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4월 21일 관세청(청장 고광효)에 따르면, 2025년 1~3월 미국향 우회수출(Transshinpping) 행위가 3건, 적발금액은 285억 원으로 집계됐다. 지난 2024년 총 4건의 우회수출 행위가 적발됐고, 적발금액은 217억 원 규모였던 점을 감안하면 금액은 이미 넘어섰고, 횟수도 이미 근접했다. 대표적 사례로 중국인이 국내에 설립한 회사가 지난 1월에 중국산 2차전지 양극재를 미국으로 수출하다가 세관에 적발됐다. 25%에 이르는 고관세를 피하기 위해 양극재를 한국산으로 파장만 바꾸거나 국산 양극재와 혼합한 뒤 원산지를 국산으로 표기한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우회수출을 콕 집어 부정행위로 거론한 만큼 이를 차단하기 위한 방안 마련이 시급해졌다. 관세청 관계자는 “최근 미국 정부의 무역정책 변화에 따라 상호관세와 수입규제를 회피하기 위해 그 대상이 되는 제품들을 우리나라를 거쳐 우회 수출하는 행위가 크게 증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가장 많은 사례는 중국산 제품들이 ‘원산지 세탁소’로 한국을 활용하는 경우다. 지난 3월 중국산 폐쇄회로(CC)TV 카메라 등을 한국산으로 원산지를 둔갑한 뒤 미국으로 수출하기도 했다. 적발된
현대모비스가 전기차의 핵심 부품인 파워 일렉트릭(PE) 시스템 공장을 슬로바키아에 신설한다. 체코 공장, 스페인 공장에 이은 슬로바키아 공장은 3번째 전동화 거점이자 유럽에서 1번쨰 PE 생산 거점이 된다. 유럽에서 확산되고 있는 보호무역주의(保護貿易主義) 및 전기차 캐즘(Chasm)으로 속도 조절이 이루어지는 상황에서 현지화 전략을 통해 글로벌 시장 진출에 나선 것으로 보인다 지난 10월 15일 현대모비스는 슬로바키아 노바키 지역에 전기차에 공급될 파워 일렉트릭(Power Electirc) 시스템 신공장 구축과 질리카 공장 내 전기차 제동 시스템 생산을 위한 공장 신축을 위해 슬로바키아 정부와의 투자 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협약식은 슬로바키아 수도 브라타슬라바에 위치한 수상 공관에서 진행됐으며, 현대모비스 이규석 사장과 슬로바키아 로베르트 피초(Robert Fico) 총리가 참석했다. 현대모비스는 체코 공장에서 배터리 시스템(BSA)을 생산 중이며, 스페인 공장은 배터리 시스템 공정을 위해 건설 중에 있다. 슬로바키아 노바키 공장은 전동화 분야 중 파워 일렉트릭 공정이 들어서게 된다. 파워 일렉트릭은 전기 모터와 인버터, 감속기가 통합된 전동화 구동 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