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적 우호국과 세계 억만장자의 비자면제 혜택을 늘려라.” 베트남 현지 미디어 VnExpress에 3월 5일자 따르면 팜 민 찐(Pham Minh Chinh) 총리가 우호국과 억만장자에 대한 변화된 비자정책을 지시했다. ■ 빌 게이츠의 방문과 인도 제약사 4500명 방문 ‘특수’ 팜 민 찐 총리는 최근 국무회의에서 “전통적으로 우호적인 국가에 대한 비자정책을 검토하가라. 그리고 세계 억만장자에 대해 비자면제 혜택을 부여하는 방안을 연구하라”고 외교부와 공안부,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에 지시했다. 베트남은 올해 외국인 관광객 유치 목표를 2300만명으로 전년대비 약 30% 늘렸다. 비자정책 완화가 목표 달성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한 것이다. 현재 동남아에서는 말레이시아와 싱가포르가 162개국, 필리핀과 태국이 각각 157개국, 태국은 93개국을 무사증 입국 허용 국가로 지정하고 있다. 베트남은 3월 1일부터 연말까지 폴란드와 체코, 스위스를 비자 면제국(패키지투어 한정)으로 추가 지정했음에도 45일간 체류가 가능한 무비자 국가는 16개국에 불과하다. 이 때문에 동남아 국가의 다른 나라에 비해 경직된 비자정책을 펴고 있다고 지적이 많았다. 이번 정책 중 눈에
베트남 입국 외국인의 비자 면제 기간을 15일에서 30일로 연장된다. 현지 매체 비나타임즈는 1일 문화체육관광부의 요청에 따라 공안부는 관련 부처, 기관 및 지역과 협력하여 베트남의 무비자 입국 자격이 있는 국가 국민의 비자 면제 기간을 연장할 예정이라고 보도했다. 팜 민 친(Pham Minh Chinh) 총리의 지침 초안에 따르면 베트남은 해외 관광객 유치 활성화 차원에서 공안부(출입국관리국)측에 전자비자 플랫폼 기술 적용을 강화하고, 전자 비자 발급 절차를 개선도 제안했다. 베트남은 지난해 3월에 동남아국가 가운데 비교적 일찍이 코로나봉쇄정책을 풀었다. 외국인 관광객에 문을 활짝 열었다. 하지만 외국인 관광객 유치 결과는 예상치보다 낮았다. 지난해 베트남을 찾은 해외 관광객 수는 목표치의 70%에 그쳤다. 그 가장 큰 이유는 비자 기간으로 지적되었다. 응웬 반 훙(Nguyen Van Hung)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은 “15일인 무비자 체류기간은 외국인들이 충분히 여행하기에는, 특히 3~4주씩 머무는 경향이 있는 유럽관광객들에게는 너무 짧다”고 설명했다. 팜 민 친 총리는 동남아시아 지역의 다른 국가에 비해 덜 우호적이라며 “외국인 관광객에게 유리한 조건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