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글로벌 투자 기업 블랙록(BlackRock)이 이끄는 투자 그룹이 190억 달러를 투자해 파나마 운하 항구의 운영권을 확보했다. 지난 3월 4일 프랑스 경제지 레제코(Les Échos)는 블랙록의 파나마 운하 투자 소식을 보도하면서 중국의 영향력 감소에 대해 언급했다. 이번 투자로 인해 월스트리트의 투자 펀드와 일부 투자자들은 현재 홍콩 창장허지 실업유한공사(長江和記實業有限公司, CK Hutchison Holdings)가 운영하는 발보아(Balboa)와 크리스토발(Cristóbal) 항구의 90% 지분을 인수하게 됐다. 두 항구는 파나마 운하의 양측에 위치해 있으며, 국제 무역에 있어 전략적으로 중요한 거점으로 CK 허지 항구 홀딩스는 두 항구의 총 가치를 228억 달러(원화 약 33조 1,170억 원)로 산정한 것으로 알려졌다. 또한, 블랙록은 CK 허지의 또 다른 기업 지분 80%를 추가로 매입할 계획이다. CK 허지는 전 세계 23개국에서 43개 항구를 운영하며, 199개의 부두를 보유하고 있다. 이번 딜에는 중국 본토에 위치한 항구는 포함되지 않았다. 이번 인수는 블랙록을 비롯해 글로벌 인프라 파트너스(Global Infrastructure P
미 국무부가 밝힌 “미국 정부 소유 선박의 파나마 운하(Panama Canal) 통과시 통행료 무료.”에 대해 파나마 운항청은 “통행료 변경은 없다.”는 입장을 내놨다. 지난 2월 5일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파나마 운하청’(Panama Canal Authority)은 성명을 통해 운하 통행료나 통과 권리에 대해 어떤 변경도 없다고 밝혔다. 미국 국무부가 미국 정부 선박이 파나마 운하를 지날 때 통행료를 내지 않아도 된다고 발표한 것에 대해서 반박 입장문이다. 운하청은 성명을 통해 “파나마 운하청은 책임감 있게 운영되고 있으며, 미국이 전시(Wartime) 선박 통과와 관련해 미국 당국과 대화를 나눌 의사가 있다”고 밝혔다. ‘전시 선박’은 군사작전 중인 군함뿐 아니라 ▲군수품 운반선 ▲병력 수송선 등이 포함될 것으로 보인다. 이번 발표는 미국과 파나마 간의 운하 통과 관련 논란이 불거지는 가운데 나온 것으로 파나마 운하청이 미국과의 협력을 지속하면서도 운하 운영의 자주성・독립성을 가지겠다는 것으로 해석된다. 미 국무부는 공식 소셜미디어 엑스(X・옛 트위터) 계정을 통해 “파나마 정부가 더는 미국 정부 선박에 대해 파나마 운하 통행료를 부과하지 않기로 합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