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령화 시대 노인 부양, 가족 역할은 점차 축소 ‘공공 지원’을 늘려야
아시아 태평양 지역은 많은 선진국들보다 훨씬 빠르게 고령화되고 있다. 2022년에 60세 이상 노인인구 비중은 13.5%를 차지했다. 2050년에는 그 수치가 거의 두 배인 25.2%로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하지만 고령화에 대한 대비는 부족하다. 아시아개발은행(ADB)의 경제학자인 박동현, 키카와 아이코, 젬마 에스트라다가 아태 지역의 고령화와 경제 문제에 대해 일문일답식으로 정리했다. 관련 기사 : 인구 고령화에 준비 안 된 아시아, 노인 복지 시급하다 ■ 아시아 태평양 지역은 고령화 인구를 감당할 만큼 부유한가? 아시아 및 태평양 지역의 일부 국가는 원칙적으로 노인 인구의 복지를 지원하기에 충분한 자원을 보유하고 있다. 실제로 인구통계학적 변화는 한국과 싱가포르 등 이 지역에서 가장 부유한 국가에서 가장 먼저 진행됐다. 그러나 일부 중산층 아시아 및 태평양 국가에서는 현재 급속한 인구 고령화를 경험하고 있다. 가장 주목할만한 사례는 중국이지만, 스리랑카, 태국, 베트남 등은 인구 고령화가 진행되는 단계에 접어들고 있다. 전반적으로 아시아 태평양 지역은 선진국의 초기 경험에 비해 소득 수준이 낮은 고령화 현상을 겪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