캄보디아 앙코르 와트는 12세기 초에 세워진 세계 최대의 석조사원이다. 30여 년간 매일 2만 5000명의 인원이 동원되어 지어졌다. 앙코르 와트는 400여 년 동안 밀림 속에 방치되었다 1860년 우연히 발견된 세계 7대불가사의 중 하나다. 코로나19 팬데믹을 벗어나자 앙코르 와트에도 예전처럼 외국인 관광객이 붐비는 ‘관광 핫플레이스’가 되었다. 지난해는 전년 비해 약 50여만명이 늘어났다. 아세안익스프레스가 조성진 기자와 함께 '왕국의 사원' 앙코르 와트 ‘시간여행’을 떠난다. 풍경에 새로운 숨길을 불어넣는 그의 '역사인문기행'에 동참해보기를 바란다. [편집자주] ■ 봉헌식, 신을 만나러 가는 길 ② 왕은 2층 정원을 한바퀴 돌고 나서 3층으로 향했다. 3층 회랑으로 올라가는 계단은 폭이 좁고 가파르다. 계단은 동서남북 네 방향으로 세 개씩 각각 12개가 있는데 이 계단 수는 열두 달을 상징하는 것이라고 했다. 왕이 오르는 정면의 계단도 가파르지만 나머지 11개 계단은 더 가파르다. 65미터나 되는 높은 사원을 측면에서 지지하면서 구조미까지 감안하려면 그럴 수밖에 없었다. 더군다나 높이 솟은 메루산은 우주의 중심이라 천년이 지나도 무너지지 않아야 한다.
캄보디아 앙코르 와트는 12세기 초에 세워진 세계 최대의 석조사원이다. 30여 년간 매일 2만 5000명의 인원이 동원되어 지어졌다. 앙코르 와트는 400여 년 동안 밀림 속에 방치되었다 1860년 우연히 발견된 세계 7대불가사의 중 하나다. 코로나19 팬데믹을 벗어나자 앙코르 와트에도 예전처럼 외국인 관광객이 붐비는 ‘관광 핫플레이스’가 되었다. 지난해는 전년 비해 약 50여만명이 늘어났다. 아세안익스프레스가 조성진 기자와 함께 '왕국의 사원' 앙코르 와트 ‘시간여행’을 떠난다. 풍경에 새로운 숨길을 불어넣는 그의 '역사인문기행'에 동참해보기를 바란다. [편집자주] ■ 봉헌식, 신을 만나러 가는 길 행렬을 멈춘 왕은 코끼리 가마에서 내려 마중나와 있던 대사제와 신하, 그리고 건축 총감독과 인사를 나눴다. 그리고 진입로를 향해 천천히 걸어갔다. 거대한 인공호수에 떠 있는 사원 입구가 눈앞에 펼쳐졌다. 사원을 착공한 지 이십 년. 이제 공사 마무리 단계다. 살아있는 왕일 때, 비슈누신에게 바치는 봉헌식을 할 수 있어 다행이다. 신하들의 반대도 있었지만 공물을 바쳐야 했던 지방 호족들은 또 어땠는가. 강력한 왕권이 없었다면 시작도 못했다. 영원히 남을 하나의 사
캄보디아 앙코르 와트는 12세기 초에 세워진 세계 최대의 석조사원이다. 30여 년간 매일 2만 5000명의 인원이 동원되어 지어졌다. 앙코르 와트는 400여 년 동안 밀림 속에 방치되었다 1860년 우연히 발견된 세계 7대불가사의 중 하나다. 코로나19 팬데믹을 벗어나자 앙코르 와트에도 예전처럼 외국인 관광객이 붐비는 ‘관광 핫플레이스’가 되었다. 지난해는 전년 비해 약 50여만명이 늘어났다. 아세안익스프레스가 조성진 기자와 함께 '왕국의 사원' 앙코르 와트 ‘시간여행’을 떠난다. 풍경에 새로운 숨길을 불어넣는 그의 '역사인문기행'에 동참해보기를 바란다. [편집자주] ■ 붉은 색과 돋을새김으로 생동감 넘치는 크메르 예술의 보석 “황톳길에 선연한 / 핏자욱 핏자욱 따라 / 나는 간다 애비야 / 네가 죽었고 / 지금은 검은 해만 타는 곳 /” (김지하 ‘황톳길’) 10년 전 5월 가족과 함께 전북 고창 고부를 시작으로 동학농민혁명의 주요 전적지를 순례했었다. 고부군수 조병갑의 수탈로 농민 봉기의 도화선이 된 만석보에서, 농민군이 관군을 상대로 첫 승리를 거둔 황토현까지 걸었다. 이젠 기억에서 거의 지워졌지만 황토밭과 황톳길의 붉은 색은 해남의 고구마밭과 무안의
캄보디아 앙코르 와트는 12세기 초에 세워진 세계 최대의 석조사원이다. 30여 년간 매일 2만 5000명의 인원이 동원되어 지어졌다. 앙코르 와트는 400여 년 동안 밀림 속에 방치되었다 1860년 우연히 발견된 세계 7대불가사의 중 하나다. 코로나19 팬데믹을 벗어나자 앙코르 와트에도 예전처럼 외국인 관광객이 붐비는 ‘관광 핫플레이스’가 되었다. 지난해는 전년 비해 약 50여만명이 늘어났다. 아세안익스프레스가 조성진 기자와 함께 '왕국의 사원' 앙코르 와트 ‘시간여행’을 떠난다. 풍경에 새로운 숨길을 불어넣는 그의 '역사인문기행'에 동참해보기를 바란다. [편집자주] ■ 동 메본과 프레 룹, 하늘 궁전을 세운 앙코르 예술의 창시자 아버지 인드라바르만 1세와 아들 야소바르만 1세가 나라의 초석을 다진 지 30년이 흘러 크메르의 아홉 번째 왕 라젠드라바르만 2세(재위 944~968)는 전왕의 자리를 빼앗다시피 하여 왕위에 올랐다. 왕은 됐지만 왕위 계승의 명분이 없어, 정통성을 확보하는 일이 가장 시급했다. 명분을 만들려면 자신의 외삼촌인 야소바르만 1세를 내세워야 했다. 야소바르만 1세의 아들, 즉 조카가 자야바르만 4세(재위 928~942)에게 왕위를 빼앗겼
