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메타, AI음성 기술 스타트업 ‘플레이AI’도 인수…AI 인재 확보에 집중

초지능 연구소 설립해 AI 인재 확보 중
SSI, 스케일AI 등 영입 행보

 

인공지능(AI) 인재 영입에 열중하고 있는 메타(Meta, 前 페이스북)가 이번엔 소규모 AI 스타트업을 인수했다.

 

지난 7월 12일 블룸버그 통신에 따르면 메타는 최근 AI 음성 기술을 개발하는 소규모 스타트업 ‘플레이AI’(PlayAI)를 인수수하고 플레이 AI의 멤버들이 다음 주부터 메타에 합류하게 된다.

 

플레이AI는 실제 사람처럼 자연스럽게 대화하는 AI 음성 기술을 개발하는 스타트업으로, 총직원은 20명 안팎으로 알려졌다.

 

메타는 내부 문서에서 플레이AI를 대해 “자연스러운 음성을 만드는 작업과 간편한 음성 제작을 위한 플랫폼은 AI 캐릭터와 메타 AI, 웨어러블 및 오디오 콘텐츠 제작 전반에 걸친 우리의 작업과 로드맵과 매우 잘 맞는다.”고 평가했다.

 

메타는 최근 인간을 뛰어넘는 가상의 AI 시스템인 ‘초지능“(superintelligence) 연구소를 설립하고 우수 인력 보강에 몰두하고 있다.

 

메타는 AI 스타트업 ’스케일AI‘에 143억 달러(원화 약 19조 7,000억 원)를 투자하기로 하고 창업자이자 최고경영자(CEO)인 알렉산더 왕을 영입했다.

 

오픈AI의 공동 창업자인 일리야 수츠케버가 설립한 AI 스타트업 ’세이프 슈퍼인텔리전스”(SSI)의 대니얼 그로스 CEO 등도 합류했다.

 

또한 최고 1억 달러에 달하는 보상 패키지를 제시하며 챗GPT 개발사 오픈AI 연구원들을 대거 영입한데 어 애플의 AI 모델 개발 총괄 책임자를 2억 달러의 보상 패키지로 스카우트했다.

 

AI 기술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AI 두뇌 영입 경쟁도 가속화하고 있다.

 

오픈AI는 AI 코딩 스타트업 윈드서프(Windsurf) 인수를 추진해 왔으나 무산됐으며, 이를 틈 타 구글이 윈드서프 최고경영자(CEO)와 주요 엔지니어들을 영입했다.

 

윈드서프는 AI를 활용해 개발자들의 코딩을 도와주는 소프트웨어 개발 업체로, 오픈AI가 약 30억 달러(약 4조 1,000억 원)에 인수를 추진해 왔다.

 

한편, 월스트리트저널(WSJ)은 구글(Google)이 윈드서프 기술 일부에 대해 라이선스를 확보했으며, 윈드서프의 지분을 보유하지 않지만 이번 거래를 위해 24억 달러(약 3조 3,000억 원)를 지불할 예정이라고 보도했다.

포토리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