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레이시아 인구가 국제 이주를 중심 2023년 2.1% 늘 것으로 예상된다. 베르나마닷컴에 따르면 말레이시아 통계청(DOSM)은 7월 31일 발표를 통해 2023년 인구가 3340만명으로 전년 3270만에 비해 2.1% 증가할 것으로 추정했다. 인구증가율은 2022년 250만명에서 300만으로 늘어날 가능성이 있는 비시민권자 때문이다. 시민 인구도 3020만명에서 3040만명으로 0.7% 소폭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2022년 4월 1일부터 국경을 다시 개방하고, 올해 1월부터 고용 재조정프로그램 2.0(외국인 노동자 합법화)을 시행한 것과 일치한다. 전체인구 성비는 여성 100명 당 남성 110명으로 2023년에는 1750만명으로 남성이 여성에 비해 1590만명이 많다. 15~64세 인구구성의 근로연령은 2022년 69.6%에서 올해 70.0%로 증가한다. 65세 이상 비율은 7.2%에서 7.4%로 늘어난다. 0~14세는 23.2%에서 22.6%로 감소한다.
말레이시아가 인터넷데이터센터(IDC) 유치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말레이시아 자프툴 아지즈(Zafurul Aziz) 국제통상산업부 장관은 “데이터 허브가 되기 위해 노력하고, 강대국 게임이 격화되는 가운데 중립적인 공급망 기지로 자리매김한 말레이시아는 마이크로소프트(MS)와 알파벳 계열 구글을 유치하고 싶다.”고 말했다. 이어서 그는 “우리는 가능한 한 많은 사람들을 끌어들이고 있다.”며 “우리 스스로 데이터센터의 위상을 서서히 확립해 나가고 있다.”고 말했다. 말레이시아는 2023년 테슬라와 아마존웹서비스의 투자를 유치했다. 테슬라는 전기차와 슈퍼차저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아마존웹서비스는 2037년까지 클라우드 인프라를 255억 링깃( 말레이시아의 올해 투자 성공에는 테슬라와 아마존웹서비스 유치가 포함됐다. 테슬라는 이 동남아 국가에 전기차를 들여와 슈퍼차저 네트워크를 구축할 계획이며 아마존웹서비스는 2037년까지 클라우드 인프라를 구축하는데 255억 링깃(원화 약 7조 3,225억 원)을 투자한다. 말레이시아 투자 개발국에 따르면 2023년 1분기 기준 말레이시아는 2022년 1분기 대비 67% 증가한 714억 링깃(원화 약 20조 5,032억 원)의…
5월 23일 한국항공우주산업(KAI)이 국산 경공격기인 ‘FA-50’ 18대를 말레이시아로 수출하는 계약을 체결했다. 이는 필리핀, 폴란드와 체결한 계약에 이어 민․관․군이 합작해 이룬 3번째 성과다. 말레이시아 랑카위에서 개막한 동남아시아 방산 전시회 ‘리마(LIMA) 2023’에 참석한 KAI는 FA-50 18대 수출에 대한 내용을 담은 최종 계약식을 체결했다. 말레이시나 경공격기, 전술입문훈련기 1차 도입사업 기종으로 FA-50을 선정하고 지난 2월 KAI와 18대를 9억 2,000만 달러(원화 약 1조 2,000억 원) 규모의 본계약(LOA)을 체결했다. 체결식 당일에는 항공기 납품, 후속 지원 등 세부 내용을 협의하고, 최종 계약을 체결했다. 계약식엔 이종섭 국방부 장관과 모하마드 하산 말레이시아 국방부 장관, 강구영 KAI 사장 등이 참석했다. KAI는 24일 말레이시아 공군 참모총장이 주관하는 ‘공군 참모총장 콘퍼런스’에 참석해 인도네시아, 필리핀, 태국 등 아세안(동남아국가연합) 주요국의 공군 참모총장들과 우호를 다지면서 FA-50을 비롯한 KAI 생산 제품 판매 활동에 적극 나설 계획이다.
