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레이시아에서 자체 개발한 첫 전기차(EV)를 출시되면서 말레이시아의 전기차 산업 육성에 속도를 내고 있다. 12월 17일 ‘AFP통신’과 현지 매체 ‘더스타’ 등에 따르면 말레이시아 자동차 업체 프로톤은 지난 12월 16일 첫 전기차 ‘e.MAS 7’ 스포츠유틸리티차(SUV)를 선보였다. 최고급 모델의 판매 가격이 12만 3,800링깃(원화 약 4,000만 원)으로 상대적으로 저렴한 편이다. 따라서, e.MAS 7이 외국 전기차 브랜드 중심의 시장 판도를 흔들 수 있을 것인지에 대한 기대의 시선이 모인다. 프로톤은 중국 지리자동차가 지분 49.9%를 보유하고 있으며, 지난 2024년 4월 중국 항저우에 전기차 연구개발(R&D)센터를 열었다. 프로톤은 지리자동차와 협력해 향후 더 많은 전기차 모델을 선보일 계획이다. 말레이시아에는 미국 ‘테슬라’와 중국 BYD(비야디) 등 전기차 기업들이 진출한 상황이다. 지리자동차는 말레이시아에 100억 달러(원화 약 14조 4,000억 원)를 투자해 전기차 생산 시설을 건설 중이다. 말레이시아는 2030년까지 전체 자동차 판매에서 전기차가 차지하는 비중을 30%까지 늘린다는 목표로 전기차 시장 확대에 나서고 있다.
말레이시아가 ‘2030년 신산업 마스터플랜’(NIMIP 2030)으로 글로벌 의료기술 허브로 도약한다는 계획을 공개했다. 말레이시아 투자무역산업부(MITI)의 ‘자프툴 압둘 아지즈 장관’은 국제의료기기전시회 연설에서 “지속 가능한 발전과 산업 개혁으로 말레이시아가 의료기술의 자리 잡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NIMP 2030’은 말레이시아를 보건 기술의 중심지로 성장시키는 것을 목표로 한다. 국민의 건강 보호, 아세안 지역의 경제 성장 촉진, 글로벌 보건 당국 및 헬스케어 산업 지원을 실현하는 것이다. 자프룰 장관은 “올바른 정책적 지원 덕분에 말레이시아의 의료기술 산업이 디지털 의료와 의료 로봇 분야에서 빠르게 발전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되고 있다.”고 밝혔다. 말레이시아는 현재 200여 개의 의료기기 제조업체를 보유하고 있으며, 이 중 30개는 글로벌 브랜드를 보유한 다국적 기업으로 구성돼 있다. 2023년 말레이시아의 의료기기 수출액은 약 63억 7,000만 달러를 기록했으며, 2024년 1월부터 9월까지의 수출액은 61억 5,000만 달러로 2023년 1월~9월 대비 30% 증가했다. 이는 말레이시아 의료기술 산업의 경쟁력을 입증하는 성과로 평가받고
말레이시아가 글로벌 인공지능(AI) 강국 도약을 목표로 AI 관련 정책을 총괄할 전담 기관을 설립했다. 지난 12월 13일 말레이시아 정부는 전날인 12월 12일 국립AI사무국(NAIO)을 발족했다. NAIO는 인공지능(AI) 산업의 지역 허브가 되기 위한 전략 수립, 연구 개발, 규제 관리 등 AI 분야 전반을 담당하는 지휘소 역할을 하게 될 예정이다. 말레이시아 디지털통신부는 NAIO가 정부, 기업 간 협력을 통해 AI 도입을 가속하는 구심점 역할을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설립 첫해에는 AI 윤리강령과 규제 체계를 마련하고 5개년 AI 기술 실행 계획을 수립할 계획이다. 