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국의 스타 정치인 ‘피타 림짜른랏’(Pita Limjaroenrat, 42)가 6일 고려대 정경관에서 한국 대중들과 첫 만남을 가졌다. 그가 ‘정치아이돌’로 불린 건 지난 5월 총선 때문이었다. 전진당(Move Forward Party) 대표로서 아무도 예상치 못한, 기적처럼 500석 중 151석을 얻어 제1당을 만들어냈다. 바로 ‘오렌지혁명’ 주인공이기 때문이다. ‘왕실보호법’을 개인 표현의 자유를 침해했다는 반발한 MZ세대를 대변하면서 그는 열렬한 팬덤을 만들어냈다. 그런 그를 실제 한국에서 볼 수 있다는 사실만으로도 흥분이 되었다. 강연장은 그가 등장 이전부터 열기가 달아올랐다. 170명 특강 모집 신청은 조기마감했다고 한다. 현장에서는 대기줄이 점점 늘어나 일부는 돌려보냈다. 추가 입장이 허락된 이들은 좌석 옆 통로에 앉거나 서서 강연을 들었다. 피타는 열렬한 박수와 함성 속에 입장했다. 그는 훤칠했고, 아우라가 발하는 미남자였다. 그는 부드럽고 강렬했다. 명성 그대로 그는 타고난 연설가였다. 말은 빠르지만 강약과 리듬을 탔다. ‘태국 민주주의와 한국-태국 관계의 미래’라는 대담 형식을 진행하는 신재혁 고려대 정치외교학과 교수의 어떤 질문에도 막힘이
K-POP 글로벌 걸그룹 ‘블랙핑크(BLACKPINK)’가 YG와 전속 재계약을 이어가기로 하면서 '급한 불'을 껐다. YG는 6일 “블랙핑크와 그룹 활동에 대한 전속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YG 양현석 총괄 프로듀서는 “블랙핑크와 인연을 이어가게 돼 기쁘다”고 말했다. 블랙핑크는 YG의 지원 속에 신규 앨범 발매와 초대형 월드투어를 돈다. 다만 네 멤버별 개별 계약은 아직 협의 중이다. 이번 계약은 우선 그룹 활동에 대해서만 체결됐다. 그래도 YG는 지난 8월 8일 블랙핑크 데뷔 7주년 이후 끌어온 완전체 활동에 대한 확답을 멤버들로부터 받은 만큼 한숨을 돌리게 됐다. 업계는 일부 멤버가 개별 활동을 위한 에이전시를 차리고 팀 활동은 YG를 통해 계속하는 방안이 유력하다고 추정해왔다. 각 멤버의 솔로 활동에 대해 YG 관계자는 “개별 계약은 아직 협의 중”이라고 밝혔다. 블랙핑크는 2016년 8월8일 더블 타이틀곡 ‘휘파람’·‘붐바야’를 내세운 싱글 ‘스퀘어 원(SQUARE ONE)’으로 데뷔했다. 이후 ‘불장난’, ‘뚜두뚜두’, ‘킬디스러브’ 등 내놓는 노래마다 히트시키며 정상에 올랐다. 지난해 정규 2집 ‘본 핑크’로 미국 빌보드 앨범차트 ‘빌보드
한국동남아학회 한국동남아연구소의 월례발표회가 12월 15일 오후 4시 서강대학교 다산관 209B호에서 열린다. 전동연의 2023년 마지막 지역설명회이기도 하다. 한국동남아학회 동남아연구소의 월례발표회는 개인연구자 발표와 더불어 전북대, 서강대, 부산외대, 서울대 소재의 동남아지역 연구소와 결합하는 프로젝트로 진행되어 왔다. 2023년의 마지막 월례발표회를 전동연이 함께 개최하게 되었다. 한국동남아연구소 설립 20주년인 2024년을 앞두고, 전동연 전제성 소장이 “한국동남아연구소 설립 20주년: 우리는 무엇을 기념할 것인가?”라는 주제의 발표했다. 전 소장은 설립 20주년 기념식 관련 논의를 주도하고, 전동연의 김현경 객원연구원이 토론으로 참여한다. 이번 지역설명회-월례발표회는 온오프라인 동시에 진행되며, 온라인 참석의 경우 행사 당일 아래 링크를 클릭하시면 줌 회의에 접속하실 수 있다.
