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일 자동차 브랜드 아우디(Audi)가 미국 수출 전면 중단 조치를 취했다. 독일의 자동차 전문 매체 ‘자동차 주간’(Automobilwoche)는 아우디아 미국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정책에 대응해 미국행 차량 인도를 중단했다고 보도했다. 지난 4월 2일 미국 트럼프 대통령 자동차 수입에 25%의 관세를 추가 부과하기로 하면서 글로벌 무역시장에 파장을 일으키고 있다. 이에 아우디는 4월 2일 이후 미국에 인도되는 아우디 차량을 압류할 것을 요청하면서 미국 내 딜러들에게는 기존 재고 차량들을 판매할 것을 전략적으로 내세웠다. 아우디 대변인은 “현재 미국 내에는 새 관세의 영향을 받지 않는 차량 약 3만 7천 대가 재고로 남아 있다.”며, “이 재고는 약 두 달간 판매를 유지할 수 있는 규모.”라고 설명했다. 아우디는 미국 내 자체 생산시설을 보유하고 있지 않아 미국에 판매되는 모든 차량은 전량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특히 미국에서 가장 인기 있는 SUV 모델인 Q5는 멕시코 공장에서 생산되며, 그 외 주요 모델은 유럽의 ▲독일 ▲헝가리 ▲슬로바키아의 공장에서 제조된다. 많은 전문가들은 아우디의 이번 조치가 미국 소비자들의 선택지를 줄이고, 독일-미국을 넘어 유럽
지난 24일 국토교통부가 총 76개 차종 21만 738대에 대해 제작결함이 발견돼 시정조치를 한다고 밝혔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한국지엠에서 제작 또는 수입, 판매한 라세티 등 5개 차종의 13만 4493대의 자동변속기 제어장치 내부의 용접불량으로 유압이 형성되지 않아 변속 및 가속이 되지 않을 가능성을 확인했다. 트래버스 175대는 연료펌프 내부 부품의 제조 불량으로 연료 공급이 원활하지 않아 시동이 꺼질 수 있다는 점도 확인됐다. 국토교통부의 리콜 조치의 대상이 된 차량은 한국지엠 공식서비스센터에서 무상으로 수리를 통해 점검 후 교체나 개선된 부품으로 교체를 받을 수 있다. 비엠더블유코라에서 수입·판매한 BMW 520d 등 44개 차종 6만 3332대는 엔진오일에 연료가 섞일 경우 타이밍체인의 윤활이 제대로 되지 않아 체인이 마모되고, 이로 인해 타이밍체인이 끊어져 시동이 꺼질 수 있다는 점이 확인됐다. BMW 530e iperformance 등 6개 차종 1257대는 고전압배터리 셀의 생산과정에 셀 내부에 이물이 완벽하게 제거되지 않을 수 있다는 점, 이물이 셀 내부에 남아있을 경우 배터리 단락으로 화재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어 리콜 조치를 취했다. 또
“완성차 기업이 문을 닫으면 계약을 맺은 부품업체들도 당연히 연쇄적인 피해를 입습니다.” 빅 3로 대표되는 미국 자동차 산업도 2주간 생산중지를 발표한 가운데, 독일도 자동차 생산라인 가동을 중지하는 결정을 내렸다. KOTRA 뮌헨 무역관에 따르면, 독일 자동차 산업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코로나19)이 확산되면서 2020년 3월 중순부터 최대 4월 19일까지 자동차 생산라인 가동을 중지한다는 결정을 내렸다. 폭스바겐, BMW, 벤츠, 아우디를 비롯해 유럽 소재 완성차 기업들이 생산라인 가동을 중지하면서 자동차 산업 전체의 위축이 우려되는 상황이다. BMW는 4월 19일까지 유럽 내의 모든 생산라인을 포함해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공장에서도 생산라인 가동 중단을 결정했다. 그리고 2020년 자동차 사업부 영업이익 예상치를 기존 6~7%에서 2~4%로 하향조정했다. 가장 먼저 생산라인 가동 중지를 결정한 폭스바겐은 재택근무 시행과 단축근무를 병행할 것을 발표했다. 현재 피해 규모를 추산할 수 없기 때문에 상황이 종료된 이후 손실 규모를 예측할 것으로 보고 있다. 한편, 자동차 생산라인 가동의 중지를 연쇄적인 피해를 발생할 것으로 보인다. 당장 보쉬(Bos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