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가 향후 1년 동안 10조 원 규모 자사주를 매입한다. 2024년 들어 주가가 33%가량 하락하며 주가가 주당 4만 원에 내려가자 특단의 대책을 내놓은 것이다. 삼성전자가 10조 원에 가까운 대규모 자사주 매입을 결정한 것은 2017년 1월 이후 7년여 만이다. 지난 11월 15일 삼성전자는 이사회를 열고 주주 가치 제고 등을 위해 1년 동안 10조 원 규모 자사주를 매입하기로 의결했다. 이 중 3조 원은 11월 18일부터 2025년 2월 17일까지 3개월 내 장내 매수 방식으로 사들여 전량 소각하기로 했다. 보통주 5,014만 4,628주, 우선주 691만 2,036주가 대상이다. 나머지 7조 원 어치의 매입 시기 및 활용 방안 등에 대해서는 추가로 이사회를 열고 결정하기로 했다. 7조 원어치 자사주의 전체 또는 일부에 대한 추가적인 소각 가능성도 열려 있다는 의미다. 삼성전자가 시장의 예상을 뛰어넘는 규모로 주주 가치 제고 정책을 깜짝 발표한 것은 주가 방어에 적극적으로 나서겠다는 의지다. 지난 10월 기대를 밑돈 실적과 인공지능(AI)용 고대역폭메모리(HBM) 공급 지연으로 전영현 DS(반도체) 부문 부회장이 ‘사과문’을 낸 이후에도 ‘트럼프 스
BBVA는 2023년 2분기 실적이 주요 시장인 멕시코와 스페인의 대출 수입 증가로 인해 순이익이 2022년 2분기 대비 24% 증가했다고 밝혔다. 이에 BBVA 스페인 은행은 또한 10억 유로(원화 약 1조 4,948억) 규모의 자사주 매입 프로그램을 발표했다. BBVA는 2023년 연초 소규모 추가 자사주 매입과 2022년 32억 유로(원화 약 4조 7,845억 원) 자사주 매입 프로그램에 이은 후속 조치다. 또한, BBVA는 2023년 2분기 20억 3,000만 유로(원화 약 3조 345억 원)의 순이익을 기록해 로이터가 조사한 애널리스트 전망치 18억 3,000만 유로(원화 약 2조 7,355억 원)를 넘어섰다. 높은 수익은 BBVA의 수익성 척도인 유형자기자본이익률(ROTE)이 3월 16.3%에서 6월 16.9%로 상승하는데 기여했다. 제프리스 애널리스트들은 이번 결과를 환영하며 “앞으로 몇 년 동안 멕시코에서 상당한 대출 성장을 보일 것으로 기대한다.”고 전망했다. BBVA 오누르 젠크(Onur Genç) 최고경영자(CEO)는 “BBVA는 향후 자사주 매입을 추가로 시행할 수 있다.”는 입장을 밝혔다.
현대자동차 그룹이 주주가치의 제고를 위해 5045억 원 규모의 자사주 매입을 결정하고 장내에서 취득할 것이라고 공시했다. 현대자동차 그룹은 2021년 11월 19일부터 2022년 2월 18일까지 매입주식 발행 총수의 1%에 해당하는 276만 9388주(보통주‧우선주)를 매입할 계획이다. 매입 목적은 주주가치의 제고를 위한 자사주 매입이며, 보유 자사주는 중‧장기적 관점에서 주주 환원 정책 강화를 위해 활용한다고 밝혔다. 현대자동차의 자사주 매입은 2019년 12월 3000억 원 규모의 매입 이후 23개월 만이다. 현대자동차의 공시에 시장도 반응하고 있다. 5000억 원 규모의 현금이 움직이기 때문에 현대차의 사내유보금이 충분하다는 뜻이며, 주가 방어도 가능하다는 것으로 해석되기 때문이다. 반면 현대자동차의 자사주 매입에도 불구하고 큰 폭의 주가 상승은 기대하기 어렵다는 전망과 함께 결국 단기적 주가는 모르지만 장기적인 핵심 요인은 현대자동차의 실적이 될 것이라는 증권가의 전망도 함께 나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