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이크로소프트(MS)가 인공지능(AI) 기술 구현을 위한 데이터센터에 연 800억 달러(원화 약 117조 7,600억 원)를 투자한다. 지난 1월 3일 마이크로소프트(MS) 브래드 스미스(Brad Smith) 부회장은 자사 블로그에 글을 올리고 “2025 회계연도(지난해 7월~2025년 6월)에 AI 모델들을 훈련하고 AI와 클라우드 기반 애플리케이션을 배포하기 위한 AI 지원 데이터센터를 구축하는 데 800억 달러를 투자할 것.”이라고 밝혔다. MS는 2024 회계연도에 AI 투자를 포함한 전체 자본 지출 규모를 557억 달러(원화 약 81조 7,564억 원)로 밝혔다. 브래드 스미스 부회장은 “총 투자의 절반 이상이 미국에 투자될 것.”이라며 “국가에 대한 우리의 헌신과 미국 경제에 대한 우리의 확신을 반영한다.”고 썼다. 이는 미국 중심의 보호무역주의 기조가 강한 트럼프 2기 정권에 맞춰 투자 전략을 강조한 것으로 해석된다. MS는 중국과의 기술 경쟁이 치열해지는 가운데 AI 수출을 세계적으로 확대할 필요성을 강조하면서 트럼프 2기 정부에 관련 규제 완화를 요청했다. 스미스 부사장은 “생성형 AI 출현으로 AI 수출에 대한 우선순위가 더 커졌고, 중국
지난 1월 2일 AI(인공지능) 기반 정책 모니터링 플랫폼 ‘코딧’(CODIT)이 축적된 정책 데이터 분석 역량과 전문가들의 정책 노하우를 접목한 ‘실시간 정책 동향 대시보드’를 출시했다고 밝혔다. 코딧 대시보드에 따르면 1월 2일 기준 2025년 올해 시행 예정 법령은 557건으로, 이달에만 285건의 법령이 시행을 앞두고 있다. 코딧 측은 기업들이 대시보드를 통해 관련 법안의 시행 일자를 빠짐없이 확인하며 체계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번에 출시된 대시보드는 ▲기업 맞춤 뉴스・국회의원 소셜미디어(SNS) 발언을 실시간 제공하는 ‘NOW 한국’ ▲당일 공포・시행 법령을 볼 수 있는 ‘Today 법령’ ▲상임위・부처별 진행 상황을 보여주는 ‘입법 현황’ ▲국회 일정을 제공하는 ‘Today 국회’ ▲공정위 과징금 상위 10건 기업을 확인할 수 있는 ‘공정위 과징금’ ▲국회・정부 보도자료를 볼 수 있는 ‘Today 보도자료’ 등 6가지 기능을 포함한다. 특히 ‘NOW 한국’ 탭의 ‘CODIT AI’는 국회 출신 전문가들이 선정한 키워드를 기반으로, 주요 정책 사안을 분류해 기업 실무자들의 정책 파악을 지원한다. 코딧은 자체 보유한 10억 건 이상의 빅
지난 12월 30일 타임오브이스라엘과 테크크런치 등 IT매체들과 현지매체들이 엔비디아(NVdia)가 이스라엘 인공지능 스타트업 런에이아이(Run.AI)를 인수했다고 보도했다. 이번 인수 거래 금액은 7억 달러(원화 약 1조 302억 원)다. 엔비디아의 런이아이 인수는 지난 2020년 69억 달러(원화 약 10조 1,554억 원)에 ‘멜라녹스테크놀로지’를 인수한 이후 이스라엘 기업 인수 중 가장 큰 거래 금액이다. ‘런에이아이’는 AI 하드웨어 인프라의 관리와 최적화를 돕는 소프트웨어를 개발하는 기업이다. 엔비디아는 미국 법무부와 유럽연합(EU) 집행위원회의 인수 승인을 받아 인수 작업을 절차를 진행하게 됐다. 지난 2024년 4월 런에이아이 인수를 발표한 엔비디아는 이후 승인 절차를 밟아왔고 엔비디아의 런에이아이 인수는 공정한 경쟁에 해를 문제가 발생할지에 대해 규제당국은 조사를 진행해왔다. 런에이아이의 직원들은 이스라엘에서 확장되고 있는 엔비디아의 사업에 합류하게 된다. 엔비디아는 멜라녹스의 본사가 있는 요크네암을 비롯해 텔아비브, 예루살렘, 라아나나, 베르셰바 등 7개의 연구개발(R&D) 센터에서 약 4,000명의 근로자를 고용하고 있다. 런에이아
