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록체인 기반 결제 솔루션 기업 ‘리플’(Ripple)이 탈중앙화금융 ‘디파이’(DeFi) 시장을 공략에 본격적으로 나선다. 지난 3월 3일 가상자산 업계에 따르면 리플은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XRPL(XRP레저)의 주요 기능 업데이트와 향후 로드맵을 발표하며 디파이 확장을 위한 기술적 기반을 강화했다고 밝혔다. 이번 발표에는 네이티브 탈중앙화 거래소(DEX) 및 중앙지정가주문시스템(CLOB) 강화, 자동화 마켓 메이커(AMM) 도입, 분산형 신원증명(DID) 기능 추가, 프로토콜-네이티브 오라클 적용 등이 포함됐다. 특히 AMM 기능(XLS-30 표준)은 XRPL 내에서 스테이블코인 및 ‘실물자산 토큰화’(RWA)에 대한 유동성 제공을 강화하는 핵심 요소다. 기존 ‘중앙지정가주문시스템’(CLOB)과 통합돼 최적의 가격 경로를 자동으로 탐색하고 실행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또한, DID 기능을 도입해 기관과 개발자들이 신뢰할 수 있는 신원 검증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프로토콜-네이티브 오라클 기능’을 추가해 실물자산 평가 및 스테이블코인 금리 등의 외부 데이터를 온체인에서 직접 활용할 수 있도록 했다. 이번 업데이트의 핵심은 유동성을 확대하고
지난 2월 5일 실물연계자산(RWA) 토큰화 플랫폼 온도 파이낸스가 XRP 레저(XRPL)에 토큰화된 미국 국채를 도입하며 온체인에서 기관급 상품의 범위를 확장한다고 밝혔다. 이제 온도 파이낸스에서 기관 투자자들은 블랙록 USD 기관 디지털 유동성 펀드(BUIDL)가 지원하는 온도 단기 미국 국채(OUSG)에 접근할 수 있게 된다. 해당 상품은 엔터프라이즈급 미국 달러 기반 스테이블코인 리플USD(RLUSD)를 사용해 24시간 상시 발행 및 상환 가능하다. ‘리플’과 ‘온도 파이낸스’는 첫 도입 시 OUSG 유동성 공급(시딩)에 대한 약정을 체결하며 XRPL에서 토큰화된 RWA 채택을 촉진한다. 이는 오픈이든의 미국 단기 국채(T-BILL) 토큰화 도입에 이은 리플의 미국 국채 토큰화 투자 확장의 일환이다. ‘온도 단기 미국 국채’(OUSG)와 같은 토큰화된 미국 국채는 자본주의 시장에서의 유동성, 효율성, 투명성을 향한 기관의 수요에 따라 급격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온도 파이낸스는 XRPL에 OUSG를 도입함으로써, 온체인 솔루션으로 기관급 보안, 접근 가능한 유동성, 확장 가능한 탈중앙화 블록체인 기술 등 혜택을 제공한다. 마커스 인펜저 리플엑스(Ri
지난 1월 30일 자산운용사 그레이스케일(Grayscale)이 뉴욕증권거래소에 리플(XRP) 현물 ETF 상장을 위한 19b-4 서류를 제출했다. 이번 신청을 통해 그레이스케일은 현재 운영 중인 XRP 신탁을 ETF로 전환하고 이를 뉴욕증권거래소에 상장해 거래할 계획이다. 해당 신탁은 약 1,600만 달러(원화 약 210억 원)의 자산을 운용 중이다. 이번 리플(XRP) 상장지수펀드(ETF) 신청은 그레이스케일이 최근 라이트코인 ETF 및 솔라나 ETF 신청을 마친 지 며칠 만에 이뤄진 추가 조치다. 그레이스케일이 XRP ETF를 신청함으로써 현재까지 리플(XRP) ETF 출시를 추진하는 자산운용사는 총 7곳으로 늘어났다. 폭스 비즈니스 기자 엘리노어 테렛은 “다음 주 XRP ETF 신청 관련 추가적인 움직임이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며, “더 많은 자산운용사들이 유사한 ETF 상품을 출시하기 위해 미국 증권거래위원회에 신청서를 제출할 가능성이 높다.”고 전했다.
