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의료기기 기업들이 독일 뒤셀도르프에서 열리는 ‘국제의료기기전시회 2021(MEDICA 2021)’에 참석해 총 1030건, 5320만 달러 규모의 상담을 진행했고 1105만 달러(원화 약 132억 1580억 원)의 계약을 달성했다. 코로나19(COVID-19)가 확산하기 전인 2019년 국제의료기기전시회에서의 성과가 237만 달러(원화 약 28억 3452만 원)인 점을 감안하면 5배 이상의 실적을 달성한 것이다. 이번 전시회에는 쓰리에이치, 마이크로엔엑스, 오대금속, 세신정밀, 인트인, 인코아, 원소프트다임, 인더텍, 엔도비전, 하이케어넷, 아임시스템, 에드플러스, 파인메딕스, 퍼비스코리아, 엠모니터, 제이엠바이오텍 등 지역 의료기기 관련 기업 16개사가 참여했다. 매년 11월 뒤셀도르프에서 진행되는 메디카(MEDICA)는 의료업계를 선도할 각종 신제품과 신기술을 소개하고 업계인들이 교류하는 행사다. 2021년에는 53회를 맞아 71개국 3800개 기업이 참석했고 한국에서는 대구지역 기업 16개사를 포함해 273개 기업이 참가했다. 쓰리에이치는 스마트 지압침대를 생산하는 기술력을 해외 바이어에게 인정받아 스위스, 미국, 터키, 독일의 기업들과 총 40만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비대면 사업이 주목받는 가운데 대면 사업으로 손꼽히던 피트니스 업계에서도 생존을 위한 비대면 활로를 개척 중이다. 스타트업 아미(Aarmy)는 온라인 피트니스 프로그램과 서비스 플랫폼을 구축해 구독 프로그램을 가동하면서 온라인으로의 체질 개선에 총력을 집중하고 있다. 덕분에 마우스 파트너스(Mousse Partners)나 펜듈럼(Pendulum) 등 펀드나 제이지(Jay-Z), 크리스 폴(Chris Paul) 등 유명인사로부터 투자를 유치하기도 했다. 뉴욕(New York)과 로스엔젤레스(Los Angeles)에서 오프라인 피트니스 서비스를 제공하던 아미는 코로나19 팬데믹 이후에 월 35 달러(한화 약 3만 8255 원)의 구독료로 제공되는 트레이너와의 라이브 세션 같은 디지털 피트니스 콘텐츠로 사업을 전환했다. 아미는 무료 평가판의 전환율이 70% 이상이며 유지율이 88%에 달하며, 수천 명의 유료 가입자가 생기고 있다고 설명했다. 또한 넷 어 포터(Net-A-Porter)와 자체 사이트에서 피트니스 장비를 판매하는 의류사업을 병행해 45만 달러(한화 약 4억 9185만 원)의 매출을 달성하기도 했다. 교육 프로
힐링페이퍼가 루쿠모를 인수한다. 미용의료 정보 플랫폼 강남언니를 운영하는 힐링페이퍼가 일본의 미용의료 플랫폼인 루쿠모(Lucmo)를 인수했다. 2017년 9월에 출시한 루쿠모는 일본 성형외과와 피부과 등에서 사용자가 경험한 10만 건 이상의 시술 후기를 제공하고 있다. 강남언니는 2019년 11월 외국인 환자를 유치하기 위해 강남언니 일본어 버전을 출시했고 출시 3개월만에 현지 사용자의 상담 신청이 매월 150% 증가했고 월간 사용자 수(MAU)는 10명 중 1명은 해외 사용자라고 밝혔다. 힐링페어피 측은 이번 인수를 통해 해외 현지로의 사업영역을 본격적으로 추진한다는 입장이다. 일본의 15만 사용자로부터 신뢰받는 루쿠모를 통해 강남언니 일본어 서비스와의 시너지를 기대한다는 입장이다. 홍승일 힐링페이퍼 대표는 “시술 가격, 의료기기 정보 등 미용의료 시장에서의 정보 불균형은 전 세계 소비자가 겪고 있는 어려움”이라며 “강남언니는 전 세계 누구나 병원과 시술을 선택하는 과정에서 믿을 수 있는 정보와 의사결정을 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대구약령시 한방의료체험타운이 8월 1일 정식으로 오픈했다. 연면적 2791㎡에 지하 1층, 지상 7층으로 구성된 한방의료체험타운은 국비 50억 원, 시비 50억 원 등 총 100억원의 자금이 투입된 공간이다. 한방의료체험타운에는 가상현실(VR) 증강현실(AR)을 통해 한방 정보를 접할 수 있는 ‘ICT 한방체험관’, 경혈지압침대‧저주파 발마사지‧체성분 분석‧혈압측정이 가능한 ‘한방의료존’, 피부나이 진단‧두피 피부 진단‧마스크팩‧스킨케어‧네일케어 체험이 가능한 ‘한방 뷰티존’으로 구성됐다. 또한, 약선한식 만들기와 같은 실습 체험프로그램과 약용식물 전문가 과정 등 민간 자격증을 취득할 수 있는 프로그램도 운영된다. 백동현 대구시 혁신성장국장은 "코로나19 예방을 위해 체험 프로그램별로 온라인 사전 예약과 현장 예약을 통해 시간당 관람객 입장 인원수를 제한한다"며 "체험타운이 362년 역사와 전통을 간직한 대구약령시 활성화에 도움이 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대구시가 외국인 의료 관광객이 3만명을 돌파했다. 대구광역시는 2019년 외국인 의료관광객이 3만 1183명을 기록했다고 발표했다. 이는 2016년 2만명 시대 이후 3년 만에 이룬 쾌거다. 2019년에 한국을 찾은 외국인 환자는 49만 7464명으로, 2018년 대비 31.3% 증가했다. 대구는 서울, 경기도에 이어 3번째로 높은 6.3%(3만 1183명)를 기록했다. 국적별로 살펴보면 중국인이 6474명(21%)으로 가장 높았다. 이외에도 피부‧성형 분야에서 외국인 의료 관광객 증가가 두드러진다. 특히 베트남, 태국 등 동남아 의료관광객의 증가가 눈부시다. 가장 높은 증가율은 몽골이 2018년 대비 354%를 기록했고, 베트남은 243%, 태국은 100%, 일본이 92%로 뒤를 이었다. 백동현 대구시 혁신성장국장은 "앞으로도 의료관광특구 조성, 대구경북 웰니스 관광자원 활용으로 차별화된 성장 전략을 마련하겠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