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러・원 환율이 15년 9개월 만에 최고치를 경신(更新)했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2024년 올해 마지막 회의에서 ‘매파적 인하’를 단행한 여파(餘波)다. 또한, 12・3 비상계엄 이후 대통령 탄핵소추권이 가결된 뒤 한덕수 국무총리가 대통령 권한대행이 된 이후에 권한대행에 대한 탄핵소추가 제기되면서 정치적 불확실성이 여전히 제기된 탓이다. 12월 27일 서울 외환시장에서 달러・원 환율은 전 거래일 1,464.8원 대비 2.7원 오른 1,467.5원에 출발했다. 이는 장 시작가 기준 지난 2009년 3월 16일(1488.0원) 이후 최고치다. 전날 달러・원 환율은 주간 종가 기준(오후 3시 30분) 글로벌 금융위기 때인 지난 2009년 월 13일(1483.5원) 이후 최고치로 마감했는데, 정규 장 이후 한때 ‘1,470.0원’ 고점을 기록하기도 했다. 야간 거래에선 1469.6원(오전 2시 기준)에 마감하며, 1,470원을 계속 위협했다. 앞서 연방준비제도이사회(FOMC)는 올해 마지막 회의에서 기준금리를 내렸지만, 2025년 금리 인하 전망을 기존 4번에서 2번으로 줄이는 등 이전보다 높게 전망하면서 달러 가치가 급등했다. 이를 반영하듯 지난
시중 5대 은행의 달러 예금 잔액이 5월 기준으로 2조 원 넘게 줄어들었다. 원(KRW)-달러(USD) 환율이 급증하면서 환차익을 노린 투자자들이 환차손익을 노리고 대거 인출한 결과로 해석된다. 지난 5월 18일 기준 시중 5대 은행인 KB국민은행‧신한은행‧하나은행‧우리은행‧NH농협은행의 달러 예금 잔액은 558억 6,560만 달러(원화 약 77조 400억 원)였다. 지난 4월 말 달러 예금 잔액인 573억 7,760만 달러보다 15억 1,200만 달러(원화 약 2조 850억 원)줄어든 수치다. 지난 2023년 연말과 비교하면 70억 6,270만 달러(원화 약 9조 7,394억 원) 줄어든 수치다. 달러 예금은 원화를 달러로 환전해 적립하는데 예금이 만기 때 원화로 돌려받거나 중도 출금하는 금융상품이다. 통상 환율이 내리면 예금 잔액은 증가하고, 환율이 오르면 잔액은 감소한다. 원-달러 환율이 17개월 만에 1,400원까지 치솟자 차익 실현을 위해 달러를 인출, 환차익을 실현하는 사람들이 많아지면서 환차손익을 실현현하기 위한 사람들이 많아지면서 이러한 현상이 벌어진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