오픈AI(Open AI)와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가 범용인공지능(AGI)을 기술이 아닌 경제적 성과로 정의하는 협약을 맺은 것으로 드러났다. 지난 12월 27일 디인포메이션 등 외신에 따르면 양사는 지난 2023년 오픈AI가 1,000억 달러(원화 약 140조 원) 이상의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AI 시스템을 개발했을 때 AGI에 도달한 것으로 본다는 협정을 체결했다. 이 정의는 기존의 기술적・철학적 AGI 논의와 크게 상이한 것으로 스타트업과 대기업 간 이익 조율의 결과물로 해석된다. 현재 오픈AI는 막대한 투자 비용으로 인해 연간 수십억 달러의 손실을 기록하고 있다. 오픈AI는 오는 2029년까지는 영업이익을 내지 못할 것이라고 예측돼 단기적으로는 협약에서 정의 된 AGI 수준에 도달이 어려울 전망이다. 협약에 따르면 오픈AI가 AGI에 도달하면 마이크로소프트는 오픈AI 기술에 대한 접근 권한을 잃게 된다. 따라서 수익 목표를 기준으로 한 AGI 정의로 인해 마이크로소프트가 최소 5년간 오픈AI 기술을 장기적으로 활용할 가능성이 높아졌다. 이와 동시에 오픈AI가 최근 개발한 ‘o3 모델’이 AGI 단계로 가는 진전인지에 대한 논란도 제기됐다.
오픈AI가 10월 출시한 챗GPT 검색 서비스를 무료로 제공하기로 했다. 테스트 기간 수집한 데이터를 반영해 검색 성능도 개선했다는 게 회사측 설명이다. 생성형 인공지능(AI) 주도권을 잡은 오픈AI가 구글이 장악해온 검색 시장에 출사표를 던지며 공세의 고삐를 쥐는 모양새다. 지난 12월 16일(현지 시간) 오픈AI는 그간 유료 구독자에게만 제공하던 챗GPT 검색 기능을 모든 사용자에게 개방한다고 밝혔다. 출시 한 달 반 만에 무료 개방된 것이다. 오픈AI는 “유료 구독자와 검색 기능 대기자 명단에 이름을 올린 사용자들은 이날부터 접근이 가능하다.”며 “기업(엔터프라이즈)과 교육용 가입자들은 향후 몇 주 안에 사용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사용 가능 기기는 PC부터 모바일까지 전 플랫폼을 망라해 웹브라우저 기본 검색 엔진으로 챗GPT를 택할 수도 있어 구글을 대체할 수 있다. 최신 추론 모델인 오픈AI o1을 도입하는 한편 언론사와 제휴로 검색 신뢰도도 높였다고 한다. 오픈AI는 “뉴스 및 데이터 제공업체와 협력해 최신 정보는 물론 새로운 시각적 디자인을 추가했다.”며 “채팅 결과에 원본 링크가 포함돼 자세히 알아볼 수 있는 방법도 제공한다”고 밝혔다. 구
