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기고] 체제(體制)의 무게, 삶과 죽음의 경계에서

두만강을 건넌 소녀의 눈물

 

90년대 중후반, 북녘 땅이 '고난의 행군'이라는 처절한 이름 아래 스러져가던 시절의 이야기다. 수백만, 어쩌면 그 이상이 굶어 죽어간다는 소문은 강 건너 바람처럼 스산하게 들려왔다.

 

도대체 어떤 시대이기에, 어떤 땅이기에 인간이 곡(穀)이 끊겨 죽어가는 것을 방치하는가. 그 참상을 내 눈으로 확인하고 싶었지만, 길은 막혀 있었다.

 

대신 나는 두만강으로 갔다. 강 하나를 사이에 두고 삶과 죽음이 갈리는 듯한 그 경계선으로.

 

중국 쪽 강변을 걷다가 허름한 교회를 발견했다. 십자가 아래, 나는 무언가에 이끌리듯 문을 밀고 들어섰다.

 

그곳에서 만난 중국인 목사님은 강 건너편의 비극을 너무 많이 목격한 듯 깊은 시름에 잠겨 있었다. 그와 이야기를 나누던 중, 나는 그 소녀를 보았다.

 

열여덟. 꽃다운 나이라고 하기엔 소녀의 몸은 겨울나무처럼 앙상했다. 북한에서 왔다고 했다. 굶주림을 피해 얼어붙은 두만강을 목숨 걸고 건넜다고. 소녀의 이야기는 담담했지만, 그 속에는 천근같은 슬픔이 배어 있었다.

 

먹을 것이 없어 어머니가 먼저 눈을 감으셨고, 곧이어 아버지도 기력을 잃고 쓰러지셨다. 남은 것은 어린 동생 셋. 굶주림에 지쳐 울음소리마저 희미해져 가는 동생들을 살려야 한다는 일념 하나로, 어린 누이는 절망의 강을 건넌 것이었다.

 

순간, 가슴을 후벼 파는 듯한 아픔이 밀려왔다. 내가 가진 것이 무엇인가.

 

이 비극 앞에서 나의 고민, 나의 글은 얼마나 하찮은가. 나는 주머니 속 여행 경비 전부를 꺼냈다. 얼마 되지 않는 돈이었지만, 그것이 내가 가진 전부였다.

 

떨리는 소녀의 손에 쥐여주며 간신히 말을 이었다.

 

“아가씨, 이걸로… 굶어 죽지 말아요. 제발… 살아남아요. 그래서… 통일되면, 우리 꼭 다시 만납시다.”

 

내 말이 끝나기가 무섭게, 소녀는 돈다발을 두 손으로 감싸 쥐었다. 그리고 그 위에 얼굴을 파묻었다. 억눌렸던 설움과 안도감, 그리고 삶에 대한 희미한 희망이 뒤섞여 격렬한 울음으로 터져 나왔다. 소녀의 흐느낌은 그 작은 교회당을 가득 메웠고, 내 심장에도 깊은 낙인처럼 새겨졌다.

 

그날, 나는 보았다. 한 인간의 존엄성이 어떻게 무너져 내리는지, 그리고 그 절망 속에서도 어떻게 가느다란 희망을 붙잡으려 하는지를. 동시에 깨달았다.

 

우리가 발 딛고 선 이 땅, 우리가 속한 이 '체제'라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가를. 한 국가 시스템의 실패가 개인의 삶을 얼마나 처참하게 파괴할 수 있는지, 그 소녀의 눈물은 어떤 웅변보다도 강렬하게 증언하고 있었다.

 

우리가 어떤 나라를 만들어야 하는가. 어떤 체제 속에서 살아가야 하는가. 두만강의 차가운 바람 속에서 만난 소녀의 앙상한 모습과 뜨거운 눈물은, 내게 그 질문의 무게를 뼛속 깊이 새겨놓았다.

 

인간이 인간답게 살 수 있는 최소한의 울타리, 그것을 지켜주는 견고한 시스템. 그날 이후, 나에게 ‘나라’와 ‘체제’는 더 이상 추상적인 단어가 아니었다.

 

그것은 누군가에게는 생존 그 자체다.

 

박덕수 ㈜바이오텍 대표이사

포토리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