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만 폭스콘(Foxconn)이 중국 본토에 전기차 배터리 공장을 짓고 전기차 사업을 확장하기로 했다.
애플 최대 위탁 협력업체인 폭스콘(훙하이정밀공업)은 전기차 뿐 아니라 반도체, 로봇 등 수익 사업 다각화에 나서고 있다.
지난 12월 25일 폭스콘이 대만 증권거래소에 ‘폭스콘 신에너지 배터리(정저우)’에 6억 위안(원화 약 1,200억 원)을 투자한다고 공시했다.
이 자금은 중국 허난성 정저우에 배터리 공장을 짓는데 사용될 예정으로 설립된 공장은 대만 이차전지 공장에 이은 2번째 전기차 배터리 공장이 될 예정이다.
폭스콘은 인도에서도 배터리 공장 설립을 검토 중인 것으로 전해진다.
폭스콘은 위탁생산 전문기업으로 전기차 시장에서 크게 두각을 나타내지 않았었다.
하지만 지난 2020년부터 전기차 제조 사업에 진출해 전기차 플랫폼을 개발해 다른 제조사들의 제품을 만들어주는 전략으로 시장에서 입지를 다져왔다.
지난 2022년 5월엔 미국 전기 픽업트럭 스타트업 로즈타운 모터스의 오하이오 공장을 2억3000만 달러에 인수했다.
2022년 11월에는 사우디아라비아 빈살만 왕세자가 의장으로 있는 사우디 국부펀드(PIF)와 전기차 합작회사 인 ‘시어(Ceer)’도 설립했다.
폭스콘이 일본 자동차 기업인 닛산(Nissan)의 인수에 관심을 표명하자, 일본 자동차 업계에서 닛산과 혼다 자동차가 지주회사 설립을 통한 합병을 공식화했지만, 폭스콘은 닛산에 대한 관심을 꾸준히 가지고 있는 상황이다.
폭스콘 세키 준 전기차부문 최고전략책임자(CSO)은 지난 10월 블룸버그와 인터뷰에서 “불확실한 경영 환경 속에서 투자와 개발을 신중하게 진행할 것”이라면서도 “내년까지 글로벌 전기차 제조 시장 5%를 확보하겠다.”고 밝히기도 했다.
지난 2019년에 세키 준 CSO는 르노-닛산-미쓰비시 얼라이언스의 수석부사장을 지냈던 인물이다.
폭스콘은 전기차 배터리 사업도 키우고 있다.
지난 2023년 4월엔 정저우에 전기차 관련 사업 본부를 만들었고, 2024년 10월엔 폭스콘 신에너지 배터리라는 회사를 설립했다.
또한 폭스콘은 TSMC가 반도체 설계업체의 주문을 받아 대신 생산해주는 파운드리 모델을 그대로 도입해 ‘자동차 파운드리’ 기업이 된다는 목표를 세웠다.
지난 2016년 인수한 샤프를 통해 MIH 플랫폼 기반 콘셉트카 LDK플러스를 지난 2024년 9월에 내놓으면서 전기차 시장의 ‘자동차 파운드리’에 한발 더 다가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