베트남을 찾은 외국인 관광객이 11월 123만명을 기록해 올해 월별 최곡 신기록을 기록했다. 현지 미디어 한베타임즈는 베트남 관광청(VNAT) 발표를 인용해 “베트남은 11월에 전월 대비 11% 증가한 123만 명 이상의 외국인 관광객을 맞이했다. 이는 지난해 3월 외국인관광 전면재개 이후 2023년 월별 최고 기록이다. 올해 11개월 동안 베트남을 찾은 외국인 관관갱은 총 1120만 명이었다. 지난해 같은 기간에 기록한 수치보다 3.8배로 완연히 회복세다. 하지만 코로나19 팬데믹이 발발하기 전인 2019년의 68.9%에 불과하다. 전체 방문객 중 항공 여행객이 87.3%를 차지했다. 주목할 만한 것은 한국 관광객의 수치다. 베트남 관광청은 한국이 1~11월 기간 동안 320만 명이 입국해 28.5%를 차지하면서 1위에 올랐다고 밝혔다. 11월까지 국가별로는 한국인이에 이어 중국 150만명, 대만 75만8000명, 미국 65만8000명, 일본 52만7000명 등의 순으로 상위 5개국을 차지했다. 또한 태국 44만2000명, 말레이시아 41만9000명, 캄보디아 35만9000명, 호주 35만3000명, 인도 35만2000명 등으로 집계됐다 베트남은 올해 외국
한국 여자골퍼가 가장 선호하는 겨울 훈련지에서 태국과 베트남이 1, 2위에 올랐다. 가장 많이 선호를 받은 곳은 태국(13표 / 25.49%)이었다. 이어 베트남(12표 / 23.52%)가 한표차로 2위를 차지했다. 이어 미국(11표 / 21.56%), 국내(3표 / 5.88%), 호주(2표 / 3.92%) 순이었다. 서울경제 골프먼슬리는 한국여자프로골프(KLPGA)에서 같이 대회를 출전한 선수들을 대상으로 ‘2023 동료들이 주는 상’을 제정했다. 드라이버, 아이언, 퍼트, 스윙 등 기술 부문 평가는 물론 ‘베스트 드레서’도 물었다. 이 중에서 이예원은 드라이버-아이온-퍼트 등에서 이예원(18표 / 득표율 35.29%), 이예원(18표 / 득표율 35.29%), 이예원(21표 / 득표율 41.17%) 압도적으로 1위에 올랐다. 데뷔 2년 차에 3승을 휩쓸며 상금왕과 대상, 최소타수상으로 이른바 트리플 크라운을 달성한 이예원을 동료들도 인정한 것이다. 이 밖에 그린 주변 어프로치 샷 달인은? 박현경과 박지영(각 10표 / 득표율 각 19.6%)이 공동 1위에 올랐다. 필드에서 가장 옷을 잘 입는 선수로는 ‘큐티풀(큐트+뷰티풀)’ 별명을 가진 박현경(19표 /
쁘라윳 찬오차 전 총리가 추밀원(Privy Council, 옹카몬트리) 위원이 임명되면서 ‘추밀원’에 대해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태국 현지 더 네이션은 5일자에 “쁘라윳 찬오차 전 총리의 임명으로 추밀원은 현행 헌법 제10조에 규정된 대통령을 제외한 18명으로 위원 자격이 최대로 높아졌다”고 전했다. 태국 국왕은 독자적으로 추밀원 위원을 임명하거나 해임할 수 있는 권한을 갖고 있다. 평위원들의 임무는 왕에게 조언을 하는 것이다. 가령 국왕이 군주의 직무를 수행하기 위해 선택한 사람이 섭정을 수행할 수 없는 경우, 추밀원의 의장은 섭정을 수행할 권한이 있다. 실제로 전 쁘렘 원장은 푸미폰 국왕이 서거하자 2016년 10월 13일부터 그해 12월 1일까지 국왕 ‘섭정’의 역할을 공식 수행하기도 했다. 1874년 설립된 이래 5명의 전직 총리가 추밀원 위원으로 활동했다. 현재는 2006년 쿠데타 이후 총리를 지낸 수라윳 전 총리가 원장이다. 쁘라윳 찬오차 전 총리는 전 육군참모총장이자 쿠데타 지도자였다. 잉락 친나왓 정부를 무너뜨린 쿠데타를 주도한 뒤 2014년 집권했다. 쿠데타 지도자가 추밀원의 최신 위원이 된 셈이다. 그는 2014년 5월 20일 잉락 전 총
