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대 동남아연구소가 사단법인 한국동남아학회, 부산외대 아세안연구원과 공동 주최로 오는 1월 21일과 22일 이틀에 걸쳐 제7회 동남아지역동향설명회를 개최한다. 이번 설명회는 공동주최 기관인 아세안연구원의 제4차 아세안(ASEAN) 지역설명회를 겸하며, 동남아연구소와 아세안연구원이 한국연구재단으로부터 수주한 인문사회연구소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개최된다. 동남아지역동향설명회는 한국동남아학회가 매년 학회지 ‘동남아시아연구’의 특집호로 발행하는 국가리뷰의 핵심 내용을 학회원, 연구자, 대학원생 및 일반 대중과 공유하고 토론하는 학술행사다. 동남아시아의 정치, 경제, 대외관계(한국과의 관계 포함)에서의 핵심 쟁점과 주목할 만한 사회문화적 현상을 짚어보고 논의하는 장이다. 매년 8월에 개최되는 한국동남아학회의 연례학술대회와 함께 국내 동남아 학계의 중요 학술행사로 자리 잡았다. 코로나19 팬데믹이 시작된 2020년, 각국 리뷰를 녹화영상으로 제작하여 유튜브를 통해 송출하는 방식으로 시작된 첫 설명회 이래 동남아지역동향설명회는 매년 줌을 활용한 실시간 웨비나로 개최해 왔다. 동남아 지역 지식-정보의 더욱 폭넓은 확산을 도모한다는 취지로 설명회가 종료된 후에는 국가별로 편집
동남아시아연구 31권, ‘인도네시아 한인100년사: 대안적 국외 이주 역사 기술 제언’ 2020년은 적도의 땅, 인도네시아에 한인이 진출한 지 100년이 되는 해였다. 이에 맞춰 100년의 인도네시아 한인과 한인 기업 진출사를 기록한 책이 출간되었다. ‘인도네시아 한인 100년사’(서울: 순정아이북스, 2020)는 인도네시아 현지에 거주하는 한인들로 구성된 ‘인도네시아 한인 100년사 편찬위원회’가 직접 기록했다. 서울대학교 지리학과 석사과정에 재학중인 박준영이 동남아시아연구 31권 1호에 이에 대한 서평(‘인도네시아 한인 ‘성공’ 진출사:대안적 국외 이주 역사 기술 제언’)을 실었다. 필자 박준영은 이 책이 갖는 의미를 특별히 강조하고픈 내용에 대해 확대하여 들여다보며 구체적이고 적극적으로 평가하고 이를 바탕으로 100년 이후의 한인 역사 기술에 대한 필자의 의견를 밝혔다. 아세안익스프레스에서 박준영 서평을 소개한다. ■ 당사자로부터 기록된 100년 역사 편찬’의 과업 ‘열의’와 ‘고민’ 느껴져 현재 인도네시아에 거주하는 한인들은 이 책의 집필진이 되어 책의 곳곳에서 인도네시아 한인 진출 100년의 역사 ‘속에’ 당사자로 존재하고 있음을 강조하고 있다.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