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년대 중반 이후 아세안(ASEAN, 동남아시아국가연합)의 주요 이슈들 중 하나로 스타트업 열풍을 들 수 있습니다. 동남아시아가 주로 천연자원의 보고, 가성비 높은 휴양지 등으로 인식돼 왔다는 점에서 국내에는 낯선 뉴스일지도 모르겠습니다. 하지만 2018년 공유 경제의 대명사로 꼽히는 우버(Uber)의 동남아 사업 부문을 인수하며 화제가 된 싱가포르의 그랩(Grab) 등 선두 주자들에는 기존 산업의 지형도를 바꾼다는 호평이 쏟아졌을 정도로 아세안 스타트업 시장은 급성장 중입니다. 그리고 코로나19(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사태의 충격파에도 불구하고 스타트업 붐은 아세안 사회의 디지털 경제로 패러다임 전환을 이끌고 있습니다. 현지 언론보도 등에 따르면, 아세안 스타트업들은 2020년 82억달러(약 9조 5000억원) 규모의 투자를 유치한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아세안 사회에 디지털 경제 바람이 불기 시작한 2015년 투자 규모가 16억 달러(약 1조 9000억원)에 불과했던 점을 감안하면 괄목할 만한 성장세가 아닐 수 없습니다. 물론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경기 침체 등으로 투자환경이 위축되면서 2020년 투자 금액은 2019년의 95억 달러(약 11조
지난 7월말 귀를 쫑긋 세우게 하는 한국 자동차업계의 해외 진출 뉴스가 보도됐습니다. 바로 현대자동차그룹과 LG에너지솔루션이 인도네시아에 연간 생산량 10GWh 규모의 배터리셀 합작공장을 세우기 위해 인도네시아 정부와 투자 협약을 맺었다는 소식이었습니다. 이번 협약에 앞서 인도네시아의 수도 자카르타 인근의 카라왕 산업단지 내 합작공장 설립 계약을 체결한 현대차그룹과 LG에너지솔루션은 2023년 상반기 완공을 목표로 약 11억 달러(약 1조2700억원)를 투자할 계획입니다. 그리고 2024년 상반기부터 연간 전기차 배터리 15만대분 이상의 배터리셀 양산에 돌입해 현대차와 기아차의 전용 플랫폼이 적용된 전기차 모델 등에 탑재한다는 방침입니다. 인도네시아 배터리셀 투자를 통해 동남아시아 시장 공략에 본격적으로 팔을 걷어붙인 현대차그룹과 LG그룹의 발 빠른 움직임을 지켜보면서 고개가 끄덕여졌습니다. 매력적인 생산기지에 더해 최근 구매력을 갖춘 소비시장으로도 주가를 높여온 동남아 지역에서 존재감을 키울 수 있는 행보로 주목받기 때문입니다. 즉, 완성차 그룹과 배터리 기업 간의 폭넓은 전기차 분야 협업이 일본 자동차업계의 텃밭으로 인식돼 온 동남아 시장에서 국내 브랜드
“올해도 발리로 여름 휴가를 가기는 어렵겠네요.” 장마가 끝나고 본격적인 무더위가 예고된 최근 필자의 지인이 털어놓은 하소연(?)입니다. 한국인들의 발걸음이 줄을 잇는 휴양지로 오랫동안 사랑받아온 인도네시아 발리(Bali)를 갈망하는 아쉬움이 짙게 묻어났습니다. 실제 예년 같으면 여름 휴가철을 맞아 발리행 항공권을 탐색하는 손길이 분주했을 때입니다. 하지만 2021년 7월의 형편은 자못 다릅니다. 4차 대유행이 현실화될 정도로 코로나19(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사태가 장기화되면서 나라 밖으로 떠나는 발길이 사실상 묶여 버렸기 때문입니다. 