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茶)의 나라로 불리던 중국에서 이제 커피(Coffee)가 일상으로 들어온 것도 어색하게 여겨지지 않는다.
특히 테이크아웃(해외에선 ‘To Go’라고 부른다.) 커피 서비스 역시 일상의 한 부분이 됐다.
스타벅스 등 대형 프렌차이즈가 중국 커피 배달 시장을 형성하고 있지만 소형 카페들도 배달 서비스를 제공하면서 커피 배달 서비스 시장도 급성장하고 있다.
딜로이트에 따르면, 중국에는 약 10만 8500개의 커피전문점이 등록돼 있다.
루이싱과 스타벅스는 2021년까지 중국에 각각 5671개, 5400개 매장을 열었는데 이를 제외하면 규모가 작은 자영 카페가 중국 전체 카페의 약 87%를 차지한다는 의미다.
베이징, 상하이, 광저우 등 주요 대도시에 집중되어 있지만, 그 외에도 2~3선 도시들에서도 인기몰이를 하고 있다.
특히 배달이라는 편리성이 중국 커피 배달 시장을 성장시킨 주요 요인으로 꼽히고 있다.
고객은 카페에 갈 필요도 없고 통상 30분 이내 거리라면 배달이 보장된다. 베이킹, 시럽, 코코넛 우유 등 개인 기호에 따른 선호도 설정도 가능하다.
중국에서 커피 배달 서비스 이용자의 대다수는 22~39세 젊은 층으로 중국의 일선 도시마다 밀레니얼 세대는 독특한 커피 구매 습관을 갖고 있다.
그렇지만 이들 세대는 일주일에 이틀 정도는 앱을 통해 커피를 주문하고, 커피를 매일 주문한다.
이들이 이전 세대에 비해 높은 가처분 소득을 갖고 있기 때문에 중국의 밀레니얼 세대는 중국의 커피 배달 시장 성장을 부추기고 있다.
중국 커피 배달 고객은 점심과 오후에 주문하는 경우가 많은데 커피는 자주 사무실로 배달된다.
일부 고객은 동료의 주문을 도왔고 사무실의 공동구매 주문은 보편화되면서 주문 금액이 크면 큰 폭의 할인을 주는 경우가 많다.
코로나19 이후 중국의 많은 작은 카페들은 주로 배달 서비스에 의존해 사업을 유지해 왔다.
상하이 등 도시의 상가 임대료 가격 상승도 손님 접대보다는 배달 서비스에 치중하는 커피전문점이 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