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3월 21일 한화시스템은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과 서울 중구 한화빌딩에서 ‘6G 저궤도 위성통신 시스템 기술개발 및 공동협력’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MOU를 통해 두 기관은 6G 위성통신 기술 개발을 위한 연구 협력 및 공동 프로젝트를 추진할 예정이다. 화시스템은 위성통신과 방산 전자 분야의 기술력을, ETRI는 통신 및 ICT 분야의 연구 역량을 바탕으로 차세대 위성통신 기술의 고도화를 추진할 계획이다. 양측은 ▲6G 위성통신 기술 연구개발 ▲저궤도 위성통신 인프라 구축 ▲차세대 통신망 사업화를 위한 협력을 강화해 나갈 계획이다. 저궤도 위성통신 기술은 빠른 데이터 전송과 초연결 네트워크 구축에 필수적인 요소로 평가받고 있다. 한화시스템 손재일 대표는 “이번 협약을 통해 대한민국이 차세대 위성통신 기술을 선도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ETRI 방승찬 원장은 “6G 위성통신 기술 개발을 위한 긴밀한 협력을 통해 미래 ICT 산업을 혁신하는 데 힘쓰겠다.”고 전했다.
인공지능(AI) 스타트업 ‘xAI’와 반도체 기업 ‘엔비디아’ 블랙록이 주도하는 AI 인프라 투자 펀드에 참여한다. 지난 3월 19일 로이터통신 등에 따르면 ‘블랙록’(Black Rock)은 ‘xAI’와 ‘엔비디아’가 ‘AI 인프라 펀드’(AI Infra Fund)에 참여한다고 밝혔다. 이 펀드는 마이크로소프트(MS)와 협력해 운용하며, 미국 내 데이터센터와 전력망에 총 300억 달러(원화 약 43조 8,000억 원) 규모를 투자할 계획이다. 또한, AI 인프라 구축을 위해 미국 에너지 기업 GE 베르노바와 넥스테라 에너지도 참여한다. 에너지 기업들은 재생에너지 공급망 계획 및 고효율 에너지 솔루션 개발에 협력할 예정이다. AI 모델 훈련과 대규모 데이터 처리에는 막대한 연산 능력이 필요한데 이에 특화된 데이터센터 구축과 전력 공급 문제가 핵심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이 펀드는 AI 인프라 구축을 위한 협력체로 개편, 명칭을 ‘AI 인프라 파트너십(AIP)’으로 변경했다. AIP는 미국 및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들과의 협력을 중점적으로 추진한다고 밝혔다. 이번 협력에서 xAI와 엔비디아가 구체적으로 어떻게 참여할지는 아직 공개되지 않았다. 엔비디아는
포켓몬스터스칼렛・바이올렛 포켓몬 등 색이 다른 포켓몬(이하 ‘이로치’) 카드가 포켓몬 카드 게임 Pocket에 최초로 등장한다. 3월 23일 포켓몬에 따르면 샤이닝 하이에는 포켓몬스터 레드・그린(국내 미발매), 포켓몬스터DP 디아루가・펄기아와 포켓몬스터 스칼렛・바이올렛에 등장하는 포켓몬이 수록되어 있으며, 색이 다른 포켓몬 카드가 처음으로 등장한다. 이번 업데이트에서는 ‘어써러셔’와 함께 물보라가 들이닥칠 듯 박진감 넘치는 일러스트가 매력적인 ‘싸리용’ 카드가 추가될 예정이다. 또한, 상하좌우로 움직이면 반짝이는 이펙트가 빛나는 리자몽 ex(이로치), 루카리오 ex(이로치), 파치리스(이로치) 등 신규 카드를 만나볼 수 있다. 