기업인들의 비즈니스 출장에 대한 제약조차 갈수록 커질 만큼 여러모로 안타까움을 더하고 있습니다. 인천공항에서 출발하는 비행기에 몸을 싣고 약 6시간 30분~7시간이면 도착할 수 있는 발리는 남반구의 저위도에 위치한 섬입니다. 제주도의 대략 3배 크기에 440만여 명이 거주하는 발리에는 연중 무덥고 습한 열대우림 기후가 두드러집니다. 발리는 역사적으로 인도네시아 정치-경제의 중심지인 서쪽의 자바섬(Java Island)과 소순다 열도(Lesser Sunda Islands)로도 불리는 동쪽의 누사 텡가라(Nusa Tengg
최근 제주도에 머물고 있는 동남아시아 출신 이주민들을 접할 기회가 있었습니다. 한국 남성과 결혼한 젊은 여성부터 재래시장 한켠에서 동남아 음식을 판매하는 가족, 렌터카 업체에서 정비기사로 일하는 젊은 남성과 바닷가 횟집에서 근무하는 중년 여성까지 스펙트럼도 다양했습니다. 외부 세계에 대한 배타성이 강한 것으로 알려진 관광섬 곳곳에 자리잡은 동남아인들을 스쳐 지나가면서 새삼 다문화를 떠올렸습니다. 그리고 일찌감치 다문화 시대를 선언한 아세안의 속살을 들여다보고 싶다는 바람도 커졌습니다. 동티모르를 제외한 동남아 10개 나라로 구성된 지역협력체인 아세안(ASEAN, 동남아시아국가연합) 회원국들은 몇 가지 특성을 공유합니다. 학계에서는 일반적으로 벼농사 중심의 농경 문화와 유럽 열강에 의한 식민 지배 경험, 권위주의 정부 주도의 성장 모델 도입 등을 아세안 국가들의 공통점으로 설명합니다. 하지만 전문가들이 꼽는 아세안 지역의 가장 큰 특징은 단연 다양성입니다. 다양성에 기반한 다문화(한 국가나 한 사회 내에 다른 계급, 민족, 인종 등 여러 집단의 문화가 공존하는 현상) 야말로 아세안 사회에서 보편적으로 발견되는 현상이라고 목소리를 높입니다. 예를 들어, 동남아
최근 몇 년 전부터 알고 지낸 인도네시아의 한 대기업과 자주 커뮤니케이션을 주고받고 있습니다. 인도네시아 가축사료 시장 점유율 70%가량을 차지하며 2019년에 39억 달러(약 4조3000억 원) 매출을 기록한 화인(華仁) 재벌 중 한 곳입니다. 인도네시아를 포함해 베트남, 중국 등 아시아 5개 나라에 4만여 명 임직원이 근무하는 이 기업은 현재 전세계 스타트업계를 대상으로 경진 대회를 진행하는 중입니다. 농식품 테크 분야의 혁신적인 아이디어나 기술력을 갖춘 스타트업과 적극적으로 협업 기회를 모색하기 위해서입니다. 동물 백신 관련 기술을 보유한 한국의 한 스타트업과 머리를 맞대고 대회 참가를 준비하면서 거대 기업의 달라진 모습에 유독 눈길이 쏠렸습니다. 싱가포르의 창업 전문 엑셀러레이터와 손잡고 설립 50년 만에 처음 유력 스타트업을 선발해 투자하는 파일럿 프로젝트를 도입할 만큼 달라지는 인도네시아 대기업들의 현주소를 목격한 까닭입니다. 1년 넘게 지구촌 곳곳에서 위력을 떨치고 있는 코로나19(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사태로 신음하기는 동남아시아 역시 마찬가지입니다. 이는 GDP(국내총생산) 기준 동남아 경제의 약 40%를 담당하는 것으로 알려진 인도네시
