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9월 24일 전통주 큐레이션‧유통 플랫폼 ‘대동여주도’는 신아주 그룹으로부터 100억 원의 투자를 유치했다고 밝혔다. 대동여주도는 큐레이션으로 전국 각지에서 전통주를 선별하고 이를 알려온 기업이다. 알려온 전통주 숫자만 2,000여 종에 달하며 300여 곳의 양조장을 컨설팅 해온 대동여주도는 국내 양조장의 판로 확대를 위해 제품 개발과 마케팅, 홍보와 유통 등 다양한 사업을 영위하하고 있다. 대동여주도의 목표는 한국 술의 기준을 제시하고 프리미엄 전통주의 시장을 개척하는 것이다. 대동여주도에 투자한 신아주그룹은 1981년에 아주그룹을 모태로 설립됐다. 상봉시외버스터미널을 시작으로 자동차와 부동산 개발, 사회공헌 사업을 영위하고 있다. 폭스바겐 공식 딜러사인 아우토플라츠를 시작으로 2021년 마세라티 공식 딜러사인 스텔라오토모빌을 설립했다. 상봉터미널 일대를 지역 문화 발전을 위한 랜드마크로 재탄생시키기 위해 재개발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대동여주도는 이번 투자 유치를 계기로 신아주그룹과 함께 양조장 투자‧육성사업을 본격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건축‧설비‧장비 등 제조 전반의 인프라스트럭처 확충부터 상품화‧브랜딩‧마케팅‧유통‧수출 전반의 지원까지 더해 양
법‧규제‧정책 모니터링 플랫폼 ‘코딧’(CODIT)이 일본 규제 플랫폼 ‘코딧 재팬’(CODIT JAPAN)을 출시했다. 지난 9월 24일 코딧은 코딧 재팬을 출시했다고 밝히고 인공지능(AI)과 빅데이터 기술을 기반으로 일본의 규제와 정책 모니터링에 특화된 플랫폼을 출시했다고 밝혔다. 최신 법령과 규제, 그리고 NHK, 요미우리, 닛케이 등 현지 메이저 언론사의 뉴스도 실시간으로 제공한다. 코딩의 맞충형 키워드 설정 기능을 제공해 기업의 맞춤 규제와 정책도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기능을 제공하고 비즈니스 리스크를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한다. 코딧 정지은 대표는“코딧은 이미 국내 굴지의 대기업, 유니콘(기업가치 1조원 이상 비상장사) 뿐만 아니라 포춘 500(Fortune 500) 탑티어(Top-tier) 기업들이 선택한 솔루션이다.”라며 “일본 시장에서도 충분한 경쟁력을 발휘할 것으로 기대한다.”라고 말했다.
일본제철(Nippon Steel)이 보유중인 포스코홀딩스(Posco Holdings)의 지분을 매도했다고 밝혔다. 9월 24일 일본제철은 보도자료를 통해 보유중인 포스코홀딩스의 주식 289만 4,712주를 자산 압 축에 따른 자본 효율 향상을 위해 매각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현재 일본제철은 미국의 US스틸(US Steel)의 인수를 추진 중인데 일본 언론은 포스코의 지분 매각이 미국과 인도에서의 시장 전략에 따른 경영 지원을 집중하기 위한 방침이라고 해석했다. 포스코홀딩스 측은 일본제철 측과 사전 협의 된 사항이며, 양사의 전략적 제휴 관계에는 변함이 없다는 입장을 내놨다. 지난 2000년 8월 포스코와 일본제철은 양사간 주식의 상호 보유를 포함한 전략적 제휴를 맺었다. 공동 연구 및 기술 교류, 원료조달과 해외사업, 인재양성 등 다양한 분야에서 긴밀하게 협업해 기업간 경영 통합과 달리 양사의 지원의 융합에 의해 공동 성과를 실현하는 방식이다. 당초 일본제철은 포스코 지분을 5%를 확보했었지만, 조금씩 줄여나가 현재 3%에 이르렀다. 지난 2016년 일본제철이 지분 1.72% 결정을 내린 이유도 경쟁력 제고와 해외 사업 확징이라고 설명했으며, 당시에도 닛신제
