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간 개인 결제 장벽이 허물어지고 있다. 국가와 국가 일대일로 이루어지고 있는 결제서비스도 다자간 연결 서비스로 바뀐다. 이제 인도, 말레이시아, 태국, 싱가포르, 필리핀 사람들은 핸드폰만 있으면 직접 돈을 주고받을 수 있게 된다. 국제결제은행(BIS)은 1일 국가 내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즉시결제시스템(IPS, Instant Payment System)을 전 세계적으로 연결하여 즉시 국경 간 결제를 할 수 있는 표준 플랫폼을 출시하겠다고 밝혔다. 현재 70개 이상의 국가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국내 결제는 보내는 사람이나 받는 사람들이 거의 비용을 지불하지 않고 송금할 수 있다. 즉시결제시스템 (IPS)의 발전 덕분이다. IPS를 국가끼리 연결하면 60초 이내에 국경을 넘는 결제가 가능하다. 동남아시아를 비롯한 세계의 여러 국가들은 자국과 다른 나라의 IPS를 일대일로 연결하고 있으며 점점 확대하는 추세다. 싱가포르 국민의 80%가 사용하고 있는 페이나우(PayNow)는 2021년부터 태국의 프롬프트페이(PromptPay)와 연결하여 서비스하고 있다. 지난해에는 인도의 UPI와 말레이시아의 두잇나우(DuitNow)와도 즉시 결제가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양자
호주 정부가 애플과 구글 등 글로벌 IT 대기업들의 디지털 결제 서비스에 대한 규제 강화를 검토 중이다. 호주 조시 프라이든버그(Josh Frydenberg) 재무장관은 새로운 법안의 제정과 정부가 위임한 보고서의 권고 사항을 세밀하게 고려중임을 밝혔다. 정부가 공개한 보고서는 IT 기업들의 결제 시스템이 기술 발전과 소비자 수요 변화를 따라잡았는지 여부를 연구했다. 최근 몇 년간 호주에서 빠르게 발전한 애플 페이, 구글 페이, 위챗 페이 등은 현재 결제 시스템으로 지정되지 않아 규제 시스템에 밖에 있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이에 국제결제은행(BIS)은 8월 초 IT 대기업의 영향력과 대량의 소비자 데이터를 다루는 IT 대기업인 구글, 페이스북, 아마존, 알리바바 등에 긴급하게 대응할 것을 글로벌 금융 규제 기관에 촉구하고 나섰다. 호주 정부 보고서는 정부가 IT 대기업을 결제 서비스 제공 업체로 지정하고 디지털 지갑 규제 상태를 명확하게 해야 한다고 권고했다. 보고서는 또 정부와 업계가 협력해 더 광범위한 결제 서비스 생태계를 위한 전략 계획을 마련하고, 결제 시스템을 위한 포괄적인 단일 라이선스 프레임워크를 개발해야 한다고 건의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