PSG 입단 반년 만이었다. 이강인(22)이 파리생제르맹 FC(PSG) 간판스타로 우뚝 섰다. 인기도 음바페를 앞질렀다. 3일(한국시간) 파리생제르맹(PSG)과 르아브르AC의 2023~24시즌 14라운드가 열린 프랑스 르아브르의 스타드오세안에서는 이색적인 풍경이 연출됐다. 흰색 원정유니폼을 입은 이강인 등에는 한글로 ‘이강인’ 이름이 새겨졌다. 슈퍼스타 킬리안 음바페(25)을 비롯한 PSG 선수 전원이 한글 이름이 표기되었다. PSG 선수들이 한글 유니폼을 입고 공식 경기에 나선 건 PSG 구단 역사상 처음이다. 모두 ‘이강인 효과’다. 구단은 경기 전 공식 SNS 계정 등을 통해 “파리 선수들은 오늘 경기에서 특별 제작한 한정판 한국어 마킹 유니폼을 입고 출전한다”고 밝혔다. 이강인은 지난 7월 마요르카(스페인)를 떠나 PSG 유니폼으로 갈아입었다. 이강인은 올 시즌 PSG의 주축 미드필더로 뛰며 2골 1도움(10경기·2일 기준)을 기록 중이다. 이강인의 눈부신 활약으로 PSG도 선두 경쟁 중이다. 놀라운 것은 이강인이 팀에 합류한 올 시즌 홈경기를 관전한 한국 팬이 20%나 늘었다는 점이다. 또한 유니폼도 불티나게 팔리고 있다. 리그1 공식 홈페이지는 “
전북대와 부산외대가 함께하는 ‘2023 동남아언어겨울캠프’가 수강생 추가 모집을 한다. 2019년 여름부터 시작된 동남아언어캠프가 올해는 전북대와 부산외대 교정에서 동시에 열린다. 이번 캠프는 2024년 1월 15일부터 26일까지 2주간 동남아 6개 언어를 대상해 개최된다. 이번 겨울캠프 개설 강좌 가운데 아직 자리가 남은 강좌에 한하여 수강생을 추가 모집한다. 전북대에서 열리는 초급반의 경우 베트남어, 미얀마어, 태국어, 아랍어 및 온라인으로 개설되는 캄보디아어(크메르어)를, 부산외대에서 열리는 중급반의 경우 베트남어, 말레이인도네시아어, 태국어, 아랍어를 추가 모집한다. 현재 동남아 언어 관련 전공과목이 개설된 대학은 9개에 불과하다. 동남아 언어를 교양과목으로 개설하고 있는 학교를 더하더라도 총 11개 학교에서 동남아 언어를 부분적으로 가르치고 있을 뿐이다. 11개 대학 중 국공립대는 3개교(서울대, 부경대, 서울시립대)뿐이고 나머지는 사립대다. 동남아 언어 관련 교과목이 개설되어 있는 대학의 지역 분포를 살펴보면, 수도권(서울, 용인)에 4개, 부산에 3개, 충남·대전권에 3개, 경북에 1개 대학이다. 강원, 충북, 제주, 전남, 전북의 대학들은 어떠
걸그룹 뉴진스가 카카오엔터테인먼트(대표 이진수, 김성수)의 음악 플랫폼 멜론(Melon)이 주최하는 대중음악 시상식 ‘MMA2023’(Melon Music Awards, 멜론뮤직어워드)에서 대상 2개를 비롯해 5관왕에 올랐다. 뉴진스는 2일 오후 인천 영종도 인스파이어 아레나에서 열린 MMA2023에서 히트곡 ‘디토’(Ditto)를 앞세워 4개의 대상 가운데 2개인 ‘올해의 베스트송’과 ‘올해의 아티스트’를 들어 올렸다. 또한 ‘TOP10’과 ‘밀리언스 TOP10’ 그리고 베스트상인 ‘베스트 그룹 여자’까지 5관왕의 영예를 안았다. ‘디토’는 올해 멜론 ‘톱 100’ 차트 역대 최장기간 1위를 차지하는 등 국내외에서 큰 인기를 누렸다. 글로벌 최고 K-P0P 걸그룹 블랙핑크의 강력한 후계자로 등장한 5관왕의 주인공인 뉴진스는 방탄소년단 소속사 하이브 계열사 어도어(ADOR)의 민희진 PD 주도로 탄생한 걸그룹이다. 특히 하니는 베트남-호주 이중국적의 멤버다. 시상식에서는 7월 발매한 이후 미국 빌보드 메인 앨범차트 '빌보드 200' 1위를 찍은 미니 2집 ‘겟업(Get Up)’ 앨범에 실린 여섯곡 전곡 무대를 퍼포먼스로 펼쳤다. 겟업 앨범은 K-POP 걸그룹