대한석탄공사가 2025년 강원도 도계광산 폐광을 끝으로 사업이 종료되지만 2조 5,000억 원에 달하는 부채로 청산이 쉽지 않은 상황이다. 광산 피해 관리를 위한 광해광업공단과의 합병 가능성도 8조 원의 부채 때문에 쉽지 않은 것이 현실이다. 지난 7월 산업통상자원부(이하 ‘산자부’)는 대한석탄공사(이하 ‘석탄공사’)가 광해광업돈강이 외부 전문가 등으로 구성된 ‘자문위원회’를 구성해 석탄공사의 향후 방향을 논의했으며, 석탄공사의 석탄 생산 업무가 종료에 임박했음을 밝혔다. 석탄공사는 지난 9월 6일 폐광 기념식을 태백 장성광업소에서 가졌고 2025년 6월 삼척 도계광업소가 폐광하게 되면 석탄 생산의 사업이 모두 종료하게 된다. 1960년부터 국내에서 9곳의 탄광을 운영해온 석탄공사는 당시 석탄공사의 CEO를 ‘총재’라고 부를 정도로 위상이 드높았다. 하지만 1989년 ‘석탄산업합리화정책’ 이후 석탄 산업의 채산성 악화와 사회적 문제 발생으로 비경제 탄광을 정리하고 경제성이 높은 탄광을 집중 육성하면서 몰락이 시작됐다. 석탄의 생산량이 줄고 채산성이 나빠졌지만 저소득층은 여전히 난방 연료로 연탄을 사용하고 있었고, 정부는 연탄 생산을 위한 무연탄 가격을 통제해
9월 24일 유암코(연합자산관리)와 MG새마을금고중앙회가 프로젝트 파이낸싱(PF) 정상화를 위해 5,000억 원을 공동 출자한다. PF-NPL(부실채권) 사업장 중 부실채권 인수와 채권 재구조화, 그리고 지분투자 등의 방식으로 부실 PF 사업장의 정상화를 지원한다는 방침이다. 이번 PF 정상화 펀드는 주거, 비주거를 구분하지 않고 부실 PF 사업장에 투자하게 되며, 기존 채권의 재구조화 및 사업정상화를 ndl한 신규자금지원 등 유암코의 다양한 투자 전략과 시중은행의 신디케이트론을 활용한 레버리지 효과로 펀드의 수익을 극대화한다는 전략을 세운 것으로 알려졌다. 유암코는 시중은행들이 주주로 참여해 설랩했으며, 국내 부실채권(NPL) 및 기업구조조정 투자사다. 2011년 PF부실 사태 당시 PF정상화뱅크인 PF 정상화PEF를 1조 4,000억 원 규모로 조성해 29개 부실 PF사업장을 정상화 했으며 7개 은행의 공동 출자를 이루어냈었다. 준공 후, 착공 전후 PF 사업장을 인수해 분양 사업을 계속 진행하거나 청산중인 PF사업장을 인수해 제3자에게 매각한 했으며, 유암코는 PF사업장의 정상화 및 워크아웃 건설사 등 다양한 투자 사업을 진행해왔다. IBK기업은행(중소
