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수 부족한 말레이시아, 꼼꼼한 정수기 사후관리 민심을 얻었어요.” 코웨이는 한국 정수기-비데 업계 1위다. 지난해 매출 3조9665억원, 영업이익 7313억원으로 역대 최대 실적을 기록했다. 각각 전년 대비 2.9%, 8.0% 증가한 수치다. 넷마블이 인수한 코웨이는 한국뿐만이 아니라 해외에서도 잘 알려졌다. 해외법인 지난해 매출 1조4307억원이다. 전체 36%에 해당한다. 특히 8개 해외법인 중 가장 매출 규모가 큰 국가는 말레이시아다. 코웨이가 진출한 나라 중 가장 인구가 적은 3500만 명의 나라다. 코웨이는 2007년 진출해 정수기를 필두로 당시 현지에서 생소했던 렌털 사업을 개척해 왔다. 이후 현지에 특화한 에어컨 제품을 출시, 렌털 시장 점유율 1위(약 30%)를 차지하고 있다. 현재 말레이시아에서 “코웨이를 모르면 간첩”이라는 소리를 정도로 국민 브랜드로 성장했다. 최근 고객 관리 100만 계정을 돌파했다. 정수기가 약 80%다. 말레이시아는 낙후된 상수도로 수돗물에 석회 등이 섞여 나오면서 식수가 크게 부족한 나라다. 이 때문에 국민들이 정수기에 의존할 수밖에 없다. 말레이시아 현지 업체들은 제품 판매 후 사후 관리를 잘해주지 않는데, 코
“코웨이는 말레이시아에서 정수기 국민브랜드다.” 코웨이가 말레이시아에서 ‘국민브랜드’로 발돋움하고 있다. 말레이시아 정수기 시장에서 40% 점유율로 독보적인 1위에 올랐다. 이는 코웨이의 전체 해외 매출 70%다. 더 벨은 14일 업계에 따르면 코웨이의 지난해 해외 사업에서 7491억 원의 매출을 기록했다고 전했다. 주목되는 것은 코웨이 말레이시아 법인의 매출이다. 지난해 매출은 5263억 원으로 전년 대비 48.9% 늘었다. 말레이시아 법인 매출 추이는 2015년 매출 978억 원, 2016년 1430억 원, 2017년 2075억 원, 2018년 3534억 원으로 연평균 30% 이상 고도성장을 하고 있다. 말레이시아 법인은 2006년 해외 법인을 처음 설립해 진출한 곳이다. 2010년에는 정수기 업계 최초로 말레이시아에서 할랄(이슬람 음식) 인증을 획득했다. 지난해 135만 고객 계정을 달성했다. 말레이시아 법인은 정수기에 이어 공기청정기와 비데 렌털서비스도 선보였다. 올해는 매트리스 렌털도 도입한다. 한편 게임사 넷마블은 지난해 12월 27일 한국 렌탈 시장 1위 업체인 웅진코웨이 인수를 확정했다. 웅진코웨이 주식 1851만1446주를 1조7400억원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