쁘라윳 찬오차 전 총리가 ‘종신직’ 추밀원(Privy Council, 옹카몬트리) 위원에 임명됐다. 더네이션 보도에 따르면 “왕실의 소식을 전하는 로열 가제트(Royal Gazette)는 쁘라윳 찬오차 전 총리가 11월 30일(현지시간) 마하 바지랄롱꼰 국왕에 의해 추밀원 위원에 임명됐다”고 보도했다. 쁘라윳 찬오차 전 총리는 전 육군참모총장이자 쿠데타 지도자였다. 잉락 친나왓 정부를 무너뜨린 쿠데타를 주도한 뒤 2014년 집권했다. 쿠데타 지도자가 추밀원의 최신 위원이 된 셈이다. 그는 2014년 5월 20일 잉락 전 총리가 직권남용 혐의로 헌법재판소에 의해 탄핵되어 총리부재 상태의 혼란이 이어지는 가운데 5월 22일 쿠데타를 선언했다. 잉락 총리 탄핵 이틀 뒤 당시 쁘라윳 짠오차 육군참모총장은 주요 정치인들을 불러 감금한 뒤였다. 쿠데타로 정권을 잡은 쁘라윳은 2019년 총선에서 연임에 성공했다. 그는 지난 5월 총선에 타이쌍찻당(RTSC)을 창당해 차기 수상을 노렸지만 실패하고 올해 8월에 퇴임했다. 추밀원은 라마 5세가 왕의 개인적인 조언자로 철롱꼰 왕의 통치 기간 동안 처음 임명되었다. 왕실을 제외하곤 아마도 태국에서 가장 높은 지위의 ‘일반인’이다
태국에서 가장 핫한 ‘정치 아이돌’로 떠오르는 피타 림짜른랏 전진당 전 대표(현 대표 수석고문)이 6일 한국 명문사학 고려대에서 특강을 한다. 피타 림짜른랏(Pita Limjaroenrat, 42) 대표는 지난 5월 14일 치러진 태국 총선에서 ‘전진당(Move Forward Party) 오렌지혁명’을 일으킨 주인공이다. 하버드와 MIT 출신으로 미남자이자 아이를 홀로 키우는 모습 등으로 MZ세대로부터 열렬히 지지를 받았다. 태국 정치는 지난 30여년간 레드셔츠(친탁신 세력)와 옐로셔츠(왕실, 군부, 기득권세력)로 대별되어 극심한 대결을 해왔다. 전 총리 탁신의 지지파와 군부 중심 ‘반탁신파’의 대결이 이어졌다. 하지만 MZ세대가 ‘왕실보호법’을 개인 표현의 자유를 침해했다고 반발하면서 상황이 달라졌다. 젊은표가 피타 대표의 전진당 ‘오렌지색’을 열렬히 지지하면서 전진당은 ‘기적처럼’ 제1당이 되었다. 피타는 MZ세대의 반란 상징이 되었다. 전진당은 총 500석 중 151석을 차지했다. 태국 수도 방콕에서 전진당은 33석 중 32석을 석권했다. 걸출한 ‘슈퍼스타’ 피타의 등장해 태국 정치판이 요동쳤지만, 영광은 거기까지였다. 제1당 후보를 총리로 선출하는 국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 인도네시아 자카르타, 한국 서울을 배경으로 세 도시의 사랑법을 그린 옴니버스 로맨스 ‘룩앳미 터치미 키스미’가 12월 6일 개봉을 앞두고 주목을 받고 있다. 영화 ‘룩앳미 터치미 키스미’는 세 도시를 배경으로 펼쳐지는 세 가지 사랑법을 그린 뉴아시아 옴니버스 러브스토리다. 제27회 부산국제영화제 ‘아시아영화의 창’ 섹션에서 상영된 작품이다. 초청 당시 부산국제영화제 박성호 프로그래머와 전찬일 영화평론가는 “가벼운 마음으로 재미있게 볼 수 있는, 알콩달콩 썸 타는 커플 이야기”, “세 감독이 협력해 탄생시킨, 유의미한 합작 옴니버스 영화”라고 평했다. 또한 부산국제영화제 부경환 모더레이터는 “하나의 잘 어우러진 코스 요리처럼 느껴지는 작품”이라며 호평했다. 감독은 부산국제영화제를 비롯해 베니스, 로테르담, 로카르노 국제영화제 등에 초청된 경력이 있는 말레이시아 감독 호유항이 첫 작품을 맡았다. 이어 인도네시아영화제에서 심사위원 특별언급, 템포영화상에서 최우수작품상과 최우수감독상을 수상한 인도네시아 감독 제나르 마에사 아유가 이었다. 한국 김태식 감독은 ‘도쿄택시’ ‘아내의 애인을 만나다’ 등의 작품으로 30개 이상의 영화제에 초청된 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