지난 1월 27일 가상자산 매체 더블록(The Block)이 가상자산 기업 리플이 미국 뉴욕주와 텍사스주에서 송금업 라이선스(Money Transmitter License, MTL))를 획득했다고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리플의 이번 송금업 라이선스를 통해 미국 내 이용자는 리플의 국경 간 결제 솔루션을 보다 원활히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리플의 결제 솔루션은 고객을 대신해 리플이 거래 전 과정을 관리하는 방식으로 운영된다. 리플은 이번 라이선스 취득으로 전 세계에서 확보한 송금업 라이선스 수가 55개를 넘어섰으며, 이 중 33개는 미국 내에서 발급받은 것이라고 밝혔다. 더블록 보도에 따르면 리플은 뉴욕주의 비트라이선스, 싱가포르 통화청의 주요 결제기관 라이선스, 아일랜드 중앙은행 및 케이맨 제도 통화청의 가상자산 서비스 제공자 등록 등을 보유하고 있으며, 두바이 금융서비스국으로부터 원칙적 승인을 받은 바 있다. 리플 조니 시에 북미 총괄 매니징 디렉터는 “금융 기관부터 가상자산 기업까지 블록체인과 가상자산 혜택을 활용해 빠르고 비용이 효율적인 상시 국경 간 결제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며 “리플은 이 산업에서 축적된 경험을 바탕으로 이러한 요구를 충
리플(Ripple)이 발행하는 스테이블코인(Stable Coin) RLUSD가 뉴욕주 금융서비스국으로부터 최종 승인을 받았다. 지난 12월 10일 리플 브래드 갈링하우스(Brad Garlinghouse) CEO는 SNS X를 통해 미국 뉴욕주 금융서비스국(NYDFS)로부터 RLUSD가 최종 승인을 받았다고 밝혔다. 이어서 곧 거래소와 파트너사들에게서 리스팅(Listing)이 시작될 예정이라고 예정을 남겼다. 지난 4월 리플 재단은 RLUSD의 출시 계획을 밝혔었고, 출시된 RLUSD는 리플의 XRP 레저와 이더리움 네트워크(ETH Netwrok)에 우선 지원될 예정이다. RLUSD는 지난 8월부터 테스트를 진행해왔으며 업홀드, 비트스탬프, 비트소, 문페이, 인디펜던트 리저브, 코인메나, 불리시 거래소를 출시 파트너로 선택했다. 리플은 RLUSD를 통해 안정적인 가치 보장과 글로벌 사용성을 기반으로 기업과 개인 사용자들에게 블록체인 기반 금융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
지난 6월 11일 엔터프라이즈 블록체인 및 암호화폐 솔루션 ‘리플’(Ripple)이 ‘XRP 레저’(XRP Ledger, 이하 ‘XRPL’) 기반의 혁신을 지원하기 위해 ‘XRPL 일본 및 한국 펀드’를 조성한다고 발표했다. ‘XRPL 일본 및 한국 펀드’는 양국에서 XRPL 기반의 혁신을 촉진하기 위해 다양한 이니셔티브를 지원할 계획이다. XRPL 일본 및 한국 펀드는 한국 및 일본의 선도 기업과 협력하여 XRPL의 사용을 통합하고 엔터프라이즈 사용 사례를 모색하는 기업 파트너십을 포함한다. 유망한 XRPL 기반 프로젝트에 자금, 기술 및 비즈니스 지원을 제공하는 개발자 보조금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XRP Ledger를 활용해 새롭고 흥미로운 사용 사례를 구축하는 신생 기업을 발굴하고 투자하는 스타트업 투자도 계획되어 있다. 이를 위해 지역 행사, 해커톤 및 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현지 XRPL 커뮤니티의 참여와 성장을 도모하는 커뮤니티 성장 프로그램도 포함되어 있다. 리플은 XRPL 개발자들에게 10억 XRP 규모의 재정적, 기술적 및 비즈니스 지원을 약속했으며, 이번 XRPL 일본 및 한국 펀드는 그 일환이다. 리플 전략 이니셔티브 부사장 에미 요시카와는
6월 2일 빗썸의 빗썸경제연구소가 마지막 리포트 ‘과거 사례로 알아보는 SEC vs. 가상자산 리플은 어떻게 될 것인가?’를 발행했다. SEC-리플랩스 소송 결과 예측을 통해 미국증권거래위원회(Securities and Exchange Commission, SEC)와 리플랩스의 소송 결과에 상관없이 리플의 거래 자체는 존속될 것으로 예상했다. 보고서는 과거 SEC가 가상자산의 증권성을 문제 삼아 행정 및 사법 조치를 취한 24건의 사례들의 사실관계와 고소장, 판결문 등을 분석하고, 과거 SEC 근무 경력이 있는 변호사와의 심층 인터뷰를 통해 리플의 향후 행보를 예측했다. 이를 통해 보고서는 리플랩스가 재판에서 패소하더라도 미국 유통시장에서 퇴출되지 않고 계속적으로 거래될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다. 그 근거로 SEC는 리플 재단의 투자자금 모집 등을 문제 삼아 미등록증권 발행 및 판매 행위 등에 해당하는 미국 증권법 5(a), 5(c) 위반을 이유로 소를 제기했다. 하지만 ①과거 동일 혐의를 받았던 재단들이 벌금형 등을 부과 받았을 뿐 상장폐지 되지 않았으며, ②SEC는 소 제기 시부터 현재까지 법원에 리플의 상장폐지에 대해서는 요구하지 않고 있다. 또 ③그간
