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최대 전기차 업체인 BYD가 자사 모든 차량에 최첨단 자율주행 시스템을 탑재한다고 밝혔다. 지난 2월 10일 비야디(BYD) 왕촨푸 회장은 중국 선전 BYD 본사에서 BYD의 최첨단 자율주행 시스템인 ‘가즈아이’(God’s Eye)를 소개하며 “운전자의 개입 없이 1,000㎞ 이상을 자율주행할 수 있고 주차 성공률도 99%에 달한다.”고 말했다. 이어 “가즈아이는 모든 고객이 스마트 운전에 접근할 수 있는 새로운 시대를 열 것.”이라며 “이는 지난 7년간 5,000명의 엔지니어가 열심히 연구한 결과다.”라고 덧붙였다. 올해 가즈아이는 BYD 전국 판매량의 ⅔에 해당하는 1,500만대 신차에 탑재될 예정이다. 특히 ‘가성비’ 높은 자율주행을 선보이겠다는 점을 강조했다. 왕촨푸 회장은 “현재 자율주행의 가장 큰 장애물은 높은 비용이다. 자율주행 기술이 탑재된 차량은 가격이 20만 위안(원화 약 3,900만 원) 이상인데 좋은 기술은 모든 사람이 접근 가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는 중국의 저가 추론 인공지능인 딥시크(Deepsik)가 공개되면서 자율주행 시스템의 개발비용도 저렴해질 것으로 기대되는 것으로 풀이된다. 왕촨푸 회장은 “더 많은 사람이 자율주
지난 1월 12일(현지시간) DPA통신은 자동차 부품기업 보쉬(Bosh)가 중국에 새로운 연구개발(R&D)센터를 설립해 신에너지차와 자율주행용 부품을 생산할 계획이라고 보도했다. 보쉬는 이 회사가 계획한 총 투자액은 약 9억 5,000만 유로(원화 약 1조 2,681억 원)으로 강소성 쑤저우에 투자해 중국 자동차 기업들을 주요 고객으로 대상으로 2024년 중 완공을 목표로 한다. 보쉬그룹 스테판 하톤 이사회 의장은 성명에서 “쑤저우(강소성)의 새로운 첨단 연구기지구축으로 현지 시장에서 연구개발과 제조 기술을 고도화하고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다.”고 밝혔다. 보쉬는 이미 중국 쑤저우에 여러 공장을 운영하고 있다. 쑤저우는 세계에서 가장 큰 제조‧연구개발지 중 하나다.
자율주행 SW를 개발하는 ‘서울 로보틱스’가 308억 규모의 시리즈B 투자를 유치했다. 시리즈B란 본격적인 사업 확장 단계에서 받는 투자를 의미한다. 이번 투자에는 KB인베스트먼트, 퓨처플레이, 노앤파트너스, KB증권, KDB산업은행 등이 참여했다. 지난 2017년 설립된 서울로보틱스는 자율주행의 눈으로 불리는 3D 라이다(LiDAR)를 개발했다. 인프라를 통한 자율성(ATI)이란 새로운 접근법을 제시해 자율주행 시스템을 각 차량이 아닌 인프라에 배치하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지능형 교통 네트워크를 확장하는 방식으로 사각지대를 없애 안전성을 높인 게 장점이다. ‘서울로보틱스의 독자적인 ATI 솔루션 '‘레벨 5 컨트롤 타워'는 핵심 3D 인식 기술 ’SENSR‘로 구동된다. ‘SENSR’은 5년 동안 구축한 딥러닝 기술로 악천후에서도 고해상도의 인지를 제공하는 3D 컴퓨터 비전 소프트웨어로 ‘서울로보틱스’는 이 기술력을 바탕으로 독일 BMW 공장에서 완성차 물류 자율주행에 상용화를 시작했다. 서울로보틱스는 이번 투자를 계기로 렌터카 차량 및 트럭 운송장과 같은 추가 물류 응용을 위한 기술 개발에 집중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인프라 기반 자율주행 솔루션을 물
포포티투닷(42dot) 현대자동차 그룹(이하 ‘현대차’)가 모빌리티 플랫폼(Mobilit Platform) 개발 스타트업 포티투닷(42dot)을 인수한다. 지난 8월 12일 현대차는 포티투닷의 주식 212만 9,160주를 2,747억 원에 추가 취득한다고 공시했다. 이로써 현대차는 포티투닷 지분 55.9%를 보유하게 됐다. 기아(KIA)도 포티투닷의 주식 118만 6,106주를 1,530억 원에 추가 취득했다고 공시했다. 주식 취득 뒤 기아의 포티투닷 지분율은 37.3%가 됐다. 양사는 이번 주식 취득의 목적을 모빌리티 서비스‧소프트웨어 관련 사업 역량 제고라고 밝혔다.
