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인 플리케이션 운영사 라인야후(LY)가 지난해 불거진 사진 노출 오류 문제와 관련 일본 정부로부터 행정지도를 받았다. 지난 3월 29일 요미우리신문에 따르면, 일본 총무성은 전날 이데자와 다케시 라인야후 사장에게 전기통신사업법이 규정한 ‘통신의 비밀’과 관련해 철저한 재발 방지를 촉구하는 행정지도 문서를 전달했다. 지난해 11월 라인에서는 사진을 보존하는 '앨범' 기능과 관련해 다른 이용자 사진이 표시되는 일이 발생했다. 일본 안팎에서 약 13만 5000명이 이같은 오류를 경험했으며, 원인은 사진 처리 시스템을 갱신하는 프로그램 문제로 밝혀졌다. 총무성은 “이용자에게 미치는 영향이 크고 전기통신사업에 대한 신뢰가 크게 손상됐다.”고 지적했다. 라인야후 측은 “행정지도를 진지하게 받아들여 재발·피해 확대 방지책을 철저히 추진하겠다.”고 답했다. 일본 정부는 지난 2024년에도 라인 앱 정보 유출을 계기로 행정지도를 송달하면서 자본관계 재검토 요구를 같이 내렸다.. 이 때문에 한국에서는 일본이 네이버로부터 라인야후 경영권을 빼앗으려는 것 아니냐는 논란이 2024년 중반 최대 경제적・외교적 이슈로 부상했다. 라인야후 최대 주주는 네이버와 소프트뱅크가 설립한 합작
일본의 인구가 2015년 이후 약 0.7%에 해당하는 94만여 명이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 일본 총무성은 2020년 인구 조사 결과를 발표하면서 2020년 10월 1일 기준 외국인을 포함한 총 인구는 1억 2614만 6000명으로 2015년 조사 때와 비교해 94만 9000 명이 줄었다고 발표했다. 경제 활동 주체인 생산 가능 인구(15~64세)는 7508만 8000 명으로 최근 5년간 22만 6000 명이 감소했고, 14세 이하 아동 인구는 1503만 2000 명으로 6% 감소했다. 65세 이상 인구는 3620만 7000 명으로 7% 증가해 저출산과 고령화 추세가 뚜렷해졌다. 1인 가구 증가로 일본 총 가구 수는 5570만 가구로 사상 최대를 기록했다. 1인 가구는 2115만 가구로 전체 가구의 38%를 차지해 고령자 가정의 ‘고독사’ 등 사회 문제의 한 원인이 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는 실정이다. 도(道), 부(府), 현(县) 등 일본 행정구역 47개 중 39개 지역 인구가 줄었으며, 인구 감소 폭이 가장 큰 곳은 아기타현(秋田县)으로 6.2% 감소했다. 후쿠이(福井), 와카야마(和歌山) 등 10개 현 인구는 100만 명을 밑돌았다. 일본 인구 조사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