지난 5월 18일 리플(Ripple)은 디지털 자산 커스터디(Custody) 기업 메타코(Metaco)를 2억 5,000만 달러(원화 약 3,300억 원)에 인수했다고 밝혔다. 이번 인수합병(M&A)은 메타코가 보유한 토큰화(Tokenization) 자산을 수탁 및 결제할 수 있는 기술을 확보하고 이를 통해 리플의 사업을 다각화하기 위함으로 해석된다. 메타코는 ▲리플의 고객층 ▲신사업을 시작할 자본 ▲은행과 기관 고객 지원을 위한 자원 등을 활용해 기업의 성장을 가속할 계획이다. 리플에 따르면, 현재 리플은 6개 대륙 55개 국가에서 고객층을 확보하고 있으며 70개 이상의 시장에서 결제 및 송금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브래드 갈링하우스 리플 최고경영자(CEO)는 “메타코는 디지털 자산 커스터디에서 역량이 입증된 기업”이라며 “이번 인수를 통해 암호화폐 핵심 분야에서 우위를 확보해 글로벌 입지를 다질 것"이라고 말했다. 모니카 롱 리플 사장은 “리플은 블록체인 솔루션 도입을 고민하는 전통 금융 기관의 이상적인 파트너로 2030년에는 그 규모가 10조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한다.”며 “이 기능을 리플에 추가함으로써 블록체인을 실질적으로 활용하고자 하는 조
글로벌 송금 기업 머니그램(Money Gram)이 스텔라루멘을 개발한 스텔라 재단의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해 결제 시스템 개발에 나선다. 2020년 12월 미국 증건거래위원회(SEC)가 리플 재단을 증권 판매 혐의로 고소하면서 규제 리스크가 불거지자 2021년 3월 머니그램은 리플롸의 파트너십을 종료한 뒤 대체할 파트너로 스텔라 재단을 선택했다. 지난 6일 블룸버그는 스텔라 재단과 2021년 4분기 안으로 블록체인 결제 파일럿 테스트에 착수할 것이라고 보도했다. 머니그램의 결제 시스템은 스텔라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활용해 스테이블 코인(Stable Coin)인 USD코인(USDC)을 전송하는 방식으로 구성한다. USD코인은 서클(Circle)이 발행한 스테이블 코인으로 미국의 달러와 1:1로 대응하는 스테이블 코인이다. 알렉스 홈즈 머니그램 회장은 "블록체인 기반 결제는 머니그램의 최우선 전략 중 하나”라며 “스텔라 재단과의 협력으로 블록체인 결제를 도입할 수 있게 됐다"고 밝혔다. 드넬 딕슨 스텔라 재단 최고경영자(CEO)는 "전세계에 구축된 머니그램의 네트워크를 바탕으로 어디서나 암호화폐와 법정화폐를 교환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크립토 글로브(Crypto Globe)에 따르면, 라쿠텐 월렛이 포인트를 암호자산으로 교환하는 서비스에 이어 암호자산 마진 거래를 지원한다. 런칭 예정은 2020년 봄이다. 일본의 인터넷 종합 서비스 기업인 라쿠텐(Rakuten) 그룹은 라쿠텐 이치바와 라쿠텐 증권사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으로 전자상거래 플랫폼에서 아마존 재팬과 함께 일본 내 1위를 다투는 이커머스(e-Commerce) 기업이다. 2019년 8월에 처음 런칭된 라쿠텐 월렛은 라쿠텐 은행을 중심으로 고객을 확보해 암호자산 보관 및 거래 기능을 제공 중이다. 2019년 12월에는 라쿠텐 그룹에서 사용하는 라쿠텐 슈퍼 포인트(Rakuten Super Point)를 비트코인(BTC), 이더리움(ETH), 비트코인 캐시(BCH)의 3종의 암호자산으로 교환하는 서비스를 라쿠텐 월렛에 출시했다. 이번에는 라쿠텐 월렛에서 보유한 암호자산의 마진 거래 기능을 제공할 계획이다. 라쿠텐 월렛은 현재 마진 거래를 이용하려는 고객들은 신청서 작성과 마진 거래 계좌 등록을 받는다. 1월에 일본 금융청(FSA)에서 마진 거래 레버리지를 4배에서 2배로 제한함에 따라 라쿠텐 우러렛에서 제공하는 마진 거래 역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