실력파 K-POP 듀오 ‘훈두’(HOONDOO:이승훈, 두진수)가 말레이시아 경연 프로그램 ‘빅 스테이지 2023(Big Stage 2023)에 출연해 1차 경연에서 1위에 올랐다. ‘훈두’는 지난 7일 방송된 말레이시아 최고 인기 노래 경연 프로그램 ‘빅 스테이지 2023’에 출연했다. 빅 스테이지는 재능과 실력을 겸비한 신인 가수들이 톱스타로 발돋움할 수 있는 등용문이다. 올해로 시즌5를 맞이한 ‘빅 스테이지 2023’에는 아시아 5개국의 가수 13팀이 출전했다. 특히 현재 말레이시아에서 가장 핫한 가수 ‘아이나 압둘(Aina Abdul)’이 심사위원단에 합류하며 더 큰 기대를 모았다. 매회 생방송으로 진행되는 이번 시즌은 참가자들의 라이브 무대 후 심사위원단의 현장 평가 외에도 관객들의 온라인 투표가 반영되는 만큼, 실력은 물론 대중성까지 겸비해야는 더욱 치열한 경쟁을 예고했다. ‘빅 스테이지 2023’ 첫번째 경연에서 훈두는 ‘에일리’ 원곡의 드라마 ‘도깨비’ OST ‘첫눈처럼 너에게 가겠다’를 열창했다. 심사위원단과 관객들의 압도적인 지지와 점수를 받아 총점 81%라는 높은 점수을 얻었다. 1위에 올라선 훈두는 동시에 심사위원 대상인 ‘베스트 퍼포먼
“동방정책 40주년, 두 나라 실질 협력과 전략적 소통을 강하화자” 박진 외교장관은 지난 2일 오후 안와르 빈 이브라힘(Anwar bin Ibrahim) 말레이시아 총리를 예방한 후 잠브리 빈 압둘 카디르(Zambry bin abd Kadir) 말레이시아 외교장관과 양자회담을 개최했다. 올해 한-말레이시아 동방정책 40주년을 맞이하여 양국간 실질 협력과 전략적 소통 강화 방안을 논의했다. ■ 말레이시아 포함한 아세안과의 호혜적‧포괄적 협력 네트워크 구축 의지 전달 말레이시아의 행정 수도 푸트라자야에서 안와르(Anwar) 말레이시아 총리를 예방한 박 장관은, “두 나라가 민주주의‧시장경제 등의 가치를 공유하는 최적의 파트너로서 지난 60여년 동안 다방면에서 견고한 협력관계를 발전시켜 왔다”고 평가하였다. 아울러 박 장관은 우리 정부가 최초의 포괄적 지역전략인 ‘인도태평양 전략’을 작년 말 발표한 데 이어, 인태지역의 우리 핵심 협력 파트너인 아세안에 특화된 지역 정책으로서 ‘한-아세안 연대구상(KASI)’의 구체내용도 마련하였다고 설명하면서, 말레이시아를 포함한 아세안과의 호혜적‧포괄적 협력 네트워크 구축 의지를 전달하였다. 이에 대해 안와르 총리는 “한국 정
박진 외교부장관이 지난 2일 쿠알라룸푸르 소재 말레이시아 국립미술관(National Art Gallery of Malaysia)에서 개최된 ‘한류 전시회(Hallyu Exhibition)’의 개막식에 참석하였다. 말레이시아를 방문 중인 박 장관은 쿠알라룸푸르 소재 말레이시아 국립미술관(National Art Gallery of Malaysia) 전시회의 개막식에 하자 사라야(Datuk Hajah Saraya) 말레이시아 관광·예술·문화부(MOTAC) 차관, 아메루딘 아마드(Amerrudin Ahmad) 국립미술관장 등 200여 명의 주요 인사들과 함께 참석하였다. 이 행사는 주말레이시아 한국대사관과 말레이시아 국립미술관이 공동주최했다. 이번 전시회는 한국과 말레이시아 간 동방정책(Look East Policy) 40주년을 기념하여 말레이시아 국립미술관측의 제안으로 시작되었다. ‘한류(Hallyu : Korean Wave)’를 주제로 두 나라 작가들이 제작한 프레스코화, 미디어아트, 설치 미술 등 총 10개 테마의 작품들이 4개월간(5.1-9.16) 전시된다. 참여작가는 한국에서는 진영선 고려대 명예교수, DaViz(오은석, 박규동 광운대 교수), 부경희 광운
말레이시아 투자‧무역‧공업부에 따르면 2023년 3월 무역흑자는 2022년 3월보다 266억 9,000만 링깃(원화 약 8조 115억 원)증가하면서 2020년 5월 이후 35개월 연속 흑자를 기록했다. 2023년 3월 한 달 동안 말레이시아의 총 무역액은 1.6%p 감소한 2327억 2,000만 링깃으로 수출액은 1.4%p 감소한 1297억 1,000만 링깃, 수입액은 1.8%p 감소한 1,030억 1,000만 링깃으로 떨어졌다. 2023년 2월 대비 3월 무역총액 13.5%, 수출 15.5%, 수입 11.1%, 무역흑자 36.4%로 두 자릿수 성장을 기록했다. 2023년 1분기 말레이시아의 무역 총액은 2022년 1분기 대비 3.2% 증가한 6,448억 7,000만 링깃, 수출은 2.8% 증가한 3,546억 3,000만 링깃, 수입은 3.7% 증가한 2,902억 4,000만 링깃으로 집계됐다. 무역흑자는 1% 감소한 643억 9,000만 링깃을 기록으로 무역액, 수출액, 수입액은 이 단계에서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 2022년 4분기에 비해 무역액은 10.2%, 수출은 9.8%, 수입은 10.7%, 흑자는 5.2% 감소했다. 3월 생산물품 수출은 전체…
“말레이시아 안와르 새정부 정책과 경제현황은?”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원 아세안센터(Korea University ASEAN Center, KUAC)는 2023년 4월 24일 월요일 오후4시부터 5시 30분까지 ‘아세안 콜로키움’을 개최한다. 아세안센터가 주최하는 아세안 전문가 콜로키움은 아세안 최고의 전문가와 함께 아세안 국가가 당면한 중요한 현안을 심도 깊게 논의하는 장이다. 이번 콜로키움에서는 아세안 경제와 기업 전문가인 고려대 아세아문제연구원 아세안센터 고영경 교수가 ‘말레이시아 경제현황과 전망: 안와르 새정부의 정책방향과 전환의 기회’에 관해 논의할 예정이다. 강연자를 맡은 고영경 교수는 『미래의 성장 시장 아세안』『아세안 슈퍼앱 전쟁』『7UPs in ASIA: 인도와 아세안 6개국 기업사례와 성장전략』등 굵직한 아세안 경제관련 책을 낸 저자이기도 하다. 행사는 온라인(ZOOM)과 오프라인(고려대 국제관 115호)에서 동시에 개최된다. 주제: 말레이시아 경제현황과 전망: 안와르 새정부의 정책방향과 전환의 기회 발표: 고영경 교수(고려대 아세아문제연구원 아세안센터) 일시: 2023년4월 24일(월) 16:00-17:30 장소: 고려대학교 국제관1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