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최대 정치 행사인 양회(‘전국인민대표대회’・‘전국인민정치협상회의’)가 오는 3월 4일부터 본격적으로 시작된다. 중국의 경제 정책 방향을 결정하는 중요한 자리로 2025년 중국의 경제 성장 목표와 AI 기술 육성 방안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중국은 최고 국정 자문 기구인 전국인민정치협상회의(이하 ‘정협’)는 3월 4일, 명목상 최고 권력기관으로 국회 격인 전국인민대표대회(이하 ‘전인대’)는 3월 5일에 개막식을 개최하고 양회를 시작한다. 일주일 가량 진행되는 이 회의에서는 중국 경제 성장률 목표와 주요 경제 정책이 발표될 것으로 보인다. 전인대 개막식에서 발표될 국무원 총리의 정부 업무 보고에서는 올해 국내총생산(GDP) 목표가 제시된다. 지난 2024년 중국 정부는 5% 안팎의 성장률 목표를 설정했으며 적극적인 경기 부양 정책을 통해 실제 성장률 5.0%를 기록했다. 올해 역시 5% 수준의 성장 목표가 제시될 가능성이 크다. 국제통화기금(IMF)과 아시아개발은행(ADB)은 올해 중국의 성장률을 4.5%로 전망했고 세계은행(WB)은 4.3%,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는 4.7%로 예측했다. 하지만 시진핑 국가주석이 2035년까지 GDP를 2019년의
중국 공산당 중앙위원회 3차 전체회의( 이하 ‘3중 전회’)가 3월 양회(兩會․전국인민대표대회와 전국인민정치협상회의) 이전 개막이 무산됐다. 중국 시진핑 주석 3기의 주요 경제정책 방향을 점칠 수 있는 ‘3중 전회’가 뒤로 밀리면서 3월 4일에 개막하는 연례 최대 정치 행사인 양회로 시선이 집중되고 있다. 2024년 양회에서는 중국 경제의 발목을 잡고 있는 부동산 문제를 집중적으로 다뤄 대형 국유은행을 중심으로 해결을 시도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지난 2월 29일 중국 시진핑 국가주석이 주재한 중국 공산당 중앙정치국 회의가 끝난 후 3월 3일까지 ‘3중 전회’와 관련된 언급이 나오지 않았다. 홍콩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가 지난 2월 말에서 3월 초에 양회 개막 직전 ‘3중 전회’ 개최 가능성을 제기했으나 일정이 확정되지 못했다. 임기 5년 동안의 경제정책 청사진을 보여줬던 3중 전회는 관례대로면 지난 2023년 10월 전후에 열렸어야 했지만 이유 없이 미뤄졌다. 중국의 경제 둔화를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지며 3중 전회에서 해법을 제시할 것이라는 전망이 흩어지면서 시선은 이제 3월 4일에 개최되는 양회에 집중되기 시작했다. 지난 2월 27일에는 ‘전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