“글로벌 미래도시의 경쟁력 키웠다” ‘스마트시티 아시아 2022(Smart City Asia 2022, 이하 스마트시티 아시아)’가 지난 5월 26~28일 호치민 사이공 전시컨벤션센터(SECC)에서 성공리에 개최됐다. 인공지능(AI), 빅데이터, 클라우드, 자율주행, 사물인터넷(IoT), 블록체인 등의 첨단 정보통신기술(ICT) 활용 기업들이 참여하여 스마트시티 산업의 최신의 기술력 보여줬다. 중소기업중앙회는 중소벤처기업과 공동으로 국내 우수 중소기업 23개사와 함께 한국관을 구성해 베트남 스마트시티 시장 진출을 지원했다. 올해 스마트시티 아이사에서는 베트남 최초의 도시 안의 도시, 투득(Thu Duc) 신도시의 4차 산업혁명 경제 성장을 위한 스마트 도시 설립 계획 내용을 공유했다. 도시 개발에 사용된 첨단 플랫폼, 기술-사회적 인프라, 스마트 빌딩 기술 및 솔루션을 선보였다. 더불어, 전시장 내에서는 메타버스 체험장이 구성되어 가상세계에서 스마트시티를 경험할 수 있는 관을 구성하여 실감형 콘텐츠를 제공했다. 이와 함께 스마트시티 아시아에서는 스마트 시티 프로젝트 구현을 통해 민관 파트너십을 일으키고 사회적 자원을 효과적으로 활용하고 디지털 기술 플랫폼을
미국 전기차 기업인 테슬라(Tesla)의 자율주행 차량 5만 4000여 대가 리콜될 예정이다. 테슬라의 완전 자율주행 베타 버전을 탑재한 미국 내 테슬라 차량에서 소프트웨어 결함이 발견되어 리콜 조치를 당했다. FSD 소프트웨어가 정지 신호에서 완전히 멈추지 않고, 속도만을 약간 줄인 뒤 그대로 주행하는 ‘롤링 스톱(Rolling Stop)’을 허용해 정지가 필요한 교차로에서 안전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는 우려에 따라 이루어진 조치다. 미국 도로교통안전국에 따르면 리콜 대상은 2016∼2022년 판매된 모델S·X, 2017∼2022년 모델3, 2020∼2022년 모델Y 차량이다. 테슬라는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를 통해 ‘롤링 스톱’ 기능을 해제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미국의 전기자동차 기업 테슬라(Tesla)가 자율주행 소프트웨어 결함에 1만 2000대 차량에 리콜 조치를 시행했다. 11월 2일(현지시각) 미국 도로교통안전국(NHTSA)는 테슬라가 2017년부터 지금까지 미국에서 판매된 차량 가운데 1만 1704대에 대해 리콜(Recall) 조치를 취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했다고 발표했다. 리콜 사유는 테슬라 차량에 탑재된 자율주행 소프트웨어의 결함으로 전방 충돌 경고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긴급 제동 장치가 갑자기 활성화 돼 주행 시 문제가 발생할 위험이 있다는 것이다. 리콜 모델은 2017년부터 판매된 모델S‧모델X‧모델3과 2020년부터 판매된 모델Y 중 2021년 10월 23일 탑재된 소프트웨어가 탑재된 차량이다. 테슬라는 자율주행 보조 기능의 기본 옵션인 오토파일럿(Autopilot)에 추가 옵션인 완저자율주행 기능을 출시하고 제한된 고객에게 기능을 제공해 도로 주행 데이터를 수집해왔다. 도로교통안전국(NHTSA)는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다음날인 10월 24일부터 고객들이 전방충돌 경고나 자동 긴급 제동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신고가 들어왔고, 테슬라는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를 삭제한 새로운 업데이트 버전을 배포
