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워드 동남아>(2022년)를 단숨에 읽었다. 또 서평을 위해 자투리 시간에 몇 번 더 읽었다. 30개의 주제로 읽는 동남아시아의 역사, 문화, 정치다. 각 분야별 주제들을 딱딱하지 않고 쉽게 풀어 썼다. 일간지 연재 글이라서 그런지 글이 임팩트도 있다. 특히 이 책을 읽으면서 동남아를 제일 잘 표현한다는 '다양성 속 통일(unity in diversity)'이라는 말이 떠올랐다. 동남아시아 역사, 문화, 정치의 다양한 이슈들을 다루면서도 그 지역적 정체성이 잘 드러나 이 지역을 이해하는데 매우 유용했다. ■ 신윤환 교수의 서강대 후배 동료-제자 의기투합...동남아 문화 길라잡이 톡톡 요새 국내에서 저출산-고령화 대책의 일환으로 동남아 도우미를 활용하자는 방안이 공론화되고 있는 시점에 동남아 문화를 이해하는 길라잡이 역할도 할 수 있겠다. 신윤환 서강대 명예교수의 <동남아 문화 산책: 신윤환의 동남아 깊게 일기>(2008) 이후에 읽을만한 동남아 관련 교양서다. 신윤환 교수의 서강대 후배 동료들과 제자가 의기투합해 쓴 책이다. 선배와 후배의 책을 같이 읽어보면 더 재미가 있지 않을까 싶다. 양쪽을 모두 아는 나야 이렇게 재미 삼아 비교
지난 5월 22일 가상자산 매체 코인긱(Coingeek)은 자메이카가 중앙은행 디지털화폐(CBDC, Central Bank Digital Currency)를 도입한 ‘디지털 마켓플레이스’를 곧 공개할 예정이라고 보도했다. 자메이카 현지 매채 ‘자메이카 옵저버(Jameica Observer)’를 인용해 자메이카 산업통상부가 주도하는 ‘디지털 마켓플레이스’ 이니셔티브는 자메이카 CBDC ‘JAM-DEX’와 관련된 지표를 개선하기 위해 고안됐다. 지난 4월 개최된 ‘엑스포 자메이카(Expo Jamaica) 2023’에서 오빈 힐(Aubyn Hill) 자메이카 산업투자통상부 장관은 빠른 시일 내 새로운 사용자를 온보딩할 디지털 마켓플레이스를 출시하겠다고 공개했다. 힐 장관은 “디지털 마켓플레이스는 CBDC를 사용하여 상품과 서비스를 결제할 수 있는 전자 상거래 플랫폼으로 운영될 것”이라며 “국가 차원의 이커머스 플랫폼을 구축하면 CBDC의 사용이 늘어날 것이라고 확신한다.”고 밝혔다. 이어서 “현재 소수의 개인‧기관이 CBDC를 도입하고 있지만, 참여자가 많아질수록 CBDC의 성장 가능성은 매우 높아질 것.”이라며 “새로운 젊은 기업 참여가 많아질수록 건전한 경쟁이
자메이카 중앙은행(Bank of Jamaica)가 중앙은행 디지털화폐(CBDC, Central Bank Digital Currency)의 구축을 완료하고 해당 과정을 시연했다. 지난 8월 11일 자메이카의 CBDC ‘JAM-DEX’의 구축을 완료했음을 공식 발표한 자메이카 중앙은행은 8월 10일에 열린 재무회의에서 구축 과정을 시연했다. 디지털 자메이카 달러 발행 과정에는 나이젤 클라크 자메이카 재무장관, 리처드 바이어스 중앙은행 총재, 아일랜드 테크놀로지 기업 이커런시 민트의 경영진이 참여했다. 자메이카 중앙은행은 CBDC 형식으로 예금 기관과 라이선스 페이 서비스(Licence Pay Service) 제공업체들에게 총 2억 3,000만 디지털 자메이카 달러(원화 19억 3,650만 원)를 발행할 계획이며 시범사업은 2021년 12월 종료될 것으로 알려졌다. 클라크 장관은 자메이카 정부가 디지털 통화 프로그램을 발전시키는 데 빠른 진전을 이뤘다고 평가했다. CBDC는 디지털 경제를 만드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할 것이며 자메이카 CBDC는 2021년 연말까지 법적 기반을 제공하기 위한 입법안이 진행되고 있다. 자메이카 중앙은행은 CBDC가 국민에게 많은 혜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