 10일 부산시는 교통카드 시스템 사업자 선정을 위한 제안서 평가위원회를 열어 '마이비 컨소시엄'을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했다고 밝혔다. 시는 기존 사업자 협약 기간이 오는 8월 6일에 만료됨에 따라 차기 사업자를 공모했다. 공모에는 ‘마이비 컨소시엄’(롯데이노베이트,삼원에프에이)과 ‘티머니 컨소시엄’(에이텍모빌리티, 대선주조, 매직홀딩스, 부산일보)이 참여해 제안서를 평가받았다. 평가위원회는 교통카드 시스템의 구체적 개선 계획, 현 교통카드 시스템 수용・이관계획, 지역사회 협력사업 계획 등을 평가해 정량・정성 평가 모두 마이비 컨소시엄에 합산 최고 점수를 줬다. 평가 위원으로는 공공기관 직원, 교수, 회계사, 타시도 공무원 등 각계 전문가 8명이 참석했다. 마이비 컨소시엄은 오는 8월 7일부터 10년간 부산시 교통카드 시스템을 맡게 된다. 부산시 관계자는 “이번 사업자 선정으로 비접촉식 결제시스템 ‘태그리스’ 본격 도입, 모바일 동백 패스 시스템 구축, 버스-도시철도 통합정기권 도입, 광역 환승 체계 개선・확대 등 차세대 모빌리티 구현에 필요한 정책 도입이 가속화될 것으로 전망한다.”고 밝혔다.
GS건설이 대구 수성구 만촌3동에서 총 3929억 원 규모의 재개발 공사를 수주했다. 지난 1월 10일 GS건설은 공시를 통해 이번 재개발 사업의 계약 체결 소식을 알리며, 해당 금액이 2024년 매출액(13조 4366억 원)의 약 2.9%에 해당한다고 밝혔다. 이번 프로젝트는 만촌3동 866-3번지 일대에 지하 4층부터 지상 28층까지 총 10개 동 규모의 공동주택 864가구와 부대 복리시설을 건설하는 대규모 공사다. GS건설은 이번 수주를 통해 대구 지역의 재개발 시장에서 입지를 강화하는 한편, 지속적인 사업 확대를 이어갈 전망이다.
프리미엄 이너웨어 브랜드 젝소의 ‘심리스 브라’가 12차 물량 입고 후 3주 만에 완판되며 누적 판매량 12만 장을 기록했다. ‘젝소’(Zaxo)는 이를 기념해 45% 할인 프로모션을 진행한다. 젝소 심리스 브라는 42g의 가벼운 착용감과 피부 친화적인 폴리아미드&엘라스틴 소재로 장시간 착용에도 편안함을 제공한다. 특히, 24시간 브래지어 착용의 불편함을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제품이다. 젝소는 고객 편의를 위해 쿠팡의 로켓 배송 시스템을 도입했으며, 해당 플랫폼의 브래지어 부문에서 TOP 2위에 올랐다. 브랜드 디렉터 김재훈 팀장은 “이번 성과는 제품의 편의성과 품질이 입소문을 타며 대형 맘카페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 뜨거운 반응을 얻은 결과.”라며 “더 많은 고객이 편리하게 제품을 접할 수 있도록 배송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개선할 것.”이라고 밝혔다.