캄보디아 앙코르 와트는 12세기 초에 세워진 세계 최대의 석조사원이다. 30여 년간 매일 2만 5000명의 인원이 동원되어 지어졌다. 앙코르 와트는 400여 년 동안 밀림 속에 방치되었다 1860년 우연히 발견된 세계 7대불가사의 중 하나다. 코로나19 팬데믹을 벗어나자 앙코르 와트에도 예전처럼 외국인 관광객이 붐비는 ‘관광 핫플레이스’가 되었다. 지난해는 전년 비해 약 50여만명이 늘어났다. 아세안익스프레스가 조성진 기자와 함께 '왕국의 사원' 앙코르 와트 ‘시간여행’을 떠난다. 풍경에 새로운 숨길을 불어넣는 그의 '역사인문기행'에 동참해보기를 바란다. [편집자주] ■ 영웅이 되기 위해서 꼭 해야 할 일은 ‘물 관리’ 앙코르 유적지를 다니다 보면 사원 건축물에 놀라고 부조에 또 한번 놀란다. 건축물의 규모가 엄청 크고 부조에 새겨진 신화와 역사가 머릿속에 그려질 정도로 생생하다. 사원의 수는 상상 이상으로 많다. 놀랍다 못해 신비롭다. 그러나 2~3일 지나면서 가장 놀랐던 것은 건축물이 아니라 물이다. 앙코르를 찾는 관광객이라면 당연히 사원 유적을 보기 위해 왔을 것이다. 물을 보기 위해 오는 사람은 거의 없다. 물은 그저 무대 배경처럼 사원에 들어가기 위
캄보디아 앙코르 와트는 12세기 초에 세워진 세계 최대의 석조사원이다. 30여 년간 매일 2만 5000명의 인원이 동원되어 지어졌다. 앙코르 와트는 400여 년 동안 밀림 속에 방치되었다 1860년 우연히 발견된 세계 7대불가사의 중 하나다. 코로나19 팬데믹을 벗어나자 앙코르 와트에도 예전처럼 외국인 관광객이 붐비는 ‘관광 핫플레이스’가 되었다. 지난해는 전년 비해 약 50여만명이 늘어났다. 아세안익스프레스가 조성진 기자와 함께 '왕국의 사원' 앙코르 와트 ‘시간여행’을 떠난다. 풍경에 새로운 숨길을 불어넣는 그의 '역사인문기행'에 동참해보기를 바란다. [편집자주] ■ 나라는 없어져도 역사는 남는다...전성기 자랑하는 앙코르 유적 우리나라 역사의 최고 전성기는 언제일까. 많은 사람들이 고구려의 광개토대왕이나 조선 세종대왕 때를 뽑지만 정확히 어느 때라고 말하기는 망설여진다. 캄보디아에서는 크메르 왕국이 역사상 최고의 전성기였다. 12세기에서 13세기 사이, 특히 앙코르 톰을 건설하고 영토를 태국과 라오스 지역까지 넓힌 자야바르만 7세(재위 1181~1219) 때가 최고의 전성기이자 최고 융성기다. 광개토대왕과 세종대왕을 합쳐놓은 왕이 자야바르만 7세인 셈이
캄보디아 앙코르 와트는 12세기 초에 세워진 세계 최대의 석조사원이다. 30여 년간 매일 2만 5000명의 인원이 동원되어 지어졌다. 앙코르 와트는 400여 년 동안 밀림 속에 방치되었다 1860년 우연히 발견된 세계 7대불가사의 중 하나다. 코로나19 팬데믹을 벗어나자 앙코르 와트에도 예전처럼 외국인 관광객이 붐비는 ‘관광 핫플레이스’가 되었다. 지난해는 전년 비해 약 50여만명이 늘어났다. 아세안익스프레스가 조성진 기자와 함께 '왕국의 사원' 앙코르 와트 ‘시간여행’을 떠난다. 풍경에 새로운 숨길을 불어넣는 그의 '역사인문기행'에 동참해보기를 바란다. [편집자주] 아무런 계획이나 일정도 없이 무작정 여행을 떠나는 사람이 있는가 하면 하나부터 열까지 꼼꼼하게 준비한 후에 여행지로 떠나는 사람도 있다. 전자는 인생이란 어차피 빈손으로 왔다가 빈손으로 가기 때문에 “발길 닿는 대로 가는 것이 참 여행”이라고 생각하는 쪽이다. 후자는 “아는 만큼 보인다”는 원칙 하에 한번 가면 다시 오기 힘들지 않겠냐 하며 가능하면 제대로 알고 떠나자는 쪽이다. 어느 것이 맞는가의 문제라기보다는 보통은 각자의 취향과 여행습관에 따라 결정지어진다. 필자의 경우는 후자에 가깝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