말레이시아 정부는 이날 아마존・구글・마이크로소프트(MS) 등 말레이시아에 데이터센터, 클라우드・AI 투자를 발표한 6개 기업과 전략적 제휴를 맺었다고도 밝혔다. 안와르 이브라힘 말레이시아 총리는 NAIO 개국식에서 “우리의 디지털 전환 여정에서 또 하나의 역사적인 순간.”이라며 “고소득 국가가 되려는 목표는 디지털 혁신을 통해서만 달성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서 “말레이시아 경제가 고무와 주석 중심에서 팜유와 제조업으로 발전했고, 이제는 디지털 경제로 전환하고 있다.”고 강조하면서
지역적 성장의 실현: 조호르-싱가포르 특별경제구역(JS-SEZ)에서의 사업기회 말레이시아 투자진흥청(MIDA)은 조호르 주(JS-SEZ) 투자청(Invest Johor)과 함께 투자 세미나를 개최했다. 서울 소공동 롯데호텔에서 10월 28일 열린 세미나에서는 '말레이시아 조호르(JOHO)주의 발전현황 및 조호르 주 특별경제구역(SEZ)에서의 새로운 투자기회'에 대한 비전을 제시했다. 투자청, 딜로이트, OCBC은행 및 메이뱅크(MAYBANK) 등이 발표에 나섰다. 이번 행사는 '지역적 성장의 실현’이라는 주제로, 김재신 한아세안센터 사무총장의 개회사를 시작으로, 다토 모하마드 잠루니 칼리드(Mohd Zamruni Khalid) 주한 말레이시아 대사의 축사와 다토 온 하피즈 가지(Onn Hafiz Ghazi) 조호르 주 수상(Chief Minister of Johor)의 기조연설로 시작되었다. 잠루니 대사는 축사에서, “한국과 말레이시아 간 또 하나의 중요한 가교역할을 해서 기쁘다.”라고 말했다. 다토 온 하피즈 가지 조호르 주 수상은 기조연설에서, 총리의 ‘조호르 지역은 말레이시아의 동력’이란 발언을 소개하며, 싱가포르와 특별경제자유구역을 만들어 12월초에
지난 10월 16일 오라클(Oracle)이 말레이시아에서 인공지능(AI) 및 클라우드 서비스에 대한 급증하는 수요를 충족하기 위해 65억 달러(원화 약 8조 7,000억 원) 이상을 투자해 퍼블릭 클라우드 리전을 개소할 계획이라고 발표했다. 신규 클라우드 리전은 말레이시아의 오라클 고객 및 파트너가 AI 인프라와 서비스를 활용하고, 중요 업무를 오라클 클라우드 인프라스트럭처(OCI)로 이전할 수 있도록 지원할 방침이다. 개소 예정인 퍼블릭 클라우드 리전은 기업들이 애플리케이션을 현대화하고, 모든 유형의 업무를 클라우드로 이전하며, 데이터, 분석 및 AI를 통해 혁신할 수 있도록 돕는다. 해당 지역의 기업들은 검색증강생성(RAG) 기능을 제공하는 OCI 생성형 AI 에이전트(OCI Generative AI Agents)와 국가 내 소버린 AI 모델을 보유할 수 있게 하는 가속 컴퓨팅 및 생성형 AI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또 최대 13만1072개의 엔비디아 블랙웰(NVIDIA Blackwell) 그래픽처리장치(GPU)와 엔비디아 커넥트X-7(NVIDIA ConnectX-7 NICs)를 사용한 RoCEv2 네트워킹 또는 엔비디아 GB200 NVL72 랙 솔루