스톡 이미지 플랫폼 기업으로 꼽히는 ‘게티이미지’와 ‘셔터스톡’이 하나의 기업으로 합병된다. 이미지를 생성하는 인공지능(AI) 툴들이 부상하면서 기존 이미지 플랫폼 기업들의 경쟁력이 위협을 받자, 라이벌로 꼽혔던 양대 플랫폼이 하나의 이름으로 뭉치는 것이다. 지난 1월 7일 게티이미지는 양사 간의 주식교환 합병 계약을 최종적으로 체결했으며, 합병 회사 이름은 ‘게티 이미지 홀딩스’(Getty Iamage Holdings)가 될 것이라고 발표했다. 이번 합병은 게티이미지가 셔터스톡을 흡수하는 방식으로, 게티이미지 주주들이 지분의 54.7%를, 셔터스톡 주주들이 나머지를 소유하게 된다. 크레이그 피터스 게티이미지 CEO가 합병 회사를 이끌 예정이며, 양사의 시총을 합한 기업 규모는 약 37억 달러(원화 약 5조 3,700억 원)에 달한다. 피터스 CEO는 합병 결정에 대해 “산업 전반에 걸쳐 매력적인 시각 콘텐츠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두 기업이 하나로 힘을 합치기에 최적의 시기.”라고 말했다. 양사는 모두 방대한 양의 스톡 이미지와 영상을 확보해 이를 언론사나 기업, 기관 등이 사용할 수 있도록 라이선싱하는 방식으로 사업을 전개하는 곳이다. 업계에서는
주민등록번호와 혼인관계증명서 등 최소 18,000명에 달하는 국민의 개인정보를 유출한 법원행정처에 개인정보보호법 개정 전 기준으로 공공기관 역대 최대인 2억700만원의 과징금이 처분됐다. 지난 1월 9일 개인정보보호위원회는 개인정보보호법을 위반한 법원행정처에 2억700만원의 과징금과 시정명령 처분을 의결했다고 밝혔다. 위원회 조사결과 법원행정처는 이용상 편의를 위해 내부망과 외부망간 상호접속이 가능한 네트워크 통신 통로 ‘포트’를 개방해 운영한 사실이 드러났다. 해커는 이틈을 노려 침입해 내부망 전자소송 서버에 저장된 자필 진술서와 혼인관계증명서, 진단서 등 다량의 문서가 포함된 1,014 기가바이트(GB) 분량의 데이터를 유출했다. 이중 경찰 수사에서 복원된 4.7㎇의 파일을 분석한 결과, 해당 데이터에서는 주민등록번호를 포함한 17,998명의 개인정보가 확인됐다. 구체적으로 주민등록번호 2,010명, 이름 15,000명, 생년월일 2,300명, 연락처 2,000명, 소송 관련 문서 10,089개 등이다. 복원된 규모가 전체 유출량의 0.46%에 불과하다는 점을 감안하면 실제 개인정보 유출 건수는 확인된 규모보다 250배 이상 많을 가능성도 있다는 것이 개
LG에너지솔루션이 일시적 수요 정체인 ‘캐즘’(Chasm) 여파로 지난 2024년 4분기 실적이 적자로 전환했다. 배터리 대장주 LG에너지솔루션이 2021년 3분기 이후 3년여 만에 적자를 내면서 2차전지 업계 한파가 심화되는 분위기다. 지난 1월 9일 지난 2024년 4분기 LG에너지솔루션은 2천255억원의 영업손실을 내 2023년 4분기 영업이익 3,382억 원와 비교해 적자 전환했다고 공시했다. 이는 증권가의 전망치 평균인 ‘컨센서스’ 2,724억 원의 17.2% 밑돈 수치다. 미국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상 첨단제조 생산 세액공제(AMPC) 금액은 3,773억원으로, AMPC를 제외한 적자는 6,028억원에 이른다. 다만 2024년 4분기 매출액은 6조 4,512 억원으로, 2023년 4분기 매출액 8조 14억과 비교해 19.4% 감소하는 데 그쳤다. 2024년 연간 영업이익은 5,754억 원으로 2023년 영업이익보다 73.4% 줄어들었고, 2024년 매출은 25조 6,196억 원으로 2023년 매출액 대비 24.1% 축소됐다. 이번 4분기 매출 감소는 고객사의 연말 재고 조정에 따른 물량 감소, 메탈가 하락에 따른 판가 영향 등의 영향을 받은 것
지난 1월 7일 말레이시아와 싱가포르가 투자를 지원하고 국가 간 상품과 사람의 자유로운 이동을 돕기 위해 말레이시아 남부 조호르주에 ‘경제특구’(SEZ)를 설립하는 협정을 체결했다.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양국은 1년 전 처음으로 경제지대 공동개발을 원칙적으로 합의했다. 그리고 이날 ‘로렌스 웡’ 싱가포르 총리와 장관들이 말레이시아를 방문해 ‘안와르 이브라힘’ 말레이시아 총리와 협정을 마무리했다. 양국은 첫 5년 이내에 경제 구역에서 50개의 프로젝트를 시행하며 이 과정에서 2만개의 숙련된 일자리를 창출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수천 명의 말레이시아인들이 일과 학업을 위해 매일 부자 국가인 싱가포르로 출퇴근하고 있다. 이에 따라 양국 간 국경 격인 해협은 세계에서 붐비는 국경 중 하나가 되어 다리에서 만성적인 차량 정체가 일어나곤 한다. 두 지도자는 이에 양국 간 고속철도를 건설하자고 제안했는데, 안와르 총리는 정부 개입은 최소로 하고 민간 부문이 이를 주도해야 한다고 말했다. 공동기자회견에서 웡 총리는 “이것은 중요한 프로젝트다. 우리는 경쟁력을 높이고, 가치를 향상하며, 해안에 더 많은 투자를 공동으로 유치할 수 있다.”고 말했다. 안와르 총리는 “두 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