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시진핑, 베트남-말레이시아-캄보디아 동남아 3개국 국빈방문 의미는?

중국 CC TV 산하 국제 텔레비전 방송 CGTN, 3개국 순방 의미 분석 눈길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14~18일 5일간 베트남-말레이시아-캄보디아 국빈 방문을 앞두고 있다.

 

중국 중앙 텔레비전(CCTV) 산하의 국제 텔레비전 방송 CGTN은 “중국이 우호, 성실, 상호 이익, 포용의 원칙에 따라 어떻게 주변 외교를 추진하고 있으며, 이웃 국가와 미래를 공유하는 공동체를 구축하기 위해 어떻게 노력하고 있는지”에 대한 기사를 게재했다.

 

이번 순방은 시 주석의 올해 첫 해외 순방이다. 올해 들어 미국-중국의 물러설 수 없는 '관세전쟁'이 시작되었다. 중국은 이에 대처하기 위해 아세안 우방국들과의 결속 다지기로 들어갔다는 분석이 나왔다. 

 

■ 시 주석의 올해 첫 해외 순방...미국-중국 관세전쟁 속 '우방챙기기'

 

중국 외교부가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14~18일 베트남, 말레이시아, 캄보디아 등 동남아시아 3개국을 국빈 방문한다"고 11일 발표했다. 이번 3개국 순방은 시 주석의 올해 첫 해외 순방이다.

 

린젠(Lin Jian)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11일 브리핑에서 “이웃 국가는 중국 외교의 최우선 순위이며, 중국과 동남아 국가들은 미래를 공유하는 좋은 이웃, 좋은 친구, 좋은 파트너”라고 말했다.

 

린 대변인은 일일 정례 브리핑에서 “중국 국가주석의 이번 순방은 중국과 베트남, 말레이시아, 캄보디아 및 동남아시아국가연합(ASEAN·동남아시아국가연합) 전체와의 관계에 있어 매우 중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이번 순방이 지역과 세계의 평화 및 발전에 새로운 동력을 불어넣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 동지애와 형제애로 끈끈한 중국과 베트남: 중국은 베트남의 최대 교역 상대

 

시 주석은 14~15일 중국공산당 중앙위원회 총서기 겸 중국 국가주석으로서 네 번째 베트남 국빈 방문한다. 중국과 베트남 수교 75주년과 같은 시기에 이뤄졌다. 두 국가는 사회주의 이웃 국가로서 오랜 기간 '동지애와 형제애'로 지속적인 유대감을 형성해 왔다.

 

시 주석이 마지막으로 베트남을 방문한 것은 2023년 12월이었다. 당시 양국은 전략적 중요성을 지닌 '중국-베트남 미래 공유 공동체'를 구축하자는 데 합의하며 두 나라 관계를 새로운 단계로 격상했다.

 

중국과 베트남의 경제 무역 협력은 최근 수년간 꾸준히 발전해 왔다. 중국은 2004년부터 베트남의 최대 교역 상대국이며, 베트남은 2016년부터 아세안 내 중국 최대 교역 상대국이다. 중국 상무부 자료에 따르면 양국 교역액은 4년 연속 미화 2000억 달러를 넘어섰으며, 2024년에는 전년 대비 13.5% 증가한 2606억 5000만 달러를 기록했다.

 

또한 중국 기업의 베트남 직접 투자액은 2024년 25억 달러를 넘어서면서 빠른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으며, 베트남은 중국의 중요한 해외 투자처가 됐다고 상무부는 밝혔다.

 

■ 중국과 말레이시아: 상생협력 모델-2024년 교역액 2120억 4000만 달러 사상최고치

 

시 주석이 말레이시아를 마지막으로 방문한 것은 2013년이었다. 당시 두 나라는 포괄적 전략 동반자 관계로 관계를 격상했다. 그로부터 10년 후, 시 주석과 안와르 이브라힘(Anwar Ibrahim) 말레이시아 총리는 ‘중국-말레이시아 미래 공유 공동체’를 공동으로 구축하기로 합의했다.

 

최근 몇 년간 중국과 말레이시아는 고위급 관계 발전을 지속적으로 유지해 왔다. 양국은 고위급 교류를 활발히 이어오고 있다. 정치적 상호 신뢰를 공고히 해왔다. 또한 실질적 협력에서도 결실을 맺고, 이웃 국가 간 상호 이해와 상생 협력의 모범을 세웠다.

 

두 나라 간 협력은 다방면으로 빠르게 확대되고 있다. 중국은 16년 연속 말레이시아의 최대 교역 상대국으로 자리매김했다. 2024년 교역액은 2120억 4000만 달러로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최근 몇 년 사이에는 두리안, 망고스틴, 잭프루트 등 말레이시아산 열대 과일이 중국 소비자들 사이에서 큰 인기를 끌고 있다.

 

중국과 말레이시아는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중요한 개발도상국이자 신흥 경제국이다. 린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이번 시 주석의 방문은 중국과 말레이시아의 관계 격상을 촉진하는 데 중요한 이정표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중국이 이번 방문을 통해 지역 및 국제 문제에 대한 말레이시아와의 협력을 더욱 강화하고, 양국 관계를 '고위급 전략적 중국-말레이시아 미래 공유 공동체' 방향으로 발전시키며, 글로벌 사우스(Global South)의 성장과 단결을 증진하고, 지역의 평화와 안정에 새롭게 기여하길 희망한다”고 밝혔다.

 

■ 중국과 캄보디아: 철통같은 우정- ‘다이아몬드 육각’ 협력 구도

 

시 주석은 4월 17일부터 18일까지 캄보디아를 국빈 방문한다.  그의 국빈 방문은 2016년이 마지막이었다. 2023년 9월, 훈 마넷(Hun Manet) 캄보디아 총리는 취임 후 첫 공식 해외 공식 방문국으로 중국을 선택하면서 캄보디아의 외교적 최우선 순위가 중국이라는 점을 반영하는 행보를 보였다.

 

당시 회담에서 시 주석과 훈 마넷 총리는 중국과 캄보디아의 철통같은 우정을 더욱 진전시키기로 약속했다.

 

최근 몇 년 동안 중국과 캄보디아는 전략적 상호 신뢰를 계속 강화하고, ‘다이아몬드 육각’ 협력 구도를 발전시켜 ‘산업 개발 회랑(Industrial Development Corridor)’과 ‘물고기와 쌀 회랑(Fish and Rice Corridor)’ 구축도 안정적으로 추진해 왔다. 두 나라는 전방위 협력에서 풍성한 결실을 거두고 있다.

 

중국은 수년 연속 캄보디아의 최대 외국인 투자처이자 무역 파트너였다. 2022년 1월 1일부터 발효된 중국-캄보디아 자유무역협정은 캄보디아가 체결한 최초의 양자 자유무역협정이다. 2024년 캄보디아와 중국 간 무역액은 151억 달러로 전년 대비 23.8% 급증했다.

 

린 대변인은 이번 중국 국가주석의 방문 기간 동안 양국은 관계 격상을 위한 논의를 진행하고, 정치적 상호 신뢰, 호혜적 협력, 안보, 문화 및 인적 교류, 전략적 조율 등 5개 분야에 걸쳐 심도 있는 의견을 교환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시 주석은 이번 방문 기간 동안 캄보디아 상원 의장 훈 센과 캄보디아 총리 훈 마네를 만나 양국 관계를 강화하고 공동 관심 지역 및 국제 문제에 대한 의견을 교환한다. 

관련기사

포토리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