이와 함께 색이 다른 리자몽이 그려진 컬렉션 파일과 컬렉션 보드가 오는 4월 1일부터 새롭게 추가된다. 오는 4월 27일까지 ex 스타트 덱 미션 이벤트가 진행되며, 미션 달성 시 9종류의 스타트 덱 중 1개가 제공된다. 뿐만 아니라 플레이 실적이 비슷한 전 세계 플레이어와 실력을 겨룰 수 있는 랭크 매치가 시작된다. 랭크 매치 시즌 A2b는 오는 3월 28일부터 4월 27일까지 진행되며, 시즌 종료 시점의 랭크에 따라 프로필에 설정할
오는 3월 27 목요일 정부세종컨벤션센터에서 ‘제3회 소프트웨어 마켓 페어’(SW Market Fair)가 개최된다. 이번 행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주최하고 사단법인 한국상용소프트웨어협회가 주관한다. ‘소프트웨어 마켓 페어’는 올해 3번째를 맞이하는 행사다. 전 세계가 미래 선도형 성장동력의 확보를 위해 새로운 소프트웨어(SW) 기술 등이 주도하고 SW기반의 서비스화로 시장이 개편되는 중이며, 급변하는 소프트웨어 생태계 환경에 대응하고 SW 중심의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발전하고 지속 가능한 혁신성장 토대를 마련해야 할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에 핵심 트렌드에 맞는 소프트웨어(SW) 산업의 미래 비전을 제시하고 대한민국의 공공 정보화 발전을 위해 민간의 우수 SW와 Saas(Software as a Service)를 활용할 기회를 제공하고 상용(SW)나 서비스형 SW(SaaS)를 이용하고 보급 및 확산하기 위한 목적으로 마련된 행사다. 행사는 주최 주관, 후원사 소개와 키노트(Keynote), 소프트웨어(SW) 분야별 발표, 전시 투어로 구성되어 있다. 전시 분야도 상용SW(조달제품), 클라우드 공공SaaS 제품 등으로 분류되어 있다.
지난 3월 21일 AI(인공지능) 전문기업 솔트웨어(Saltware)가 오는 3월 27일 정부세종컨벤션센터에서 열리는 제3회 ‘소프트웨어 마켓 페어’(SW Market Fair)'에서 AI 서비스 ‘핏사피’(FitSapie)를 선보인다고 밝혔다. 핏사피는 솔트웨어가 개발한 서비스로 AI 기반 챗봇 ‘사피 봇’(Sapie-Bot), 제품 추천 기능 ‘사피 레코’(Sapie-Reco), 보안성을 높인 거대언어모델 ‘사피 LLM’(Sapie-LLM)으로 구성된다. ‘사피 봇’은 거대언어모델(LLM) 기반 AI 챗봇이다. 솔트웨어(Saltware)에 따르면 다양한 데이터 포맷으로 내부 데이터 적용이 가능하고 환각 현상(Hallucination)을 최소화해 응답 시스템의 정확성을 높여준다. 클라우드・온프레미스・하이브리드(Cloud・On-premis・·Hybrid) 등 맞춤형으로 구축할 수 있다. 고객의 도메인, 테스크 등에 특화된 커스터마이징도 가능하다. ‘사피 레코’는 사용자 의도와 행동 맥락을 파악, 구매자에게 새로운 구매 경험을 제공하는 상품 토털 추천 서비스다. 초개인화 추천으로 맞춤형 쇼핑 경험을 제공한다. 복잡한 알고리즘 대신 LLM 기반 추천 시스템으로
