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출입은행(이하 ‘수은’)이 비상계엄 사태 이후 국내 금융권 중 처음으로 해외 채권을 발행한다. 국책은행인 수은의 이번 외화채 발행은 해외투자가들이 우리나라 경제를 어떻게 보는지를 가늠하는 바로미터가 될 것으로 예측된다. 1월 7일 수은은 20억 달러 규모의 달러 표시 채권을 이번 주 중 발행할 예정이다. 채권은 만기 3~10년물로 구성된다. 발행 주관 업무는 ▲ANZ ▲씨티그룹 ▲도이체방크 ▲골드만삭스인터내셔널 ▲HSBC ▲JP모건 ▲웰스파고증권 등이 맡는다. 수은 관계자는 “채권 발행을 통해 조달한 자금은 연내 만기가 도래하는 채권 상환과 운용 자금으로 사용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수은의 국제 신용등급은 무디스 기준 Aa2로 10개 투자등급 중 3번째로 높으며, 우리나라 국가 신용등급과 같다. 이는 수은이 발행하는 채권은 안정적인 수익을 기대할 수 있는 우량 자산으로 평가될 수 있응 이유로 실제 수은은 2022년부터 매해 첫 한국물 발행을 성사시키며 시장의 벤치마크 역할을 해왔다. 하지만 계엄 사태 이후 우리나라 경제의 불확실성이 고조된 상황이라 2025년 올해도 흥행을 이어갈 수 있을지 예단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우량 자산인데도 발행금리가 예상보다 높거
일본의 투자사들의 해외 채권매입이 엔화 가치 변동에 영향을 주고 있다. 지난 2월 28일 블룸버그통신은 일본 자산운용사들은 지난 2월 11일부터 2월 17일까지 1주간 2조 7,000억 엔(원화 약 26조 1,000억 원)에 달하는 해외 채권을 순매수했다고 보도했다. 2020년 3월 코로나19 대유행(팬데믹) 이후 일본에서의 자본 순유출 중 가장 큰 규모이며, 지난 10년 동안 주간 평균 자본 유출액의 20배에 달하는 규모다. 우에다 가즈오 일본은행 총재 후보자가 금융완화 정책을 유지하겠다는 입장을 밝힌 가운데 2023년 2월 일본에서 나가는 자금 유출 속도는 유래없이 빠르다. 골드만삭스 등 투자은행(IB)들도 엔화 강세 전망을 축소하고 엔화 가치가 당분간 완만한 약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했다. 달러화 대비 엔화 가치는 2022년 10월 149.74엔으로 저점을 찍은 이후 10% 이상 상승했다. 이날 한국시간 오전 11시 58분 현재 엔/달러 환율은 전장보다 0.004엔 내린 136.26엔에 거래되고 있다. 앞서 2022 일본 투자자들은 해외 채권을 역대급으로 매하면서 2022년 엔화 변동성 요인으로 작용했다. 일본 재무성에 따르면 일본 자산운용사들은 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