온디맨드 모빌리티 기업인 ㈜씨엘(대표이사 박무열)이 인천광역시에서 시범 운영 중인 아이모드(I-MOD)버스의 총 누적 운행 거리가 100만㎞를 넘어섰다고 밝혔다. 아이모드는 2020년 10월 정식 운행을 시작했으며, 운행 10개월 만에 100만㎞를 넘기게 됐다. MOD는 Mobility on Demand의 줄임말로 버스가 승객들의 호출에 따라 목적지까지 이동 경로를 실시간으로 변경‧운행하는 모빌리티 서비스다. 인천 아이모드의 경우 2019년 국토교통부 주관의 스마트시티 챌린지 사업 목적으로 추진됐고, 2022년까지 본 사업을 진행하는 중이다. 아이모드는 정해진 사업 구역 내에서 운행계통‧운행시간‧운행횟수를 탄력적으로 적용하며, 인천 아이모드 버스는 2020년 10월부터 영종 국제도시를 시작으로 2021년 7월 송도국제도시, 남동국가산업단지로 운행을 확대했다. I-MOD 버스 이용자 역시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2분기(6월 말) 기준 I-MOD 가입자 수는 1만5068명으로 올해 초 대비 약 2.8배 증가했고 하루 평균 362명이 I-MOD 버스를 이용하고 있다. 탑승객의 평균 대기시간은 약 15분 30초로 영종 국제도시 공영버스의 평균 대기시간(78분)보다
인천에 위치한 연세대학교 송도캠퍼스에서 자율주행 배달로봇 ‘뉴비(Newbie)'가 무인 주행에 성공했다. 뉴비를 개발한 스타트업 뉴빌리트는 자율주행 로봇을 위한 소프트웨어를 개발하는 기업으로, 로봇의 경로를 파악해 가장 적합한 운행경로를 설정하는 기술 특허를 보유 중이다. 현대자동차, SK텔레콤, 한컴인스페이스, 연세대학교 글로벌융합공학부 등과 공동기술개발과 기술검증(PoC)를 진행 중이다. 뉴빌리티에 따르면, 지난 2월 23일 연세대학교 교내 편의점에서 연구실까지 이동한 뉴비는 약 5시간 동안 31건의 배송업무를 완수했다. 최고 속도는 6㎞/h, 기본 주행 속도는 3.8㎞/h이며, 총 주행 거리는 17.64㎞다. 배터리 용량은 60L며 배터리 완충 시 최대 6시간 동안 운행이 가능하다. 2020년 3월 연세대학교 글로벌융합공학부 김시호 교수 연구팀과 라스트마일(Lastmile) 로봇자율주행 기술 개발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한 뉴빌리티는 이번 실외 자율주행 배달로봇의 기술 연구를 공동으로 진힝했다. 뉴빌리티 이상민 대표는 “2021년 9월부터 연세대학교 송도캠퍼스에서 실외 자율주행 배달로봇 30대를 실증 운행할 계획”이라며 “또한 지속적으로 자율주행
5G 에지 클라우드 서비스인 ‘SKT 5GX 에지’를 상용화하기 위해 SK텔레콤이 아마존웹서비스(AWS)와 협력한다. SK텔레콤은 국내에 자율주행과 스마트 의료 등 다양한 방면에 5G 환경을 적용·추진할 계획이다. ‘SKT 5GX 에지’는 5G MEC 인프라에 AWS 웨이브랭스(AWS Wavelength)를 적용한 서비스로 초저지연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구축을 돕는 역할을 한다. ‘SKT 5GX 에지’를 사용하면 클라우드에 접속할 때 인터넷이나 지역 통합 사이트를 거치지 않고 통신사에 있는 웨이브랭스 존(AWS Wavelength Zone)으로 빠르게 연결할 수 있게 된다. 어플리케이션 개발사들은 기존에 제공하던 AWS의 환경과 동일한 개발환경에서 혁신적인 서비스를 개발할 수 있게 된다. SKT와 AWS는 대전에서 국내 첫 AWS 웨이브렝스 존을 가동했으며, 2021년에는 서울 등 다른 지역에도 인프라를 지속 확충해 나갈 계획이다. SK텔레콤 유영상 MNO 사업대표는 "SK텔레콤은 AWS와의 협업을 통해 프라이빗 5G와 에지 클라우드를 결합함으로써 게임, 미디어, 유통, 제조 등 산업별 혁신모델을 발굴하고 확산하는 데 앞장설 계획이다"고 밝혔다.
