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SDS가 프랑스 인공지능(AI) 스타트업 미스트랄AI를 대상으로 지난 2024년 2월 지분 투자를 단행했다. 지난 3월 14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삼성SDS(Samsung SDS)는 지난 2024년 확보한 미스트랄AI 지분율이 0.12%로 장부가액은 약 78억 원이다. 삼성SDS 관계자는 이번 지분 투자 배경에 대해 “미스트랄AI와 AI 등 관련 기술 협력 차원.”이라고 강조했다. 삼성SDS는 최근 자체 생성형 AI 서비스인 ‘패브릭스’에 미스트랄AI를 탑재해 시범 운영 중이다. 향후 내부 검토를 거쳐 활용 여부를 결정할 예정이다. 구글 등 테크기업 출신의 프랑스 엔지니어들이 2023년 창업한 미스트랄AI는 설립 1년 만에 기업가치 8조 6,000억 원을 기록했다. 현재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의 전폭적 지원을 받고 있으며, 유럽의 AI 기술력을 대표하는 기업으로 꼽히고 있다. 아르튀르 멘슈 미스트랄AI 최고경영자(CEO)는 지난 3월 4일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열린 MWC25 대담 세션에 참가해 중국의 AI 서비스 출시가 글로벌 AI 산업에 미친 변화를 언급하기도 했다.
삼성SDS가 삼성전자 구미1사업장 내 부지 일부를 215억원에 매입한다고 공시했다. 매입된 부지는 ‘첨단 AI(인공지능) 데이터센터’가 지어질 것이란 기대감이 제기되며 구미 지역의 경제 활성화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12월 1일 현재 삼성SDS가 매입하게 될 부지는 현재 한화시스템이 임차해 사용 중이다. 현재 한화시스템은 삼성전자 구미1사업장 부지 총 198,000㎡ 중 약 45,000㎡를 임차해 사용해왔으나, 2025년에 구미 신사업장으로 이전한다. 이에 따라 2025년부터 비게 되는 이 부지가 삼성SDS의 대규모 투자가 이루어질 가능성이 높다는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삼성SDS는 이달 중 매매 계약을 체결할 예정이며, 매입되는 부지에는 대규모 AI 데이터센터가 건립될 것으로 예상된다. 삼성SDS는 국내외에서 클라우드 서비스와 IT 솔루션 사업을 확대하고 있어, 이를 뒷받침할 데이터센터 구축이 필요한 상황이다. 현재 국내에서 ▲서울 상암 ▲수원 ▲구미 ▲춘천 ▲동탄의 5곳과 해외 13곳 등 총 18곳의 데이터센터를 운영중인 삼성SDS가 구미에 데이터센터를 완공하면 19번째 센터를 만들게 된다. 데이터센터를 확장은 삼성SDS의 클라우드 사업의 성장의 뒷받침
삼성SDS의 AICC(AI Contact Center)가 차세대 컨택센터 솔루션으로 사업 확장에 나선다. AICC는 자연어 이해(NLU), 음성인식(STT), 텍스트 분석(TA) 등 AI 기술 기반 가상 상담, 상담 지원, 상담 분석 기능을 적용하여 업무 효율과 고객 만족도를 향상시키는 지능형 컨택센터 솔루션이다. 삼성SDS의 자연어 이해 기술은 AI가 빠르고 정확하게 대화의 의도를 이해하고 상담을 수행할 수 있게 해준다. MS MARCO, 코쿼드(KorQuAD) 1.0 및 2.0 등 국내외 AI 기계독해 경진대회에서 1위를 차지하며 기술력을 인정받았다. AICC로 문의 사항이 접수되면 AI 상담원(챗봇 또는 음성봇)이 문의 응대, 가입 심사, 서비스 신청 접수 등의 업무를 수행한다. 기술지원 요청과 같이 어려운 문의는 전문 상담사로 자동 연결되고, AI가 대화를 해석하여 상황에 맞는 최적의 답변이나 콘텐츠를 자동 추천해 준다. 이후 AI가 고객 불만 사항(VoC) 등을 실시간 분석하고, 상담 내용을 자동 평가하여 품질도 향상시킨다. 삼성SDS의 AICC를 도입하면 △상담사의 단순, 반복적인 업무 50% 이상 절감 △AI의 고객 문의 유형 실시간 분류 및 답
KOTRA가 기업은행, 삼성SDS와 기업 수출 지원에 나선다. 지난 5일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와 IBK기업은행, 삼성SDS는 서울 염곡동 KOTRA 본사에서 중소‧중견기업 수출지원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KOTRA의 기업간거래(B2B) 사이트인 바이코리아(BuyKOREA)를 종합 수출지원 플랫폼으로 개선하기 위한 업무협약이다. IBK기업은행은 ‘수출대금 결제서비스’와 삼성SDS는 온라인 물류플랫폼은 ‘첼로스퀘어’를 연계한 종합 서비스를 만드는데 협력한다. 한국 기업이 온라인 상에서 해외마케팅, 바이어상감, 대금결제, 물류기지 원스톱으로 해결하는 방식이다. 또한 3사는 중소‧중견기업의 온라인 수출 확대를 위한 해외 마케팅 강화, 다양한 대금결제 서비스 도입을 통한 안전한 온라인결제 확대, 최첨단 물류관리 플랫폼‧물류서비스 도입에 힘을 모으기로 합의했다. KOTRA는 세계 84개국 127개 해외무역관을 운영하면서 쌓아둔 글로벌 마케팅 역량과 IBK기업은행의 수출대금 결제서비스, 삼성SDS의 물류관리 노하우가 시너지를 낼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KOTRA 권평오 사장은 “중소·중견기업의 온라인 수출을 지원하기 위해 민·관이 손을 잡고 ‘디지털 상생
삼성SDS가 2분기 매출액이 2조 5666억 원, 영업이익 1967억 원을 달성했다고 잠정실적 공시를 통해 밝혔다. 전 세계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사업 지연 등이 잇따르면서 2019년 2분기와 비교했을 때 매출액은 7.5%, 영업이익은 24% 감소했음을 알 수 있다. 하지만, 코로나19고 본격화된 1분기와 비교했을 때 매출액은 5.4% 증가하고 영업이익은 14.9% 증가해 반등을 기대하게 했다. 특히, 클라우드, 인텔리전트팩토리, AI‧Analytics, 솔루션 등 IT 전략사업 매출액이 1분기 대비 6% 상승하면서 반등의 견인차 역할을 수행했다. 사업분야별 실적에서는 IT서비스 사업 매출액은 신규 대외 고객 확보로 1분기 대비 2.7% 증가한 1조 3196억원이었으며 2019년 2분기 대비 15.9% 감소했다. 물류 BPO 사업 매출액은 항공 물류의 증가와 대외사업의 확대로 1분기 대비 8.4% 증가한 1조 2468억원으로 집계되 2019년 2분기 대비 3.3% 증가했다. 삼성SDS는 2020년 하반기에는 기업의 IT 투자가 다시 회복될 것이라며 차세대 시스템 구축 제조 지능화, 클라우드‧구축 등 IT 전략 사업을 중심으로 신규 사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