구글(Google)의 모회사인 알파벳(Alphabet)은 클라우드 컴퓨팅 스타트업인 ‘위즈’를 현금 320억 달러(원화 46조 4,700억원) 에 인수하기로 합의했다. 지난 3월 18일 블룸버그에 따르면, 알파벳과 위즈는 성명을 통해 거래가 마무리되면 위즈가 구글 클라우드 사업에 합류할 것이라고 밝혔다. 인수는 규제 승인을 거쳐야 하며 2026년에 마무리될 가능성이 높다고 밝혔다. 인수 거래는 알파벳의 역대 최대 규모 거래가 된다. 위즈는 지난 2024년에 대신 IPO를 추진하기로 하면서 알파벳의 230억 달러 인수 협상을 거부했다. 위즈를 인수함으로써 구글의 클라우드 컴퓨팅 사업은 마이크로소프트와 아마존을 따라잡기 위해 고객에게 제공할 새로운 보안 제품을 제공할 수 있을 전망이다. 위즈는 모든 플랫폼에서 작동하는 클라우드 전용 사이버 보안 도구를 제공하고 있으며, 구글에 인수된 뒤에도 아마존이나 마이크로소프트, 오라클 등 경쟁 클라우드 플랫폼에서도 계속 동작할 예정이다. 지난 2020년에 설립된 위즈는 ▲그린오크스 ▲세콰이어 캐피털 ▲인덱스 벤쳐 ▲인사이트파트너 ▲사이버스타츠 등의 벤처 캐피털로부터 투자를 받으면서 빠르게 성장했다. 지난 2024년 5월 위
지난 3월 17일 컴투스가 야구 매니지먼트 게임 ‘아웃 오브 더 파크 베이스볼 26’(OOTP 26)을 글로벌 출시했다고 밝혔다. 컴투스의 자회사 ‘아웃 오브 더 파크 디벨롭먼츠’가 개발한 OOTP 베이스볼은 1999년 첫 버전을 출시한 후 매년 새로운 버전으로 선보이고 있는 PC 기반 야구 매니지먼트 게임이다. 이번에 출시한 ‘OOTP 26’은 한국야구위원회(KBO) 리그와 메이저리그의 최신 선수 로스터를 게임 내 반영했다. 또한, OOTP 베이스볼 시리즈 최초로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WBC) 대회도 추가됐다. 2025년 치러진 예선전 경기를 시뮬레이션으로 플레이할 수 있고, 오는 2026년 한국을 비롯한 20개국이 겨룰 본선 경기도 선보일 예정이다. 이에 더해 메이저리그 역사 속 모든 시즌을 만나볼 수 있도록 하는 ‘페넌트 모드’를 추가했다. ‘OOTP 26’은 공식 홈페이지와 온라인 게임 유통 플랫폼 스팀을 통해 만나볼 수 있다.
넥슨의 대표 게임인 ‘메이플스토리’를 활용한 첫 번째 블록체인 기반 게임이 2025년 상반기 출시된다. 넥슨은 관련 테스트 참여자들의 캐릭터 데이터를 본 서버로 이동하는 등 사전 작업을 완료하며 막바지 준비에 돌입했다. 지난 3월 12일 게임 업계에 따르면 넥슨의 블록체인 프로젝트 메이플스토리 유니버스는 블록체인 기반 다중접속역할게임(MMORPG) ‘메이플스토리 N’의 ‘라이브 월드 리프’를 마감했다고 밝혔다. 라이브 월드 리프는 지난 2024년11월 진행된 메이플스토리 N 2차 테스트 참여자들이 테스트 서버에서 생성한 캐릭터와 장비 등 데이터를 본 서버로 옮기는 작업이다. 참여자가 직접 관련 페이지에서 자신의 가상자산 지갑을 연결해 진행했다. 메이플스토리 N 청사진도 일부 공개됐다. 메이플스토리 N에 구축될 ▲아인(Ain) ▲엘라이(Errai) ▲팽(Fang) ▲폴라리스(Polaris) ▲눈키(Nunki) 등 5가지 월드 중 자신의 캐릭터 데이터를 이전할 월드를 선택하도록 했다. 기존 메이플스토리 게임에서 자신의 캐릭터를 생성・플레이할 월드를 선택하는 것과 동일한 방식이다. 자신이 본 게임에서 사용할 닉네임도 예약할 수 있도록 했다. 지난 2024년 테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