자율주행 스타트업 ZOOX가 자율주행 택시를 공개했다. 2014년 설립된 ZOOX는 자율 주행 소프트웨어와 온 디맨드 라이드 쉐어링 앱 등을 개발하는 자율주행 스타트업이다. 지난 6월 크로스보더 이커머스(Cross Border E-Commerce) 기업인 아마존(Amazon)에 인수됐다. ZOOX는 6년간의 개발 끝에 첫 자율주행 택시를 기업 비전의 발표 자리에서 공개했다. 전체적인 외형과 탑승형태는 기차의 열차와 유사하다. 자율주행 택시에는 133kWh의 배터리가 탑재됐고 1회 충전에 16시간 주행이 가능하며 공개된 최대 속도는 120km다. 운전석과 조수석이 없으며, 4명의 승객이 정원으로 2명씩 마주 않는 구조를 택했다. 운전석이 없기 때문에 스티어링 휠과 가속 페달, 브레이크가 없다는 점이 특징으로 전통적인 세단 형태에서 벗어나 박스카 형태를 메인 디자인으로 채택할 수 있었다. 이에, 모서리 네 곳에 카메라와 레이더 등을 설치해 사각지대를 없애고 360도의 시야각을 보유할 수 있었고 경제성과 안전성을 높였다. 양방향 주행이 가능한 구조기 때문에 방향 전환도 쉽다. 또한, 박스카 형태로 공간의 효율성이 높아 아마존이 승객 운송 외에도 상품 배송에도 활용
월마트(Walmart)가 2021년부터 자율주행 배송을 시작한다고 밝혔다. 월마트는 2021년 아칸소(State of Arkansas)에서 약 18개월 간 완전 자율 주행 차량을 이용해 배송을 시작할 예정이다. 자율주행 스타트업 가틱(Gatik)이 월마트의 자율주행 서비스를 지원한다. 토론토에 본사를 둔 가틱은 자율주행체 필요한 센서와 소프트웨어(SW)를 월마트에 납품하고 가틱의 기술이 접목된 자율주행 배송용 박스 트럭은 아칸소주 벤튼빌에서 비공개 테스트 중이다. 테스트 차량은 약 70,000mile(약 112,654km)의 거리를 주행했고 이 기술을 통해 2021년에 운전자 없는 배송 트럭 운행을 시행할 계획이다. 아칸소주에서 선보일 자율주행은 트럭은 고객이 주문을 취소할 경우 지정된 픽업 위체에 제품을 반납하고, 이를 수거하는 용도로 쓰인다. 성공적으로 테스트를 진행하게 되면 루이지애나(State of Louisiana)의 뉴올리언스(New Orleans)를 연결하는 장기 노선으로 서비스를 확장할 계획도 있다고 밝혔다. 가틱(Gatik)의 가우탐 나랑(Gautam Narang)은 공동 창업자 "아칸소주에서 진행되고 있는 자율주행 배송 비공개 테스트를 통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