최근 한류스타 송중기씨 주연의 케이블 채널 드라마 ‘빈센조(Vincenzo)’를 즐겨 보고 있습니다. 공식 홈페이지에 “조직의 배신으로 한국으로 오게 된 이탈리아 마피아 변호사가 베테랑 독종 변호사와 함께 악당의 방식으로 악당을 쓸어버리는 이야기”로 소개된 빈센조의 제작지원사 목록 중 낯익은 외국 브랜드가 시선을 사로잡았습니다. 바로 인도네시아를 대표하는 커피사탕 브랜드 코피코(Kopiko)가 그 주인공입니다. 인도네시아 식음료 대기업 마요라(Mayora)사의 주력 제품인 코피코는 1982년 처음 출시된 이래 전세계 80여개 나라에서 판매돼 왔습니다. 2016년 방영된 드라마 ‘태양의 후예’ 이후 인도네시아 젊은 세대 사이에서 주가를 높여온 송중기씨 및 동료 배우들과 나란히 코피코 사탕이 간접광고(PPL)로 등장하는 장면이 곧 전파를 탈 것으로 짐작됩니다. 개인적 취향이 담긴 신작 얘기를 꺼낸 것은 아세안(ASEAN, 동남아시아국가연합) 드라마 한류 얘기를 전하고 싶기 때문입니다. 지난해 하반기 ‘사이코지만 괜찮아’, ‘더 킹: 영원의 군주’, ‘우리, 사랑했을까’ 등 K-드라마가 말레이시아와 필리핀, 베트남, 태국 등 대다수 아세안 국가들에서 큰 인기를 끌
전세계 대부분 지역과 마찬가지로 2021년 아세안(ASEAN, 동남아시아국가연합)에도 코로나19(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확산세가 지속되고 있습니다. 2월 말 기준 각각 누적 확진자 수 133만 명, 57만 명을 돌파한 인도네시아와 필리핀을 비롯해 말레이시아, 미얀마 등지에서도 감염 사례가 연일 증가하는 추세입니다. 그나마 인도네시아와 싱가포르를 시작으로 말레이시아, 태국 등이 속속 코로나19 백신 접종 대열에 합류하는 사실이 위안거리입니다. 이렇듯 일상으로 복귀가 당분간은 쉽지 않아 보이는 아세안을 강타한 소식이 2월의 첫날 들려왔습니다. 바로 미얀마에 군부 쿠데타가 발생한 것입니다. 주지하다시피, 민 아웅 흘라잉 최고사령관의 주도로 쿠데타를 일으킨 미얀마 군부는 아웅산 수치 국가 고문 등 정부 고위 인사들을 구금하고 1년간 비상 사태를 선포했습니다. 이후 군부 독재 체제로 회귀에 반대하는 대규모 시위가 미얀마 곳곳에서 펼쳐졌고, 이를 군경이 강경 진압하면서 사상자가 속출했다는 안타까운 외신이 보도됐습니다. 미국과 EU(유럽연합) 등을 중심으로 국제 사회가 군부를 겨냥한 비난과 압박 수위를 높이는 가운데, 민주화를 외치는 미얀마 국민들의 목소리 또한 수
2021년 새해가 문을 연 지도 어느덧 한 달이 지났습니다. 소띠해 신축년(辛丑年)을 맞이할 때의 간절한 소망과는 달리 전세계 대부분 지역은 여전히 누적 확진자 수 1억 명을 넘어선 코로나19(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사태의 여파로 신음하고 있습니다. 동남아시아 역시 예외가 아닙니다. 세계적 대유행의 위세가 다소 주춤한 싱가포르, 베트남 등을 제외한 대다수 국가들이 연일 심각한 몸살을 앓고 있습니다. 특히 각각 동남아 인구와 GDP(국내총생산)의 40% 가량을 차지하는 인도네시아의 상황이 심각해 보입니다. 주요 언론보도 등에 따르면, 인도네시아에는 1월 30일까지 총 105만1795명의 확진자와 2만9518명의 사망자가 공식 집계됐습니다. 이는 확진자 숫자 기준 세계에서 19번째로 큰 규모로 동남아 11개 나라들 중 유일하게 감염 사례가 100만 건을 돌파했습니다. 실제 1월에 접어들어 하루 평균 1만 건 이상의 신규 감염 사례들이 확인되면서 우려감을 키우고 있습니다. 조코 위도도(조코위) 대통령을 시작으로 1월 중순부터 코로나19 백신의 순차 접종이 진행되고 있지만 당분간 마음을 놓기 어려운 형편입니다. 이렇듯 코로나19 사태의 직격탄을 맞은 인도네시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