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신문 아세안익스프레스의 창간을 진심으로 축하드립니다. 6억이 넘는 인구, 세계 7위의 아세안 시장은 한국이 좀 더 집중해야 할 경제블록입니다. 그 중에서 베트남 시장의 중요성은 단연 최고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이미 알려진 대로 베트남은 인구 9500만명, 평균 나이 31세, 매년 100만 명 이상이 태어나는 젊은 국가입니다. 정치적 안정과 개방적인 대외 정책은 외국 기업들에게 비교적 예측력을 갖게 합니다. 특히, 우리나라와 유사한 관혼상제의 전통과 문화는 기업 진출에 있어서 심리적 안정감을 주기도 합니다. 베트남은 1인당 국민소득 2500달러에 불과하지만, 1차산업에서 4차산업에 이르기까지 산업구조의 다각화가 동시에 진행되고 있는 특이한 상황에 있습니다. 그 중 문화관광콘텐츠, 서비스 분야에서 많은 기회가 생기고 있습니다. 필자도 지난해 말 설립된 한베콘텐츠협회(회장 전충헌)의 베트남 현지 책임자로서 효과적인 플랫폼 구축을 위해 사명감으로 일을 하고 있습니다. 국가간의 인적, 물적 교류에는 항상 긍정적인 요소만 있는 것은 아닙니다. 성공하는 기업이 되기 위해서는 그 국민의 특성과 진정성을 느끼고 이해해야 합니다. 베트남 속담에 “눈은 영
베트남 제1기업 빈그룹의 최대 유통계열사인 빈 커머스의 빈(Vin)마트를 찾는 유통 사찰단이 선보인다. 한베비즈투어는 '하노이 K마켓 & 빈마트 유통 시찰단'을 모집한다. 이 시찰단은 5월 23~27일 3박 5일 하노이를 방문한다. 1800개를 거느린 빈커머스 빈마트, 베트남 100대 브랜드 유통기업 K-Market 등 방문한다. 일정에는 최고경영자 임원 미팅, 입점설명회를 통해 한국 제품의 입점 절차를 이해하고 준비하는 실질적인 베트남 시장 진출을 돕는다. 대상 제품은 베트남 시장진출을 원하는 한류 생활용품, 여성용품, 유아용품, 뷰티 & 건강 K-Food 등이다. 또한 제품 제조사, 개발사, 관련 임원 분들이 주된 대상이다. 5월 24일에는 현지 일정을 보면 빈 마트 입점 안내 및 설명회(빈마트 마케팅 매니저 설명)와 주요 유통시설 탐방(Bic-C, 롯데마트) 및 유망제품 아이템 입점 조건 이해의 시간을 마련한다. 또한 하노이무역관(KOTRA) 방문을 해 코트라 담당관으로부터 투자설명회를 하고, 베트남 문화전문가 특강을 듣는다. 이튿날인 25일에는 K-마켓 본사 및 물류센터 방문해 입점 가능 유망아이템 및 유통시장 설명회를 듣