독일 함부르크 자유 한자시(Freie und Hansestadt Hamburg)는 양자컴퓨터와 인공지능(AI)을 결합한 ‘함부르크 양자 기계 학습 프로젝트’(Hamburg Full Stack Quantum Machine Learing, HQML)를 발표했다. 이 프로젝트는 양자 컴퓨팅 아키텍처 기업 ‘패리티큐씨’(ParityQC), ‘독일 전자 싱크로트론’(DESY), ‘엘렉트론’(eleQtron), 독일 항공우주 센터의 ‘양자 컴퓨팅 이니셔티브’(DLR QCI)가 참여한다. 또한, ‘함부르크 투자개발은행’(IFB Hamburg)이 재정적 지원을 통해 연구 개발(R&D)에 박차를 가한다. HQML 프로젝트의 핵심 목표는 ‘유럽 입자 물리 연구소’(CERN)의 ‘대형 강입자 충돌기’(LHC)에서 생성되는 막대한 양의 실험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처리하는 것이다. 대형 강입자 충돌기(LHC)는 스위스 제네바에 위치한 세계 최대 입자 가속기다. 향후 2032년 예정된 LHC 업그레이드 이후에는 현재보다 10배 이상 많은 데이터가 생성될 것으로 전망된다. 기존 컴퓨터로는 이러한 데이터를 처리하는 데 수년이 걸릴 수 있어 새로운 기술 도입이 시급한 상황이다. 양자
구글이 멀티모달(복합 정보처리) 능력이 향상된 차세대 인공지능(AI) 모델 ‘제미나이 2.0’을 선보였다. 구글은 제미나이 2.0을 기반으로 업무 효율을 높일 수 있는 AI 에이전트(비서) 서비스도 공개했다. 글로벌 빅테크들이 앞다퉈 고도화한 AI 비서 서비스를 내놓고 수익화에 나서면서 국내 기업들의 발 빠른 대응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지난 12월 11일 구글(Google)은 제미나이 2.0을 공개했다. 지난 2월 ‘제미나이 1.5’를 내놓은 지 약 10개월 만이다. 구글은 이날부터 제미나이 2.0 플래시를 개발자를 위한 플랫폼인 ‘구글 AI 스튜디오’와 기업용 플랫폼인 ‘버텍스 AI’에서 실험 모델로 제공한다. 제미나이 2.0 플래시는 주요 벤치마크에서 ‘제미나이1.5 프로’에 비해 두 배 빠른 속도를 나타냈다. 이미지・동영상・오디오와 같은 멀티모달 입력뿐만 아니라 출력도 가능하다. 구글은 제미나이 2.0 기반의 새로운 AI 비서도 같이 공개했다. ‘프로젝트 마리너’는 브라우저 화면을 이해하고 추론하는 등 복잡한 작업을 지원한다. 구글 딥마인드 데미스 허사비스 최고경영자(CEO)는 “브라우저를 시작으로 인간과 에이전트 간 상호작용의 미래를 탐구한다.
리플(Ripple)이 발행하는 스테이블코인(Stable Coin) RLUSD가 뉴욕주 금융서비스국으로부터 최종 승인을 받았다. 지난 12월 10일 리플 브래드 갈링하우스(Brad Garlinghouse) CEO는 SNS X를 통해 미국 뉴욕주 금융서비스국(NYDFS)로부터 RLUSD가 최종 승인을 받았다고 밝혔다. 이어서 곧 거래소와 파트너사들에게서 리스팅(Listing)이 시작될 예정이라고 예정을 남겼다. 지난 4월 리플 재단은 RLUSD의 출시 계획을 밝혔었고, 출시된 RLUSD는 리플의 XRP 레저와 이더리움 네트워크(ETH Netwrok)에 우선 지원될 예정이다. RLUSD는 지난 8월부터 테스트를 진행해왔으며 업홀드, 비트스탬프, 비트소, 문페이, 인디펜던트 리저브, 코인메나, 불리시 거래소를 출시 파트너로 선택했다. 리플은 RLUSD를 통해 안정적인 가치 보장과 글로벌 사용성을 기반으로 기업과 개인 사용자들에게 블록체인 기반 금융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