삼성전자와 삼성디스플레이가 국내 협력회사의 ESG 경영을 지원하기 위한 1조원 규모 펀드 조성에 나선다. 9월 24일 삼성전자‧삼성디스플레이는 서울 명동에 위치한 은행회관에서 금융감독원 및 5대 금융지주와 ESG 경영을 지원하는 ‘협력회사 ESG 펀드 조성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삼성전자가 8,000억 원, 삼성디스플레이가 2,000억 원을 출자해 총 1조 원을 출자하고 삼성의 1차 협력회사에 예치이자와 감면금리를 활용해 무이자 대출을 받게된다. ESG 펀드는 10월부터 시행해 6년간 협력회사의 ESG 경영 기반 구축을 위한 자금으로 활용된다. 협력회사가 사업장 환경‧안전 개선, 에너지 사용 저감 등 ESG 투자 계획을 수립해 대출을 신청하면 삼성전자‧은행은 자금 목적이 ESG에 적합한지 심사해 지원하게 된다. 협력업체당 최대 20억원 한도 내에서 최장 3년간 무이자로 대출받을 수 있으며, 1년 단위로 최대 2회까지 연장 신청이 가능하다. 최근 ESG 경영은 글로벌 화두로 떠오르고 있지만, 중소 업체들 입장에선 환경‧안전설비 추가와 같은 ESG 활동으로 비용은 발생하는데 당장 매출 기여는 없다보니 부담이 된다는 의견도 적지 않다. 이에 삼성은
8월 31일은 말레이시아 독립기념일이다. 영국에서 독립한 날이다. 말레이어로는 하리 메르데카(Hari Merdeka)라고 하고 영어로는 국경일(National Day)이다. 독립의 아버지라 불리는 툰구 압둘 라만 말레이시아 초대 총리가 1957년 8월 31일 쿠알라룸푸르 메르데카 경기장에서 “메르데카(독립)”를 일곱 번 외치면서 말레이시아의 독립을 선언한 일화가 유명하다. 당시에는 말레이시아란 이름을 쓰지 않았으니까 정확히는 말라야의 독립이다. 말라야는 말레이반도 9개 주와 영국 직할령인 말라카와 페낭을 합친 연방으로 영국이 1946년에 처음 제정했다. 이후 영국정부와 말라야 정치인이 런던에서 만나 1957년 8월 31일에 말라야를 독립하는 런던 조약을 체결했다. 조약에는 9개 주의 술탄이 5년마다 돌아가면서 국왕을 하는 입헌군주제 채택과 중국인과 인도인들도 말라야 시민권을 갖게 하는 인종 화해이자 공존을 모색하는 내용이 들어 있다. 흥미롭게도 2년 후 “메르데카”를 외치는 일이 또 한 번 발생한다. 1963년 9월 17일 툰구 압둘 라만은 말라야와 싱가포르, 사라와크, 사바를 합병해 말레이시아를 수립한다고 발표하면서 같은 장소에서 “메르데카”를 일곱 번 외
아세안 10개 국가 중 기후 리더가 될 가능성이 높은 나라는 어디일까? 싱가포르 ISEAS-유소프 이삭 연구소는 17일 동남아 10개국 2931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한 결과를 발표했다. 싱가포르가 지난해 38.7%에 이어 올해 43.1%를 차지해 2년 연속 1위를 차지했다. 2위와 3위는 각각 인도네시아(12.3%)와 태국(12.2%)이 차지했다. 자국에 투표한 인도네시아(61.5%), 태국(44.7%), 베트남(46.7%)을 제외하고 나머지 동남아국가들은 싱가포르에 투표했다. 베트남 응답자들은 지난해 싱가포르를 리더로 꼽았지만 올해는 자국을 선택했다. 이는 베트남 정부가 2050년 순 제로 서약을 재확인하고 제8차 전력 개발 계획에서 녹색 전환 계획으로 진전한 데 따른 것으로 평가된다. 싱가포르 응답자가 자국을 선택한 비율은 지난해 69.9%에서 올해 73.1%로 증가했다. 싱가포르는 주변 국가로부터 수력 전력을 수입하고 탄소 배출량을 줄이기 위해 청정 에너지원의 다각화를 적극적으로 모색하고 있다. 또한 지역 전력망 강화와 수소 전략을 추진하고 항공 여행 부과금을 징수하여 지속가능한 항공 연료 프로모션을 지원하고 있다. 올해 설문조사는 기후변화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