“식수 부족한 말레이시아, 꼼꼼한 정수기 사후관리 민심을 얻었어요.” 코웨이는 한국 정수기-비데 업계 1위다. 지난해 매출 3조9665억원, 영업이익 7313억원으로 역대 최대 실적을 기록했다. 각각 전년 대비 2.9%, 8.0% 증가한 수치다. 넷마블이 인수한 코웨이는 한국뿐만이 아니라 해외에서도 잘 알려졌다. 해외법인 지난해 매출 1조4307억원이다. 전체 36%에 해당한다. 특히 8개 해외법인 중 가장 매출 규모가 큰 국가는 말레이시아다. 코웨이가 진출한 나라 중 가장 인구가 적은 3500만 명의 나라다. 코웨이는 2007년 진출해 정수기를 필두로 당시 현지에서 생소했던 렌털 사업을 개척해 왔다. 이후 현지에 특화한 에어컨 제품을 출시, 렌털 시장 점유율 1위(약 30%)를 차지하고 있다. 현재 말레이시아에서 “코웨이를 모르면 간첩”이라는 소리를 정도로 국민 브랜드로 성장했다. 최근 고객 관리 100만 계정을 돌파했다. 정수기가 약 80%다. 말레이시아는 낙후된 상수도로 수돗물에 석회 등이 섞여 나오면서 식수가 크게 부족한 나라다. 이 때문에 국민들이 정수기에 의존할 수밖에 없다. 말레이시아 현지 업체들은 제품 판매 후 사후 관리를 잘해주지 않는데, 코
8월 31일은 말레이시아 독립기념일이다. 영국에서 독립한 날이다. 말레이어로는 하리 메르데카(Hari Merdeka)라고 하고 영어로는 국경일(National Day)이다. 독립의 아버지라 불리는 툰구 압둘 라만 말레이시아 초대 총리가 1957년 8월 31일 쿠알라룸푸르 메르데카 경기장에서 “메르데카(독립)”를 일곱 번 외치면서 말레이시아의 독립을 선언한 일화가 유명하다. 당시에는 말레이시아란 이름을 쓰지 않았으니까 정확히는 말라야의 독립이다. 말라야는 말레이반도 9개 주와 영국 직할령인 말라카와 페낭을 합친 연방으로 영국이 1946년에 처음 제정했다. 이후 영국정부와 말라야 정치인이 런던에서 만나 1957년 8월 31일에 말라야를 독립하는 런던 조약을 체결했다. 조약에는 9개 주의 술탄이 5년마다 돌아가면서 국왕을 하는 입헌군주제 채택과 중국인과 인도인들도 말라야 시민권을 갖게 하는 인종 화해이자 공존을 모색하는 내용이 들어 있다. 흥미롭게도 2년 후 “메르데카”를 외치는 일이 또 한 번 발생한다. 1963년 9월 17일 툰구 압둘 라만은 말라야와 싱가포르, 사라와크, 사바를 합병해 말레이시아를 수립한다고 발표하면서 같은 장소에서 “메르데카”를 일곱 번 외
중국 최초 말레이시아행 직행 철도 복합열차가 13일만에 차이나반도 운송의 새 역사를 썼다. 싱가포르 관영매체 CNA에 따르면 지난 7월 초 각각의 목적지인 말레이시아의 셀랑고르와 중국의 충칭에 도착하면서 양방향으로 첫 운행을 시작했다. 전자제품과 농산물이 첫 화물에 포함되었다. 아세안익스프레스(ASEANEXPRESS)로 불리는 이 철도는 해상(수상) 운송보다 40% 이상 짧은 시간에 운송을 해냈다. 중국-라오스 철도를 통한 인도차이나 반도 운송의 혁명으로 불리고 있다. 철도는 중국 충칭에서 출발해 중국-라오스 철도를 통해 비엔티안에 도착한다. 여기사 궤간변경을 거친 다음 말레이시아 파당 베사르까지 이동한다. 현재 중국 내 25개 성, 자치구, 시가 동남아시아와 연결되는 국경간 화물열차를 개통했다. 역내포괄적 경제동반자협정(RCEP)이 진전하면서 중국-라오스-태국-말레이시아 교역을 더욱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지난해 10월 중국-라오스-태국 철도 복합운송열차는 성공적인 운행을 마쳤다. 이 복합운송은 중국에서 말레이시아 및 싱가포르로 가는 철도운송의 잠재력을 확인한 바 있다. 이 같은 말레이시아행 직행 철도 복합열차의 등장은 윈난성 쿤밍(昆明)에서 라오스 수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