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022년 11월 필리핀의 국가 부채가 소폭 증가해 13조 6,400억 페소(원화 약 310조 7,192억 원)에 도달했다. 필리핀 재무부는 국가부채가 지난 10월보다 0.02%(31억 5,000만 페소) 증가해 사상 최고 수준을 경신하게 됐다고 발표했다. 2021년 부채 또한 1조 9,200억 페소(원화 약 43조 7,184억 원)으로 2020년 대비 16.33% 증가했다. 미결제 채무는 대부분은 현지에서 발생했고 국내 부채는 0.78% 증가한 9조 4300억 페소를 기록한 반면 외국 자금은 1.62% 감소한 4조 2200억 페소였다. 2022년 10월 경우 환율이 약 15% 급등했다. 당시 전 세계가 달러화 초강세로 휘청이는 가운데, 필리핀 역시 달러 대비 페소 환율이 18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하면서 필리핀의 대외 부채도 자연스럽게 증가했다. 2022년 10월 블룸버그는 아시아 외환위기에 취약한 곳으로 무역 상황이 좋지 않은 국가들을 꼽았다. 한국의 원화, 필리핀 페소, 태국 바트 등 경상수지 적자 상태에 있는 국가의 통화가 가장 취약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필리핀 페소(PHP)가 2020년 들어 아시아에서 최고의 상승치를 거둔 화폐로 기록됐다. 페소화는 필리핀의 경제 약세와 수입 감소로 미국 달러(USD) 대비 약 4%의 강세를 보였다. 지난 9월 13일 미국 언론사 CNBC는 필리핀의 경제가 약해지면서 수입이 줄어들면서 페소화가 2020년 연내 아시아에서 가장 환율 상승치가 높은 화폐였다고 보도했다. 필리핀 페소 외에는 중국 위안(CNY), 대만 달러(TWD)가 달러화 대비 상승세를 기록했다. 필리핀은 수출 대비 수입이 급격히 감소세를 기록했으며, 경상수지가 흑자로 전환되는데 도움이 됐고, 통화에 이익이 되는 것으로 경제학자들은 분석했다. 동남아시아 국가들은 코로나19(COVID-19)를 억제하기 위해 봉쇄 조치를 취했으며, 필리핀은 그 영향으로 수입이 감소했다. 수입 하락이 수출 하락보다 더 빠르게 진행되면서 필리핀의 통화 상승으로 이어졌다. 경상 계정(current account)은 상품의 수입과 수출, 국경을 초월한 투자, 외국 원조와 같은 이전 등 한 나라의 나머지 국가들과의 총 거래를 측정하는데, 수입의 지속적인 하락이 외환에 대한 수요를 억제해 필리핀 페소에 대한 단기적 약세로 이어지는 것으로 보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